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28896897
· 쪽수 : 132쪽
· 출판일 : 2023-05-04
책 소개
목차
한국어 학습과 문학 텍스트의 이독성
01 언어교육과 문학교육
02 문학 텍스트의 이독성
03 어휘 계량과 분석
04 문형 계량과 분석
05 문장 계량과 분석
06 통합 언어 난이도 분석
07 소설 어휘의 계량적 분석
08 소설 텍스트 문화 항목의 계량
09 시 텍스트 문화 항목의 계량
10 문학 텍스트의 수정
저자소개
책속에서
확장적 읽기는 많은 양의 텍스트를 비교적 빠르게 읽으면서 글의 흐름을 파악하며 읽는 것이 중요하고 학습자들이 자신이 읽고 싶은 것을 스스로 선택해서 교실 밖에서 자유롭게 읽는 다독에 해당한다. 문학 작품은 확장적 읽기에 가장 적합한 텍스트다.
01_“언어교육과 문학교육” 중에서
텍스트의 난이도를 측정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일은 텍스트의 언어를 어떻게 계량할 것인가의 문제다. 문학 텍스트는 일반 텍스트와는 달리 구어나 사투리, 비속어 등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어휘가 많고, 부사나 관형사 등의 수식어도 많아 문학 텍스트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게 텍스트를 계량하고 난이도를 분석하는 방안을 설계해야 한다.
03_“어휘 계량과 분석” 중에서
대명사는 특정한 지시 대상을 가리키는 것이 많으므로 문장의 모호성을 높인다. 또한 문장 길이와 대명사는 비교적 강한 음적 상관관계를 보이는데(-0.464) 대명사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대체로 문장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문장이 짧아지는 반면 모호성은 높아지므로 독자는 문장을 해석하는 데 더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 따라서 문장 난이도를 측정하기 위해 대명사의 비율을 측정한다.
05_“문장 계량과 분석”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