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역사 > 중국사 >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 ISBN : 9791158260323
· 출판일 : 2015-12-15
목차
자치통감전 1권
옮긴이 서문
일러두기
차례
읽히는 역사책이 필요한 상황
영종이 짊어지고 있던 무거운 짐
읽히는 역사가 필요하였던 시대
완벽한 역사서의 저작
길고 긴 <자치통감> 편찬 과정
자치통감전 2권
차례
<자치통감>의 편찬을 지원한 황제들
<자치통감>을 만든 주역 사마광
사마광의 충실한 조력자들
<자치통감>을 통한 현실 참여
왕안석이 만든 새로운 제도
왕안석 대 사마광
남북으로 갈린 북송의 사대부들
자치통감전 3권
차례
사마광과 왕안석을 도운 사람들
천 년 전 중국의 지역 갈등의 배경
왕안석과 사마광의 철학적 차이
공자와 맹자, 그리고 왕안석과 사마광
사마광과 왕안석의 현실관과 철학
왕안석과 사마광 사이에 선 신종
황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자치통감>
법이 아니라 사람이 문제다!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한 논조
자치통감전 4권
차례
<자치통감>, 어디부터 쓸 것인가?
시간은 무엇을 기준으로 볼 것인가?
<자치통감>에서 사용한 호칭
신분 변화에 따른 호칭의 변화
열국 시기의 호칭
그 외의 호칭들
자치통감전 5권
차례
<자치통감>의 일반적인 구성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다양한 역사가들의 시각
자치통감전 6권
차례
경직된 편년기술의 극복
사마광이 역사를 쓰려는 이유
읽히는 역사로 추구한 목표
유교 이외의 종교에 대한 비판
자치통감전 7권
차례
역사 속에서 지도를 찾는 신종
판각 후에 제왕학이 된 <자치통감>
<자치통감>을 읽고 쓴 사람들
<자치통감>과 관련된 송대의 저작
자치통감전 8권
차례
정통성을 강조한 <자치통감강목>
이념으로 역사를 보려한 주자학
<통감강목>을 경으로 이해한 주자학도
금과 원의 <자치통감>에 대한 이해
명·청시대의 통감학
<자치통가>, 그 영원한 인생교과서
자치통감전 9권
차례
삼국시대 중국도서의 전래와 전파
고려와 송의 왕래
도서 간행에 힘쓴 인종
김부식은 <자치통감>을 보았을까?
<자치통감>이 고려로 전래한 시기
<삼국사기>와 <자치통감>의 이후
자치통감전 10권
차례
김부식 이후의 <자치통감>
<자치통감훈의>를 편찬하는 세종
조선 전기의 역사학 정신
자치통감전 11권
차례
<자치통감>을 중시한 세조
양란 이전의 <자치통감>에 대한 이해
<동국통감>의 편찬
<동국통감>의 구성
[여론] 양난 이후 통감학
판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