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91192886558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4-09-30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1장. 공연기획의 기초
공연기획의 이해
공연기획의 범위
공연기획의 구성 요소
공연기획의 가치
2장. 공연기획의 시작
전향적 사고(思考)
공공극장의 딜레마
예술 소비 행동 변화
공연기획자의 사회적 역할
공연기획 아이디어 발상법
공연기획 기초 체력 다지기
공연기획 입문자가 갖추어야 할 10가지 소양
3장. 공연기획의 원리
공연기획의 의의
공연기획자의 자세
공연시장의 변화와 대응
공연계획서 작성의 5단계
공연의 사전 보고와 실행
예술 소비 주체와 행동 특성
공연계획서 작성의 기본 원칙
테크니컬 라이팅
4장. 공연기획의 실전 전략
전략적 기획서 작성
극장의 유형과 역할
민간극장 운영 주체
극장의 공간 구성
극장 트렌드 전략
공연기획자의 단계적 성장
5장. 홍보 마케팅
공연예술 홍보의 의의
공연예술 홍보
공연예술 마케팅의 의의
티켓 매니지먼트
티켓 매니지먼트 실무
공연예술 홍보 활용 매체
이슈 개발 전략
보도와 언론환경 이해
공공극장의 위기관리
6장. 재원 조성
재원 조성의 의의
재원 조성의 유형
재원 조성의 방법
스폰서십 제안
설득과 협상
재원 조성의 발전과 현황
7장. 공연 계약
공연 계약의 이해
공연 계약의 종류와 특수성
공연 계약 실무
지계법(法)의 적용
8장. 공공극장
공공극장의 특성
공공극장의 커뮤니케이션
공공극장의 조직 구조
공공극장의 레퍼토리
공공극장의 역할과 방향
공공극장의 변화와 전략
9장. 공연기획자
공연기획자의 가치 인식
공연기획자의 마인드
문화 DNA
【부록】 공연기획 전문가 인터뷰
극장 용어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실제 공공극장에서 일하는 공연기획자는 대다수가 1인 주무 체제로 조직되어 공연계획서 작성을 포함한 행정, 작품 선정, 조직 관리, 예산 운용, 홍보, 마케팅, 티켓 판매, 공연 진행, 관객 안전, 수입금 정산 관리, 평가 등 모든 프로세스를 총괄하게 됩니다. 이런 점에서 공연기획자의 업무는 방대하고도 복잡합니다.
이 책은 단순히 공연기획자의 직무와 업무 프로세스를 열거하기보다는 예비 기획자, 신입 기획자가 공공극장 기획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중심의 내용에 무게를 담았습니다. 또한 이론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실무 모두를 고루 갖춘 교과서 역할을 자처했습니다.
공연기획의 범위는 매우 넓다. 일반적으로 기획 행정, 예산 운용, 출연자, 스태프, 공연 참여자 등의 일정 관리, 작품 섭외 및 캐스팅, 장소 선정, 조직 구성 관리, 홍보 마케팅, 리허설 및 공연 진행, 정산 및 평가 등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공연기획은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범위로 확장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