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제근대화와 전환기의 지식인들

경제근대화와 전환기의 지식인들

(문화와 역사의 지평에서 바라본 생산성)

이정훈 (지은이)
도서출판 승지연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9개 5,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제근대화와 전환기의 지식인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제근대화와 전환기의 지식인들 (문화와 역사의 지평에서 바라본 생산성)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8615342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9-12-27

책 소개

건국기 지도자들은 한국 사회가 자존과 미래의 번영을 위해서는 공공성을 사회운영의 중심원리로 설정해야 한다고 믿었음에 주목한다. 조소앙과 조봉암은 공공성의 가치를 목숨을 걸며 지켜내고자 하였고, 일제 패망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새롭게 건국할 나라가 지킬 최우선 가치로서 공공성이 실현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목차

제 Ⅰ 부 생산성의 인문학
제1장∥ 근대화
1. 경제근대화
2. 동양의 전통 사상
가. 일원론적 세계관
나. 변화의 세계관
다. 유가의 경제사상
3. 근대화의 사상적 동력
가. 최한기의 기학
나. 최제우의 동학
4. 근대화 주체로서의 지식인
제2장∥ 생산성의 인문학
1. 생산성
가. 생산성 형성요인
나. 생산성의 변화기제
2. 생산성의 역사
3. 인간주의 생산성 생산성 생산성
제 Ⅱ 부 민족의 전통과 역사의 유산
제3장∥ 한민족의 정신적 전통
1. 한민족의 시원(始原) 사상 - 산스크리트 어원(語原)으로 추론하다
가. 건강한 정신을 기르는 지혜의 전승
나. 홍익인간
2. 자강정신
가. 자조
나. 자강정신
3. 생산성 운동과 전통사상
제4장∥ 조선의 역사적 유산
1. 국가정체성
가. 성리학적 국가개조
나. 사대주의와 사대모화
다. 세계와의 관계 : 쇄국
2. 역사주체성
가. 한민족 고유의 역사 경시
나. 역사 변조
3. 국가제도
가. 토지제도와 재정
나. 개발과 생산
4. 사회 중심부 공동화(空洞化)
가. 권도의 타락
나. 선비의 퇴락
5. 조선의 생산력
가. 농업생산력
나. 농업생산성
다. 수공업 장인과 기예
6. 조선 근대화를 설계한 박제가
가. 이용후생
나. 부국책
제 Ⅲ 부 경제근대화의 시기별 진전
제5장∥ 개항기 : 근대화의 출발지점
1. 시대의 어려움으로 부상한 미곡 수출
2. 사회의 계층별 분열 : 같은 공간에서 다른 길 찾기
가. 유학자와 위정척사론
나. 개화와 외세
다. 민중의 탄생과 민족주의
라. 지주와 아전
3. 자생적 근대화
가. 개화파의 부국강병책
나. 제도개혁
⑴ 근대화기구
⑵ 경제제도 정비
㈎ 세제 개혁
㈏ 산업육성
4. 근대화 좌절 요인
가. 외세 의존성
나. 합의 결여
다. 자원 결여
제6장∥ 대한제국기 (1897~1910)
1. 국민을 탄생시킨 신채호와 안창호 : 운동 주체의 등장
가. 자발적 결사체
나. 신민회의 신민운동
2. 생활개혁 주창자 손병희 : 사회적 생산성
3. 한성을 새로이 디자인한 박정양 : 공간생산성
4. 산업화 현장을 장악한 이용익 : 산업생산성
가. 에너지 생산성
나. 산업 육성
다. 금융근대화
라. 조세행정
마. 산업화
바. 기술인력 양성
사. 역사적 평가
5. 근대 학문
가. 경제학의 등장
나.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의 노동 가치를 계몽한 유길준
⑴ 노동
⑵ 노동회
제7장∥ 일본강점기 (1910~1945)
1. 조선총독부 식민지정책
가. 농업 부문
⑴ 농촌진흥운동
⑵ 자력갱생
나. 공업 부문
2. 산미증산계획(産米增産計劃)
3. 자생운동 : 청우당과 전진한
가. 청우당
나. 조선에 협동현상을 일으킨 전진한
제8장∥ 건국기 (1945~1953)
1. 공개념
2. 경제 질서를 제시한 조소앙과 조봉암
가. 조소앙
나. 조봉암
3. 농업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한 권태헌
제9장∥ 개발 준비기 (1954~1961)
1. 폐허에서 솟구친 시대정신
2. 경제개발을 기획한 이기홍
가. 산업개발위원회 : 새로운 종자 개발 시도
나. 경제계획 기구의 설계: 실행(implementing)의 요건
3. 샌프란시스코조약과 아시아생산성기구
가. 한국의 지일파, 일본의 지역패권 구상에 동조
나. 한국생산성본부 설립
4. 농촌사회 역량 함양
가. 지역사회의 자조역량 동원
나. 농촌을 개혁한 청년운동가 이재영 : 농촌계몽운동
제10장∥ 경제개발기 (1962~1976)
1. 투자재원 조달과 국제관계
가. 한일국교정상화
나. 서독으로 간 광부와 간호사
2. Kennedy & Johnson 행정부의 개입
가. 수출산업 육성으로 방향 선회
나. 중화학공업
3. 한국 지도층으로 하여금 세계적 안목을 갖게 하라
가. 주한미국원조사절단(USOM)
나, 최고경영자 미국 시찰단
4. 미국, 혈맹 한국에게 ‘물고기 낚는 법’을
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설립 : 생산성 종자를 개발하는 기구
나. 정보화 사업을 시작한 이주용: 독자적으로 소프트웨어 산업을 일구다
5. 중화학공업을 구축한 오원철 : 방위산업은 중화학공업의 다른 이름
6. 국토개발계획 : 함께 배우고 역량을 키우면서 개발계획 수입
제 Ⅳ 부 인간의 얼굴을 한 생산성
제11장∥ 과거에게 미래를 묻다
1. 근대화의 궤적
가. 생산성 형성요인의 변화 궤적
⑴ 조선의 역사적 유산
⑵ 개항기
⑶ 대한제국기
⑷ 일제강점기
⑸ 건국기
⑹ 개발준비기
⑺ 경제개발기
나. 민족의 전통과 역사의 유산
⑴ 제도와 정치
⑵ 정신과 역사
⑶ 사회 중심부 공동화와 선비의 퇴락
다. 근대화 과정 : 씨앗, 발아 그리고 성장
라. 경제개발전략
마. 과학기술
2. 북한경제
가. 동아시아 근대화가 한반도에 남긴 과제
나. 남북한 공통의 과제에 대한 성격 규명
다. 북한이 결여한 역량
3. 지식인
가. 지식인의 공과 과
⑴ 공
⑵ 과
나. 제국주의에 압도된 한국 지식인
제12장∥ 국가전략
1. 한국인 됨으로서의 유교
가.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
⑴ 예
⑵ 공의
나. 한국적 증상 진단 : 에토스로서의 유교문화
⑴ 응석의 심리
⑵ 긍정적 자기관
다. 공공성 약화는 역사 과정의 산물
2. 한국적 정체성
가. 인간의 얼굴을 한 생산성
나. 유교자본주의
⑴ 유교윤리
⑵ 공생주의
⑶ 신뢰
다. 지식인의 역할 :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
⑴ 근대화의 어두운 측면
⑵ 중심부의 건강성
라. 새로운 네트워크 등장
⑴ 방탄소년단: 새로운 문명의 전령
⑵ 사회적 메시지
3. 세계전략 : 공공외교와 생산성공유사업(Productivity Sharing Program)
가. 지역을 넘어서
나. 문화적 친연성 기반 네트워크
다. 공공외교로서의 생산성 공유 사업

저자소개

이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 중동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영문과 졸업, 미국 텍사스주립대(North Texas State University)에서 산업관계학(Industrial Relations) 전공 경력 : 전 관동대학교 교수 한국생산성본부에서 28년 연구원 재직 (생산성연구소장, 조사부장, 노동연구실장 역임) E-mail : octoberiver@naver.com 대표 저서 : 『패러독스 경영연구』 대표 논문 : 「유교문화권에서 부모의 양육행위가 자녀 도덕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노사관계』(1986)는 1980년대 한국의 노사관계 실태를 다룬 유일한 보고서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사람은 일을 하면서 흔적을 남긴다. 그 흔적은 다른 사람과 뒤섞이고 쌓여서 문화가 되고, 시간 위에 쌓여서 역사가 된다. 사람의 생명현상은 생산으로 향하는데, 생산 활동이 일정한 공간 속에서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시간적으로 누적되면 어느 한 사회에서의 인간 활동은 다른 사회와 구분되는 특징을 형성하게 된다. 문화와 역사의 지평 속에서 생산성은 형성되며, 생산성 형성에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는 것이 생산성의 인문학이다.
- 발간사에서


이 책은 조국의 근대화를 자신의 사회적 역할로 규정한 지식인들이 자신이 살았던 시대가 마주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천한 행동 그리고 그 성과에 대해 탐구한 것입니다. 생산성이 낮아 가난하고 주변 국가의 힘에 밀려 식민지가 될 만큼 정부 역량이 취약하였던 조선 후기에서 시작하여 한국전쟁 후 세계로 눈을 돌려 상품 수출과 해외 진출을 통해 경제발전을 성취한 개발연대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다루었습니다.
- 추천사 중에서


건국 헌법의 취지는 국민경제의 확립 위에서 공동체주의적이며, 민주사회주의적 정치이념을 지향한다. 대한민국의 경제 질서는 모든 국민에게 생활의 기본적 수요를 충족할 수 있게 하는 사회정의의 실현과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발전을 기함을 기본으로 삼는다. 각인의 경제상 자유는 이 한계 내에서 보장된다. 이 조항은 사회민주주의와 사회적 시장경제를 선언한 것이다. 사회민주주의는 경제에 대한 계획과 통제에 기반하고 있는 계획적 민주주의이다. 즉 경제 주체는 생산성을 자유롭게 추구하지만 인간 존엄성이 존중받는 범위 내로 한정함으로써 경제 질서는 인간존중의 생산성 추구의 방향성을 규정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