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문학사
· ISBN : 9791195464067
· 쪽수 : 234쪽
· 출판일 : 2015-01-26
책 소개
목차
제1부 1930년대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11/
제1장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전개 양상 /13/
제1절 머리말 /13/
제2절 계급의식의 도입과 저항의식의 대두 /16/
제3절 예술운동의 볼셰비키화와 유물변증법적 리얼리즘 /26/
제4절 식민지 사회의 형상화와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33/
제5절 맺음말 /41/
제2장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양상 /45/
제1절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본능의 수용 /45/
1. 머리말 /45/
2. 대중화 문제와 본능의 담론화 /48/
3. 본능의 수용 양상 /54/
1) 「물!」과 가면박탈의 정신 /54/
2) 「서화」와 성적 욕망의 형상화 /63/
4. 맺음말 /72/
제2절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연애의 담론화 /74/
1. 머리말 /74/
2. 프로문학의 대중화 문제와 연애 담론 /76/
3. <고향>의 연애서사 양상 /83/
1) 원초적 본능으로서의 연애 풍속도 /83/
2) 계급투쟁 논리로서의 동지적 사랑 /87/
4. 맺음말 /95/
제3절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여성지식인의 형상화 /97/
1. 머리말 /97/
2. 여성지식인의 수용과 전개 과정 /100/
3. 연애 서사와 노동운동의 양상 /105/
1) 연애 서사와 희생의 대응 논리 /105/
2) 노동 운동과 낙관주의적 전망 /112/
4. 맺음말 /120/
제2부 한국소설과 사회적 응전력 /123/
■ 신채호의 독립자강 사상과 애국시가 /125/
1. 머리말 /125/
2. 국수주의 실체와 시의식 /127/
3. 민족주의 형성과 새로움의 요소 /136/
4. 독립사상의 변모와 시적 대응양상 /143/
5. 맺음말 /157/
■ 조명희의 소설과 식민지 사회의 조망 /160/
1. 머리말 /160/
2. 지식인 삶의 양상과 허위의식 /163/
3. 이념형 인물의 현실 대응력과 식민지 사회의 조망 /170/
4. 맺음말 /179/
■ <林巨正>의 민중의식과 봉건의식 /181/
1. 머리말 /181/
2. 보수와 진보의 양면성 /183/
3. 계급의 경계 허물기와 민중의식 /188/
4. 지배계층의 형성과 봉건의식 /202/
5. 맺음말 /213/
참고문헌 /217/
찾아보기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