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슈퍼허브

슈퍼허브

(세계 경제의 결정자들)

산드라 나비디 (지은이), 김태훈 (옮긴이), 누리엘 루비니 (서문)
예문아카이브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800원 -10% 640원 10,880원 >

책 이미지

슈퍼허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슈퍼허브 (세계 경제의 결정자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정책/비평
· ISBN : 979118774921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7-04-10

책 소개

변호사이자 금융 전문가인 산드라 나비디는 4년에 걸친 취재와 자료 조사, 대면 인터뷰를 기반으로 <슈퍼허브>를 완성했다. 저자가 슈퍼허브의 일원인 덕분에, 내부자만이 알 수 있는 정보와 실제 사례를 네트워크 과학 이론을 적용해 심도 깊게 분석한다.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서문_그들의 결정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

INTRO_세계 경제를 움직이는 사람들_금융 시스템의 원리
왜 선택받은 소수만이 힘을 가지는가: 가려진 이야기
금융을 움직이는 네트워크의 힘: 영향력
그들만의 네트워크에 대항할 힘: 건설적 토론

HUBS 1_금융도 사람이 움직인다_인적 시스템
권력의 최상층: 다보스
치명적인 극소수: 인간 슈퍼허브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 부의 격차 원인

HUBS 2_금융 엘리트와 그들의 네트워크_네트워크 과학으로 살피는 금융
슈퍼허브의 원형: 조지 소로스
교점, 허브, 슈퍼허브: 은행가, 임원, CEO
위상을 통한 이익 추구: 네트워크 지리학

HUBS 3_슈퍼허브는 어떻게 연결되는가_돈과 정보 그리고 기회
네트워크의 핵: 래리 핑크
네트워크를 지배하는 힘: 돈
금융시장을 움직이는 정보: 개인적인 인맥
이익을 돌려주는 투자: 사회자본
커질수록 더 많이 얻는 구조: 멱함수 법칙

HUBS 4_어떤 사람이 슈퍼허브가 되는가_슈퍼허브의 DNA
권력을 추구하는 알파 성향: 제이미 다이먼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정서지능: 감성적 유대
사교성과 영업 능력: 스티븐 슈워츠먼
변화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상황지능: 탐구심
자신만의 철학: 사상의 고안
열정적인 끈기: 실패의 종교
최고자아도취자: 빌 그로스
편집광적인 집중: 레이 달리오

HUBS 5_슈퍼허브는 어떻게 힘을 키우는가_유사성과 연결성
자선 단체를 통한 인맥 구축: 로빈 후드 갈라
왜 부자가 더 부유해지는가: 부익부 현상
초국가적 금융 엘리트 모임: 극소공동체
아는 사람과 일한다: 동종애
같은 학교, 같은 회사 출신: 최고 학벌과 최고 스펙
상상을 초월하는 부: 슈퍼허브와 슈퍼리치
부자들의 동네: 군집 효과

HUBS 6_인맥이 돈이 되는 세상_배타적인 인맥 구축
슈퍼허브들의 슈퍼허브: 클라우스 슈밥
특혜를 나누는 친구들: 관계 자본
친구를 얻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법: 최고네트워크책임자
금융계의 숨겨진 영향력: 싱크탱크

HUBS 7_그들만의 우주_회원 전용 플랫폼
대가가 걸린 만찬: 대중의 비난
왜 네트워크에 플랫폼이 필요한가: 연결성
권력자들의 연례 행사: 세계경제포럼
국제 금융 권력의 중심: 국제통화기금
권력자들의 정상회의: 빌더버그 컨퍼런스
은밀한 권력: 자산관리사 모임
점심 식사: 단골 레스토랑
건강 관리: 시타라스 피트니스
특별한 인맥 강화: 저택에서의 파티
전략적인 목적: 자선활동

HUBS 8_슈퍼허브가 치르는 대가_기회비용
놓쳐버린 소중한 순간들 : 찰스 달라라
슈퍼허브로 사는 것이 좋지만은 않을 때: 스트레스 테스트
거인들의 싸움: 쿠데타와 복수
승리와 패배: 요제프 아커만

HUBS 9_여성들은 들어갈 수 없는 세계_여성경제학
실종된 여성들: 성 간극
남성들의 동종성 선호: 접근권 간극
적응하거나 탈락하거나: 인맥 활용 간극
실적이냐, 잠재력이냐: 평가 간극
여성에 대한 경시: 임금 간극
여성을 승진시키는 이유: 실패 간극
멘토의 부재: 멘토 간극
월가의 늑대들: 성차별 간극
남성의 강함과 여성의 약함: 회복력 간극
간극을 메우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HUBS 10_돌고 도는 권력_회전문 현상
정치와 금융의 공생: 심리적 납치
퇴임 후 기업 임원이 되는 공직자들: 회전문
위기가 오면 뭉친다: 교차 인맥
가장 확실한 성장 전략: 대통령 만들기
돈으로 살 수 있는 최고의 민주주의: 로비 활동
유로 시한폭탄의 해체: 관계권력
세상을 지배하는 자본가 네트워크: 서로 얽힌 금융기관

HUBS 11_슈퍼허브의 연결선이 끊어지는 경우_축출과 복귀
자신에 대한 과신과 고립을 선택한 결과: 딕 풀드
끊임없이 논란을 일으키는 천재: 래리 서머스
위법적인 내부자 거래: 마이크 밀켄
네트워크의 완전 붕괴: 도미니크 스트로스 칸
사기와 성추문: 버디 플레처와 엘렌 파오
직위를 잃어도 연결을 지켜낸다면: 마이클 클라인

HUBS 12_붕괴될 것인가, 진화할 것인가_새로운 위기
금융 위기의 예고편: 존 메리웨더
곳곳에 켜지는 경고등: 엇나간 자본주의
세계 질서가 바뀌는 시작점: 브렉시트
점점 취약해지는 시스템: 경영자 전염
독점 구조에 변혁을 일으키는 방법: 필요한 조치

감사의 글
부록

찾아보기

저자소개

산드라 나비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글로벌 경영 컨설팅 기업 비욘드글로벌(BeyondGlobal)의 창립자이자 CEO. 독일 쾰른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뉴욕 포드햄대학교 로스쿨에서 금융법 석사 학위를 받았다. 파리 소르본대학교에서 공부한 뒤 금융산업규제국(FINRA)에서 관리하는 시리즈 7 시험(Series 7 Exam)을 통과해 국제 재무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글로벌 회계 컨설팅 그룹 딜로이트(Deloitte)에서 국제 자본시장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세계 금융 시스템에 관한 정확한 이해와 날카로운 논평으로 BBC, ARD, ZDF, CNBC, n-TV, Fox Business, CCTV China, Voice of America 등 전세계 리딩 언론에서 600회 이상 인터뷰했고 세계경제포럼에서 수차례 기조연설을 하기도 했다. 2007년 방송된 TV 다큐멘터리 〈월스트리트 전사들(Wall Street Warriors)〉에서는 ‘월가를 이끄는 6인’ 중 한 사람으로 소개된 바 있다. 이후 저자는 독일과 미국 정부로부터 자격을 위임받은 국제 금융 전문가로 거시경제 및 정부와 기업의 전략적 포지셔닝을 컨설팅하면서, 탁월한 전문성과 방대한 인맥을 바탕으로 전세계 금융 엘리트들과 정부 최고위층의 사업을 연계해주는 일을 수행해왔다. 이른바 ‘슈퍼허브들을 연결해주는 슈퍼허브’다.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슈퍼허브($UPERHUBS)’는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강력한 힘을 가진 극소수 금융 거물들을 일컫는 용어다. 저자는 4년에 걸친 취재와 자료조사 그리고 루비니글로벌이코노믹스(RGC) 대외관계책임자(LLC)로 활동하면서 직접 만난 슈퍼허브들의 생생한 인터뷰를 기반으로 《슈퍼허브》를 완성했다.
펼치기
김태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문 번역가. 경제·경영, 인문·교양, 자기계발 등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번역한다. 옮긴 책으로 《모닥불 타임》 《가난한 찰리의 연감》 《살아 있는 것은 모두 게임을 한다》 《당신이 무언가에 끌리는 이유》 《불안이라는 중독》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누리엘 루비니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예견한 것으로 잘 알려진 경제학자로, 현재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 경제학과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글로벌 거시경제 컨설팅회사 루비니 매크로 어소시에이츠(Roubini Macro Associates)의 창립자 겸 회장이며, 투자자문사 아틀라스 캐피털 팀(Atlas Capital Team)의 수석 경제학자 겸 공동 창립자다. 루비니는 2006년 국제통화기금(IMF) 세미나에서 주택시장 버블 붕괴, 금융회사 파산 등 미국 경제의 ‘12단계 붕괴론’을 제시한 바 있다. 당시에 외면받았던 그의 경고는 얼마 지나지 않아 현실이 되었고, 미국에서 시작된 불황은 전 세계를 덮쳤다. 전작 《위기 경제학》은 금융 위기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이후를 전망한 책이다. 이 책 《초거대 위협》에서는 부채 증가, 경기침체, 통화 붕괴, 고령화, 지정학적 갈등 등 오늘날 전 세계에 드리운 위기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논한다. 이전에는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국제문제 수석 경제학자였으며, 미 재무부 국제문제 차관의 수석고문을 지냈다. 또한 경제연구소 루비니 글로벌 이코노믹스(Roubini Global Economics)의 공동 창립자이기도 하다. 이 회사의 웹사이트는 〈월스트리트 저널〉과 〈이코노미스트〉에서 경제학 부문 최고의 웹 리소스 중 하나로 선정된 바 있다. 그동안 거시경제 문제와 관련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CNBC, CNN, 야후 파이낸스 등 다수의 매체에 출연했다. IMF와 세계은행을 비롯한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여러 기업에서도 그의 자문을 받고 있다. 국제문제 오피니언 전문 매체 프로젝트 신디케이트(Project Syndicate)에서는 매달 그의 칼럼이 발행된다. 뉴욕대학교에 부임하기 전에는 예일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이탈리아 밀라노의 보코니대학교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뉴욕에 거주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금융은 심화되는 부의 격차와 불평등을 초래한 주된 동인이기도 했다. 세계적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극심한 빈곤은 역대 최저 수준까지 줄어들었지만 부의 격차는 크게 늘어났다. 그래서 지금은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르렀으며,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옥스팜(Oxfam)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36억 명의 가난한 사람들이 가진 재산을 80명이 보유하고 있으며, 최상위 1퍼센트의 부가 곧 나머지 99퍼센트의 부를 넘어설 것이다. 이 초엘리트 집단에 속한 사람들 중 다수가 금융인이다.
---p.44 「HUBS 1 금융도 사람이 움직인다」 중에서


보수 기준 최상위 25명의 헤지펀드 운용역들이 받은 전체 금액은 2013년에 211억 1,000만 달러, 2014년에 116억 2,000만 달러, 2015년에 129억 4,000만 달러였다. <가디언>이 지적한 대로 최상위 2명인 시타델의 케네스 그리핀과 르네상스테크놀로지스(Renaissance Technologies)의 제임스 사이먼스(James Simons)가 각각 받은 17억 달러는 연간 1만 5,080달러인 최저 임금을 받는 11만 2,000명의 연봉과 같다. 실제로 사이먼스가 2015년에 받은 연봉은 너무나 많아서 국가로 치면 생산력 기준으로 178위에 해당할 정도다.
---p.137 「HUBS 5 슈퍼허브는 어떻게 힘을 키우는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