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91195568734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6-02-15
책 소개
목차
1 어머니 황하 [삼국요람]
2 황하 문명 [황하간전]
3 환관의 그림자 [유령묘참]
4 묘와 슬픔의 조기 [장안환몽]
5 「이릉」 [이릉궁절]
6 여불위 기담 [장로왕국]
7 채옹과 연리송 [망향별리]
8 채문희 [문희귀한]
9 푸른 하늘 끝나다 [황건봉기]
10 황건의 깃발 [거록산괴]
11 <청명상하도> [송도어가]
12 『삼국지 빛나는 군상』 [태행결집]
13 면종복배 [노천시장]
14 짐독 [중민위급]
15 하진 암살 [하진암살]
16 병참기지 [환관주멸]
17 들개 동탁 [황제경질]
18 토벌군 거병 [반동동맹]
19 조조의 등장 [조조출려]
20 연합군의 휴일 [굴원비분]
21 동탁의 최후 [요부초선]
22 동탁 사당의 마당 [미오추색]
23 원소의 황제 공작 [오소야습]
24 교계 전투 [교계역습]
25 청주병과 원수 갚기 [천수원망]
26 조조군의 참모 [동탁참상]
27 조조와 여포 [병참급습]
28 낙양의 봄 [마초패주]
29 원술과 여포 [유비입촉]
30 진의록 부인 [여포탈락]
31 밀서 <조조 암살> [용문석굴]
32 관도 전투 - 관우의 분전 [백마선승]
33 관도 전투 - 보급선 [의인관우]
34 관도 전투 - 오소 급습 [원소괴멸]
35 원소의 종말 [박망저지]
36 유표의 소식 [장강군청]
37 도원의 맹세 [부성교환]
38 유비와 부장들 [천극연의]
39 조운 사당 [조운모경]
40 사서의 문체 [공명대지]
41 삼고의 예 [초려삼고]
42 천하삼분지계 [현무소소]
43 루쉰의 이야기 [소흥유한]
44 「문자화」 [가교재방]
45 시인 조조 [동관풍도]
46 종군시 [유비동정]
47 『흐르는 별은 살아 있다』 [백성수종]
48 장안에 뜬 한 조각 달 [육손고리]
49 장판 싸움 [장비당천]
50 오의 손견 [조운분투]
51 손책과 주유 [망향손씨]
52 노숙과 장소 [고소번화]
53 적벽 전투 - 천수 [적벽전야]
54 적벽 전투 - 전야 [손권결단]
55 적벽 전투 - 결전 [전함염상]
56 적벽 전투 - 옛 전쟁터 [적벽추경]
57 황학루 [건업성춘]
58 조차지 문제 [모하오경]
59 감로사의 연회 [인가정략]
60 조조, 위공이 되다 [감로풍설]
61 형벌 [낙성공략]
62 한신과 복수 [방통피전]
63 장로 토벌 [용문고진]
64 오두미교의 계율 [한중계륵]
65 약자를 위한 포고 [취향서호]
66 계륵의 땅 [황충분전]
67 관우의 최후 [삼협정연]
68 조조의 최후 [영걸서세]
69 장비의 최후 [이릉망막]
70 백제성으로 [육손압승]
71 유비의 최후 [백제망촉]
72 촉의 잔도 [진령고경]
73 절벽 위의 묘 [위급존망]
74 「출사표」 [유조순수]
75 검문관 너머 [검문고도]
76 울면서 마속을 베다 [황토요원]
77 삼국의 정립 [석두홍색]
78 영고성쇠 [추풍포진]
79 오장원에 별이 지다 [유성미첩]
80 『대지』 [회억대지]
81 『아편전쟁』 [서진도가]
82 『건건록』 [풍교야박]
83 『자야』 [운하소요]
후기
삼국지 연표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황건군은 일종의 농민봉기지만, 배경에는 종교적이기까지 한 비장감이 있다. 먹고 살기 위한 싸움이기도 하다. 전투원은 많아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솟아나오듯 배출된다. 아마추어여서 전투 훈련 따위는 없다. 수는 많은데 실전에는 약하다. 조정에 대한 충절 같은 대의명분은 없다. 있다면 종교인데 세상을 바로잡겠다는 신념이다. 이룰 수 없는 꿈을 위해 싸우는 것이니 참으로 가련하다.
고래로 전리품은 전쟁에 뒤따르는 축복이었다. 장군들은 미술품을, 일개 병사들도 목걸이 등을 얻어 걸치고 기쁨에 들떴다.
“전리품이 승리한 자들의 몫이 되는 관습을 사람들은 조금도 부정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