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0684254
· 쪽수 : 474쪽
· 출판일 : 2020-12-18
책 소개
목차
축사
발간사
간행사
책머리에
이원갑
1. 유년 시절부터 군 복무까지
출생과 성장 과정
조부, 부친의 광부 생활
고등학교 시절 백지동맹 주도
대학 진학 포기와 군 복무
2.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 근무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 작업반장
부인과 어머니의 주점 운영
노조 활동과 사택 생활
작업반장의 업무
재해와 산재 처리
3. 동원탄좌 입사와 노조 지부장 선거
석공 퇴사와 동원탄좌 입사
감독 시절 광부들의 지지
노조 대의원 자격 규정 변경과 지부장 출마
지부장 선거 무효와 직무대리 선임
1980년 3월 임금 인상을 위한 상경
회사 측의 회유 전략
4. 사북항쟁 발발과 고문 피해
1980년 4월 18일 예비군훈련장 소요와 21일 집회 허가
항쟁의 전개
협상 결렬과 공수부대 투입 정보
4월 24일 협상 발표와 사건 종결
사건 당시 노조 간부들의 행방
연행과 고문
5. 사북항쟁 이후의 삶과 명예 회복 과정
석방 후 회사의 회유
2000년 민주화운동 관련법
항쟁 후 사북의 변화와 생계 수단
‘민주화운동’ 인정의 의미
향후의 구상과 바람
신경
1. 유년기 경북 집성촌 생활
출생 후 경북 지역 거주
군 입대와 제대 후 생활
한학 공부와 4H 활동
집성촌 문화와 가치관
2. 동원탄좌 입사와 노조 대의원 활동
사북 이주와 대의원 시작
노사위원 활동과 1972년 파업
복직 이후의 상황
1970년대 노동자 모집
광산 재해와 대처
3. 사북항쟁 전개
1979년 지부장 선거와 진정서 수합
전국광산노조 상경 전후의 상황
항쟁을 촉발한 사건들
사라진 전임 지부장
항쟁 당시 투석전 전후의 상황
지부장 부인 사건
4. 고문 피해와 명예 회복 과정
항쟁 수습 시도와 불법 연행, 고문 피해
수감 상황
징역 만기 출소 후의 생활
무죄 판결과 민주화운동 인정
5. 사북항쟁 기억과 기념
항쟁 기념
노조 활동과 동료
항쟁의 키포인트
사북 근무 당시의 아쉬운 점
항쟁 이후의 변화와 폐광
황인오
1. 노동자 생활과 의식 형성
어린 시절의 경험과 일화들
1971년 무작정 상경 후 노동
사북 귀향과 광부 입적
1970년대 사북 탄광촌의 생활 조건
여러 노동 경험과 교회 활동 및 군 생활
정치 활동에 자극을 준 사건과 책들
2. 사북항쟁 발발과 서울 연락
항쟁 발생 당시의 상황과 추이
광부의 사회적 지위 및 항쟁 현장의 모습
지부장 부인 사건
항쟁 당시 다른 지역과의 연관
검거 선풍과 서울 이동
3. 미스유니버스대회 폭파 시도와 고문 피해
통일사회당 활동과 사북 실태 조사
미스유니버스대회 폭파 시도와 실패
체포와 고문
취조 과정
재판 과정과 수감 생활
4. 가톨릭광산노동문제상담소 활동
1985년 활동 시작 과정
사북항쟁 보고서와 활발한 상담소 운영
다양한 사건 처리와 사북항쟁 전후의 노조 상황
1987년 6월 항쟁과 노동자대투쟁 기간의 사북
1988년 출소 후 변화
5. 사북항쟁 복권
민주화운동 인정 과정
재심 청구 활동
항쟁의 복권과 사북의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