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관광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전략적 가치

관광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전략적 가치

김준호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관광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전략적 가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관광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전략적 가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관광학
· ISBN : 979119471624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관광산업의 환경·성평등·소득불균형 완화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했다. 경제성장, 안전, 행복, 혁신, 성평등, 분배 등 여섯 영역에서 관광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실증하며 지속가능한 관광의 전략적 가치를 제시한다.

목차

제1장 인바운드 국제관광과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지역 간 경제수준 차이의 조절효과
1. 시작하는 말 / 17
2. 인바운드 국제관광과 경제성장 / 21
3. 인바운드 국제관광과 지역 간 경제 수준 / 24
4. 논의의 실증 / 27
1) 연구 방법과 자료 분석 / 27
2) 가설의 설정 / 31
3) 변수의 측정 / 34
5. 실증결과 / 37
6. 맺는 말 / 40

제2장 사회 안전과 보안, 보건과 위생의 상호작용이 관광산업 발전에 미치는 영향
1. 시작하는 말 / 49
2. 관광경쟁력의 의의 / 53
3. 안전과 보안 및 관광 / 57
4. 보건과 위생 및 관광 / 61
5. 논의의 실증 / 63
1)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 63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65
3) 통제변수 / 67
6. 분석 방법 / 68
7. 실증결과 / 71
8. 맺는 말 / 73

제3장 환경 지속가능성과 관광산업이 거주민 행복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1. 시작하는 말 / 81
2. 환경 지속가능성과 거주민 행복 / 85
3. 관광산업과 거주민 행복 / 90
4. 환경 지속가능성과 관광산업 / 96
5. 논의의 실증 / 98
1) 자료의 수집 / 98
2)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 98
3) 변수의 측정 / 101
6. 실증결과 / 103
7. 맺는 말 / 105

제4장 노동시장 유연성과 혁신의 상호작용이 관광산업 경쟁력에 미치는 효과
1. 시작하는 말 / 113
2. 노동시장과 관광산업 / 117
3. 혁신과 관광산업 / 119
4. 노동시장과 혁신 / 122
5. 논의의 실증 / 125
1) 자료의 수집 / 125
2) 실증절차 및 자료 분석 / 126
3) 변수의 측정 / 128
6. 실증결과 / 131
7. 맺는 말 / 133

제5장 관광경쟁력이 성평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요소 주도형, 효율 주도형, 혁신 주도형 국가 그룹의 조절 효과
1. 시작하는 말 / 141
2. 관광경쟁력과 성평등 / 144
3. 관광경쟁력과 성평등의 국가단계별 차이 / 147
4. 논의의 실증 / 151
1) 자료의 수집 / 151
2)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 152
3) 변수의 측정 / 156
5. 실증결과 / 158
6. 맺는 말 / 166

제6장 성평등과 관광의 상호작용이 소득불균형 완화에 미치는 효과
1. 시작하는 말 / 175
2. 성평등과 소득불균형 / 179
3. 관광과 소득불균형 / 182
4. 성평등과 관광 / 186
5. 논의의 실증 / 189
1) 자료의 수집 / 189
2)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 190
3) 변수의 측정 / 193
6. 실증결과 / 196
7. 맺는 말 / 198

참고문헌 / 203

저자소개

김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과 졸업(경제학사) Cheung Ko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MBA 졸업(경영학석사)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과 졸업(관광학박사) 주요경력 (현) 전남대학교 문화관광경영학과 부교수 (현) 전라남도관광재단 이사 (현) 전라남도 축제심의위원회 의원 연구분야 관광경영전략ㆍ문화관광ㆍ관광경제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인바운드 국제관광과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지역 간 경제수준 차이의 조절효과
1. 시작하는 말
관광산업은 글로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증가하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이다. 관광 분야는 노동집약적 산업으로서 숙박, 교통, 식음료, 관광 설비 등에서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여 관광대상지의 주민과 지방정부의 수익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관련 분야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므로 관광은 경제성장을 실현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관광이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유발하고 촉진하는 것은 관광 주도 경제성장 가설(Tourism-led growth hypothesis)로 뒷받침된다.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부정적 영향에 민감한 산업 특성이 있으나, 힐링・치유・생태관광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한 관광산업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관광객을 호스트 국가에 유인하는 인바운드 국제관광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장기적인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외화 수입원으로서 해외로부터 자본재 및 원자재 수입에 필요한 재원이 된다. 또한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교통, 행정 시스템 등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자국 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 경쟁을 유발하여 산업 체질을 강화한다. 더불어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관광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직・간접효과 및 유발효과로 다른 산업의 동반 성장을 유도한다. 나아가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지역산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원가절감을 통한 경쟁력을 강화하여 지역경제의 수익 증대에 기여한다. 그리고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선진 해외시장으로부터 기술 지식의 도입, 연구개발 촉진 및 인적자본 형성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관광의 경제적 효과는 소득과 고용 등 전통적인 성장 지표와 관련한 연구가 다수이며, 빈곤율 개선이나 지역 불균형 완화 등 분배 효과와 관련한 연구는 충분치 않다. 관광은 경제가 먼저 발전한 중심지로부터 저개발 지역으로 개발의 성과를 분배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관광개발은 지역 간 격차를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EU는 저개발 및 농촌지역의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원동력으로 관광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연구는 관광 주도 경제성장이 지역 간 격차를 오히려 확대할 수 있으므로, 지역 간 균형개발에 대한 관광의 영향은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한다.
개발이 늦은 경제 낙후지역 또는 국가는 인바운드 국제관광 수입의 경제적 기여가 높다. 이들 지역에서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선진경제로부터 서비스산업 유입으로 전통 제조업과 함께 건설 및 금융 서비스로의 산업구조 재편 효과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은 국제무역을 확대하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하여 국가 경제 성장을 촉진하나, 경제 후발 지역은 자원 부족에 따른 사업 다각화 미흡, 수출 집중에 따른 국내 시장 기반 약화, 작은 시장규모로 고비용 구조라는 한계를 나타내며 사회적 자본에 높은 의존을 보인다. 외부요인으로부터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할 때 개별 지역과 국가의 내생적인 환경을 고려해야 하며, 저개발 지역의 개발 전략으로서 관광산업은 인바운드 국제관광객의 유입으로 높은 현지 가격 책정, 수출이 쉽지 않은 농업 제품의 판로 확대 등의 장점이 있다.
산업적 관점에서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부족한 시장수요를 확대하여 현지 제조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여 공급 경쟁력을 향상한다. 또한 상품과 서비스의 수준을 높이는 신규 기업과 상품으로 경쟁을 유발함으로써 산업구조를 고도화한다. 나아가 인바운드 국제관광은 범위의 경제를 실현하여 서비스산업을 다각화함으로써 소비자 선택을 확대하고, 이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로 낙후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
한편 20세기 이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증가하는 지역 불균형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특히 중국은 1인당 국내총생산 및 1인당 소비지출 측면에서 동부에서 서부지역으로, 연안에서 내륙지역으로 갈수록 경제개발 수준의 감소를 나타내 지역적 격차가 큰 실정이다. 중국의 연안 지역은 국토면적의 약 10% 남짓을 차지하나 국내총생산의 50% 이상을 점유하여 내륙지역과 경제적 격차가 크며, 냉전 시대에 태평양에서 지리적으로 떨어진 내륙지역에 집중되었던 산업기반이 경제개발과 더불어 해외 진출에 유리한 연안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급격한 개발이 이루어졌다. 중국의 연안 지역은 주로 우리나라의 서해 및 동중국해와 접한 지역으로 북경, 상해, 천진, 강소성, 광동성, 복건성, 산동성, 요녕성, 절강성, 하북성, 해남성이 해당된다. 양극화된 발전은 국가 경제 전반의 지속적 성장에 필요한 사회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의료 및 교육 기회 등 삶의 질 분야에서 여러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지속해서 확대되는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인바운드 국제관광 개발은 지역 불균형 발전 완화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인바운드 국제관광이 지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도 불구하고, 지역 간 경제 수준 차이를 비교하여 인바운드 국제관광의 경제성장 효과를 실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인바운드 국제관광이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을 촉진한다는 견해가 있으나, 국가 내 지역들의 경제 수준에 따른 인바운드 국제관광의 효과를 비교하는 것은 같은 경제 및 정치체제, 산업 생산요소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인바운드 국제관광의 경제적 기여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장은 첫째, 인바운드 국제관광의 경제성장 효과와 함께 경제 수준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서 인바운드 국제관광 주도 경제성장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관광개발과 지역의 소득 불균형 완화 간 이론적 연관성을 확립하고 중국의 31개 성 사례에 기반하여 실증적 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이로부터 지역 균형발전의 전략산업으로서 인바운드 국제관광산업의 활용 방안과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