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법의 무기, 뉴질랜드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

마법의 무기, 뉴질랜드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

앤-마리 브래디 (지은이), 김동규 (옮긴이)
미디어워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법의 무기, 뉴질랜드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법의 무기, 뉴질랜드에 침투한 중국 공산당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91192014067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22-11-07

책 소개

호주에서의 중국 공산당 침투 문제를 고발해 작년봄 한국에서도 화제가 된 책 ‘중국의 조용한 침공’의 프리퀄과 같은 작품으로, 뉴질랜드를 사례로 하여 중국 공산당이 벌이고 있는 해외 정치 공작 활동의 한 ‘전형’을 설명해주고 있다.

목차

추천사 p.5

핵심요약 p.24

제 1장. 개요 p.26

제 2장. 중국 외교 정책에서 중국 공산당의 역할 p.30

제 3장. 시진핑 시대 중국 정치 공작의 목적과 그 수법 p.42

“해외 중국인의 애국심과 능력을 한데 모아라”
외국인을 이용해 중국을 이롭게 하라
“중국의 메시지가 이 시대의 가장 큰 목소리가 되게 하라”
일대일로

제 4장. 중국이 뉴질랜드에 흥미를 보이는 이유 p.56

제 5장. 중국이 뉴질랜드에서 벌이는 정치 공작 활동 p.66

‘마법의 무기’를 꺼내들다 : 중국이 뉴질랜드에서 벌이는 정치 공작 활동
외국인을 이용해 중국을 이롭게 하라
중국의 글로벌 멀티플랫폼 커뮤니케이션 전략
중국 중심의 전략적 경제블록 구축

제 6장. 결론 p.124

제 7장. 후기: ‘마법의 무기, 시진핑 정권하 중국의 정치 공작 활동’ p.132

회복 전략(resilience strategy)을 공개하다, 2018-2021

감사의말 p.148

후주문헌 p.150

내주문헌 p.188

색 인 p.203

저자소개

앤-마리 브래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정치, 남극 관련 국제정치, 뉴질랜드 외교정책, 태평양 지역 정치 등을 전문으로 하고 있는 학자로, 현재 아오테아로아(Aoteatoa)-뉴질랜드(New Zeland) 남섬의 주요 도시인 오타우타히(Otautahi)-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 소재, 캔터베리대학교(University of Canterbury) 정치학 및 국제관계학과에서 정교수로 재직중이다. 뉴질랜드 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New Zealand) 펠로우, 우드로 윌슨 센터(Woodrow Wilson Centre)의 글로벌펠로우, 호주전략정책연구소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의 시니어펠로우 등의 명예직책을 겸임하고 있다.
펼치기
김동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신소재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여러 기업체에서 경영기획 업무를 수행했으며, 현재 엔터스코리아 소속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1초의 탄생》, 《극한 갈등》, 《아날로그의 세계》, 《스토리의 기술》, 《비트코인, 초제국의 종말》, 《나의 뇌를 찾아서》, 《벤 버냉키의 21세기 통화 정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본 정책보고서는 시진핑 체제 중국의 해외 정치 공작 활동을 대표적 사례인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뉴질랜드와 중국의 관계에서 흥미로운 점은, 중국 정부가 중국과 뉴질랜드의 관계를 중국이 다른 국가들과 맺는 관계를 예시하는 하나의 모범(exemplar)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2013년, 주뉴질랜드 중국 대사는 양국 관계를 일컬어 “기타 서구 국가에 대한 모델”이라고 말했다. 2017년에 중국 총리 리커창이 뉴질랜드를 방문한 후, 중국의 한 외교관은 양국 관계를 1960년대 중국과 알바니아 사이에 맺었던 긴밀한 관계에 곧잘 비유하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새롭게 부상하는 수정주의 국가다. 중국 공산당 정부는 외부 세계가 바라보는 오늘날의 중국이 왜곡되고 부정적인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중공 정부는 오래전부터 자신을 둘러싼 안보 환경을 바꿔놓겠다고 결심했고, 이에 따라 1990년대부터 하드파워 역량을 착실히 구축해왔다. 1990년대 초부터 시작된 두 자릿수의 경제성장은 중국을 세계적 경제 강국의 지위에 올려놓았다. 그리고 후진타오 정권 이후 중국은 종합적 국력을 강화하기 위해 소프트파워 활동에도 꾸준히 투자해왔다. 그러나 조지프 나이에 따르면 중국(그리고 러시아)은 아직도 소프트파워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지 못하고 있으며, 그가 측정하는 방식의 소프트파워, 즉 문화적 매력, 정치적 가치, 외교 정책 등의 면에서 여전히 취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조지프 나이는 국가의 소프트파워 향상에 미치는 시민사회의 역할을 강조한다. 그러나 중국은 통일전선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일당독재 기관과 그 계열 조직을 이용하여 소프트파워와 하드파워를 모두 발전시키고자 하며, 따라서 소프트파워 강화 수단이라는 면에서 훨씬 더 광범위한 접근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