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기독교회사 3

한국기독교회사 3

(1960-2010)

박용규 (지은이)
한국기독교사연구소
5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2,200원 -10% 0원
2,900원
49,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기독교회사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기독교회사 3 (1960-2010)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87274070
· 쪽수 : 1292쪽
· 출판일 : 2018-03-15

책 소개

세상으로부터 부름 받고 다시 세상으로 파송을 받은 성도들과 그들로 구성된 교회, 그리스도가 재림하실 때까지 여전히 세상 속에 존재하는 그리스도의 교회가 어떻게 복음 본연의 사명을 감당해 나갔는지를 밀도 있게 추적하였다.

목차

머리말 5
3권 서문 9
서론 21

제 I 부 혁명과 정체성 파악의 시대

제 1장 혁명시대의 한국교회 67
1. 이승만 정권과 한국교회의 정치 참여 68
2. 4 19 혁명과 한국교회 74
3. 5 16 군사정변 90
4. 산업화와 도시화 93
5. 혁명시대, 정부에 대한 기독교 시각 100

제 2장 세계교회협의회와 하나님의 선교 107
1.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등장 109
2.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마르크스주의 114
3.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해방신학 116
4. 개인구원에서 사회구원으로 119

제 3장 한국교회의 토착화논쟁 124
1. 토착화신학의 발흥 배경 126
2. 1960년대 토착화신학 129
3. 1970년대 토착화신학 135
4. 1980년대 이후 토착화신학 152
5. 토착화신학에 대한 복음주의적 평가 159

제 4장 한국장로교회 분열과 일치를 위한 노력 163
1. 1959년 분열 후 예장합동과 예장통합 165
2. 예장합동의 고려파와의 연합과 환원 182
3. 예장통합과 예장합동의 재연합 논의 195
4. 1967년 신앙고백 문제 208
5. 1960년대 한국장로교의 변천 226

제 II 부 대중전도운동과 한국교회성장

제 5장 대중전도운동과 민족복음화운동 233
1. 전국복음화운동 236
2. 1973년 빌리 그래함 서울대회 237
3. 1974년 엑스플로 ’74대회 245
4. 1977년 민족복음화대성회 256
5. 1980년 ’80 세계복음화대성회 259
6. 1984년 한국기독교 100주년 선교대회 264

제 6장 한국교회의 놀라운 성장 272
1. 한국교회 급성장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273
2. 1970, 1980년대 급성장한 한국교회 276
3. 대형교회들의 등장 285

제 7장 급성장한 한국교회 주류교단: 감리교, 성결교, 침례교 288
1. 기독교대한감리회 291
2. 한국성결교 분열, 연합, 성장 310
3. 급부상한 한국침례교회 342

제 8장 오순절운동과 여의도순복음교회의 급부상 354
1. 미국 오순절운동의 태동배경 358
2. 한국순복음교회 설립의 역사적 배경 377
3. 신유사역을 통한 급성장 386
4. 3박자 구원신앙, 5중복음과 3중축복 389
5. 순복음오순절운동의 영향과 평가 397

제 9장 한국교회 ‘또 하나의 주역,’ 개신교 중소교단 411
1. 한국그리스도의교회 412
2. 대한민국구세군(구세군 대한 본영) 424
3. 대한성공회 427
4. 한국나사렛교회 428
5. 대한예수교 재건교회 429
6. 한국루터교회 433

제 Ⅲ 부 전환기의 한국교회

제 10장 민주화와 근대화 과정, 그 격변의 한국교회 437
1. 1970년대 한국교회의 민주화운동 439
2. 도시산업선교 451
3. 1980년대 한국교회와 민주화운동 464
4. 박정희 대통령 시해와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 471
5. 6월 항쟁과 복음주의자들의 사회정치참여 491

제 11장 교단의 분열과 신학교의 난립 498
1. 예장합동의 주류와 비주류의 대립 499
2. 방배동 총신으로 알려진 복구총회신학교 512
3. 1980년 합동신학교 설립 522
4. 무인가 신학교의 난립과 무자격 목회자 양산 530

제 12장 심화되는 한국교회의 양극화 현상 542
1. 교회의 물량주의와 세속화 543
2. ’88 서울올림픽과 급속한 도시화 550
3. 1980년대 교회의 대형화 552
4. 농촌인구 감소와 농촌교회의 쇠퇴 557
5. 한국교회 신앙의 양극화 562

제 IV 부 한국복음주의운동과 해외선교운동

제 13장 근대복음주의운동과 한국복음주의운동 571
1. 미국복음주의운동 573
2. 미국복음주의신학 600
3. 한국복음주의운동 620

제 14장 한국복음주의교회의 급부상 680
1. 한국복음주의연합운동, 한 사례: 강남연합신앙강좌 682
2. 한국복음주의 4인방: 옥한흠, 홍정길, 하용조, 이동원 689
3. 한국복음주의지도자들의 활동 평가 697

제 15장 제자운동과 복음주의운동의 확산 699
1. 제자운동의 발흥, 역사적 배경 700
2. 제자훈련의 저변 확대와 그 영향력 707
3. 복음주의 교회상의 정착과 저변 확대 712
4. 제자운동과 한국교회 연합운동: 교갱협, 한목협 725

제 16장 평신도운동과 평신도 리더십의 급부상 733
1. 평신도 지도자들의 급부상 배경 734
2. 제자훈련, 평신도를 잠에서 깨우다 739
3. 코스타, 전문직종의 평신도를 세우다 741

제 17장 한국교회 해외선교운동 749
1. 급부상한 한국복음주의 해외선교 751
2. 한국교회 해외선교운동의 급부상 768
3. 세계선교를 촉진시킨 해외이민 붐 776
4. 북방외교수립과 북방선교 781
5. 해외선교 파송현황 789
6. 높아진 해외선교 위상 793

제 V 부 도전받는 한국교회

제 18장 한국천주교의 놀라운 성장 805
1. 해방 후 한국천주교의 재편 807
2. 한국천주교의 급성장 811
3. 천주교 급성장의 주역, 김수환 추기경 818
4. 정의구현사제단, 천주교의 정치세력화 822
5. 한국천주교의 급성장, 그 평가와 전망 828

제 19장 급부상한 한국교회 이단세력 840
1. 1960-1980년대 이단들의 급부상 842
2. 1980년대 통일교의 기성교회 침투 844
3. 박태선의 전도관 850
4. 김기동 귀신론과 베뢰아 아카데미 853
5. 깨달음의 종교, 구원파 858
6. 이장림과 1992년 10월 28일 재림론 864
7. 류광수의 다락방 전도운동 874
8. 평강제일교회(구 대성교회) 박윤식 879
9.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884
10. 급부상한 신흥이단: 안상홍증인회와 만민중앙교회 893

제 20장 한국교회의 침체와 위기 901
1. 급속하게 쇠락해진 한국교회 904
2. 한국교회 침체의 원인들 906
3. 급변하는 정치 사회적 환경변화 933

제 21장 한국교회의 신학사상 논쟁 939
1. 민중신학에 대한 복음주의의 답변 940
2. 종교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논쟁 949
3. ‘표준성경’ 출간과 성경번역 논쟁 958
4. 한국교회 성령론 논쟁 964

제 22장 예장통합: 성경적 복음적 에큐메니칼 신학 981
1. 한경직: 민족복음화운동과 사회적 책임 984
2. 1985년 장신대 신학성명서 998
3. 이종성의 통전적 신학, 그 내용과 방법론 1003
4. 2015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 1007
5. 장신대 신학 평가 1017

제 23장 예장합동: 개혁파 장로교전통과 복음주의 유산 1020
1. 평양장로회신학교 신학전통 1022
2. 성경의 절대권위와 복음전파 1025
3. 박형룡의 ‘칼빈주의 개혁파 장로교의 전통적 복음주의신앙’ 1036
4. 명신홍, 박윤선, 그리고 신진 젊은 교수진 1046
5. 1979년 “총신의 신학적 입장” 1054
6. 1995년 총신대학교 신앙고백서 1063
7. 2001년 설립 100주년, 총신의 신학적 입장 1068

제 VI 부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의 한국교회

제 24장 한국교회의 통일논의 1075
1. 1970년대 이후 한국교회 통일논의 1077
2. 1980년대 통일논의의 시작과 진행 1083
3. 1990년대 이후 통일논의 1095
4. 2000년대 이후 한국교회 통일논의 1098

제 25장 평양대부흥 100주년: 이 땅 부흥케 하소서 1104
1. 2004년 부활절연합예배 1106
2. 부흥을 사모하는 모임들 1107
3.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 대회 1113
4. 연합과 일치를 위한 결실 1115

제 26장 WCC 변천: 암스테르담부터 부산총회까지(1948-2013) 1118
1. 1948년 1차 암스테르담부터 1961년 3차 뉴델리총회까지 1121
2. 1968년 4차 웁살라부터 1983년 6차 밴쿠버총회까지 1127
3. 1991년 7차 캔버라부터 2006년 9차 포르토 알레그레 총회까지 1131
4. 한국교회와 WCC 에큐메니칼운동 1137
5. 2013년 10차 WCC 부산총회 1139

제 27장 새로운 밀레니엄 시대, 변화, 반성, 과제 1145
1. 밀레니엄 시대 한국교회 변화 1146
2. 신흥 한국대형교회, 그들의 현주소 1155
3. 해결되지 않은 진보와 보수의 대립 1165
4. 한국교회 스캔들과 윤리적 위기, 그 단면들 1168
5. 2015년 통계청 종교인구 발표와 한국개신교 전망 1193
6.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 1203

맺는 말 1221
한국기독교회사 3 주요 사건 연표(1960-2010) 1229
참고문헌 1241
주제 색인 1273
인명 색인 1282

저자소개

박용규 (감수)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총신대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석사(M.Div.) 학위를 마쳤다. 그 후 미국 포틀랜드의 Western Evangelical Seminary에서 신학(M.A.)을 공부하고, 시카고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에서 역사신학으로 신학석사(Th.M.)와 철학박사(Ph.D.)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1999)와 Yale Divinity School 객원교수(Visiting Fellow, 2006-2007)를 역임했다. 총신대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1991-2021)로 재직하면서 총신대 신학대학원장, 부총장, 총장대행을 역임했고, 현재는 총신대 신학대학원 명예교수로 한국기독교사연구소 소장으로 섬기고 있다. 1994년 저서 초대교회사로 제 1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신학자 대상을, 1996년에는 죽산박형룡박사의 생애와 사상으로 한국기독교출판대상 우수상을, 2005년에는 한국기독교회사 1, 2로 총신학술상 최우수상을, 2006년 평양대부흥이야기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국내목회자료 부문 최우수상을, 그리고 2021년 성령의 복음으로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국내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Korean Presbyterianism and Biblical Authority: The Role of Scripture in the Shaping of Korean Presbyterianism 1918-1953, 한국장로교사상사(1992), 죽산박형룡박사의 생애와 사상(1996, 이상 총신대출판부), 한국교회를 깨운 복음주의운동(두란노, 1998), 한국교회를 깨운다(1998), 평양대부흥운동(2000), 이 땅 부흥케 하소서(공저, 2004), 평양산정현교회(2006, 이상 생명의말씀사), 초대교회사(2016), 근대교회사(2016), 한국기독교회사 1, 2(2016), 3(2018), 세계부흥운동사 개정판(2016), 제주기독교회사(2017), 기독교역사와 역사의식(2018), 성령의 복음, 성령의 복음 입문(2020, 이상 한국기독교사연구소)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근본주의와 미국문화(생명의말씀사, 2004), 개혁주의 신학(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7)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90년대 이후 한국교회는 전에 없는 다양한 도전에 직면했다. 영적 지형(地形)변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한국천주교의 놀라운 성장, 급부상한 한국교회 이단의 세력, 한국교회의 침체위기, 한국교회의 신학대립과 신학논쟁, 그리고 통합과 합동의 변화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천주교는 사상(史上) 가장 놀라운 성장시대를 구가하기 시작했다. 한국교회 안에 이단 세력이 급부상한 것도 이때였다. 문선명의 통일교는 선문대학을 설립하고 세계일보를 발간하는 등 수많은 기업을 거느린 놀라운 영향력을 지닌 거대세력으로 발돋움했고, 전도관 역시 박태선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그 후계자들에 의해 더 무서운 세력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10월 28일 재림론의 주창자 이장림, 류광수의 다락방, 권신찬, 유병언, 박옥수로 대변되는 구원파, 이만희의 신천지, 이재록의 만민중앙교회, 박윤식의 평강제일교회는 기성교회를 계속해서 혼란으로 몰아넣었다.
1992년부터 한국교회는 서서히 침체기를 맞기 시작했다. 양적·질적 침체와 신학교 지원자수 감소, 선교사 지망생 감소를 비롯한 여러 감소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금권선거, 교회 지도자들의 윤리실종, 가짜 박사학위, 목회자 세습, 신학적 세속화와 물량주의, 신학교의 난립과 무자격 목회자 양산, 그리스도인들의 윤리실종이 한국교회 침체를 가속화시켰다. 게다가 신학대립과 논쟁이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신학적으로는 기독교학회와 복음주의신학회가, 저널로는 기독교사상과 목회와 신학이 서로 다른 신학적 색깔을 드러내며 진보와 복음주의 진영의 입장을 대변했고, 성령론 논쟁과 종말론 논쟁이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이 강하게 일어나고, 변선환의 종교다원주의가 기폭제가 되어 진보와 보수의 대립이 한국감리교 안에서 활발하게 일어났다. 예장통합은 에큐메니칼 신학을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삼았고, 예장합동은 개혁파 장로교전통과 복음주의 유산을 계승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