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6957506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제1부
‘가장 절박한 문제’
조화
현실의 두 가지 측면
우주 안의 그리고 내 안의 조화의 법칙
마음이란 무엇인가?
너무나도 인간적인 ‘나’: 더 이상 화내지 않는 기술
네 가지 정상적인 자기감정
자존 / 내면의 자유 / 내적 만족 / 자기신뢰
제2부
네 가지 자기감정에 대한 체크리스트
당신의 만족을 검사하라(뤼셔 청색)
당신의 자존을 검사하라(뤼셔 녹색)
당신의 자기신뢰를 검사하라(뤼셔 적색)
당신의 내면의 자유를 검사하라(뤼셔 황색)
‘ 내면 ’ 이란 무엇인가?
여섯 가지 라이프 스타일
자기중심적 악순환
자기중심화와 객관화: 현명하게 행동하는 기술
조화로운 균형에 이르는 네 가지 길
논리적인 의미이해
윤리적인 의미이해
미학적인 의미이해
실행적인 의미이해
정상적인 자기감정이 정상적인 관계를 만들어낸다
자기신뢰와 실용적인 의미이해
자존과 윤리적인 의미이해
내면의 자유와 미학적인 의미이해
만족과 논리적인 의미이해
자기감정과 관계의 상호작용
부담덜기 치료
치료 전략
제3부
다른 한쪽의 현실
객관적인 진리와 주관적인 진리
심리학과 자연과학
주체란 무엇인가? : ‘비개인적인 나’
개체로서의 주체 : 개체가 신체가 아닌 이유
의미의 이해: 양심과 신조
소원은 가짜 ‘이상’이다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 현재에 사는 기술
‘시간’이란 무엇인가?
시간에 대한 오해와 원인에 대한 오해
객관적인 공간과 주관적인 공간 : 감정을 체험하는 기술
‘ 나는 생각한다……’ 란 무슨 뜻인가?
직관 또는 깨달음
직관은 배울 수 있는가?
직관의 종류
경험은 직관의 양분
객관적인 가치와 주관적인 가치: 조화로운 보완으로서의 교환
자기조절 : ‘내면의’ 저울
객관적 세계의 네 가지 측면
‘정신신체증’: 육체와 영혼의 문제
상징이란 무엇인가?
표 : 객관적 세계의 네 가지 측면
자기조절심리학
두 가지 비정상: 과대평가와 과소평가
평가, 판단, 이해
제1차원 : 국면
제2차원 : 연속, 변화
제3차원 : 감정적 커뮤니케이션
사랑
제4부
‘육체, 영혼, 정신’이란 무엇인가?
자기조절심리학 이론의 요약
네 가지 차원
진단구조에서 치료구조로
현실은 ‘만물의 척도’
표로 나타낸 구조적 자기조절심리학
제1차원 : 국면
제2차원 : 연속
제3차원 : 감정적 커뮤니케이션
제4차원 : 함수, 주관적 평가
범주적 심리학의 뤼셔 주사위
뤼셔 주사위의 생리학
치료목표와 치료전략의 조사
도덕에 대한 양심과 윤리
양심이란 정말로 무엇인가?
윤리의 토대로서의 양심
윤리적 근본규범
양심의 가책
병적 양심
여덟 가지 비정상적 자기감정
도덕성을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들
칸트는 ‘내 안의 도덕법칙’에 대한 어떠한 근거도 찾지 못했다
감정 주기율표
범주적 심리학의 기초
범주적 조절심리학의 세 가지 차원
범주적 조절심리학의 주기율표
네 가지 기본구조 : 세 가지 차원의 1, 2, 3, 4
논리적 범주와 경험적 개념의 조합
‘육체, 영혼, 정신’이란 무엇을 뜻하는가?
진단구조에서 치료구조로
원인의 진단
맺음말
책속에서
우리 몸의 운명도 우리의 라이프 스타일에 달려 있다. 오로지 자연과학적 으로만 생각하는 의학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도 훨씬 많이 말이다. 모든 감정은 동시에 몸의 상태이기도 하다. 흥분 또는 평온, 긴장 또는 이완의 감정은 동시에 몸속에서 진행된다. 정확한 관찰과 측정을 통해, 또 나타나는 질환을 통해, 신체의 어느 부위에 이 감정들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제 사례를 하나 들어보겠다.
- <여섯 가지 라이프 스타일>에서
엘리트형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자존과 만족이다. 밖에서 보면 위엄 있는 것이 눈에 띄기 때문에, 잘 모르는 사람은 위엄을 인정받는 것이 그에게는 중요하게 여긴다든가 아니면 자존을 지키려고 자기의 신념에 따라 사는 것을 그가 중요시한다고 피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 인정과 자존은 무엇보다도 만족 속에서 살기 위한 수단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한 가지 통찰이 그에게는 완전히 뿌리박혀 있기 때문이다. 바로, 사람은 자기의 확신대로 살고 타협 없이 자존을 지킬 때에만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엘리트형 인간의 청- 녹 라이프 스타일>에서
우리가 정상적인 자기감정에서 벗어나게 되면, 우리는 비정상적인, 잘못되고 해로운 자기감정에 빠진다. 사람들 대다수는 습관적으로 잘못된 자기감정을 안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그 해로움을 진부한 것으로 깎아내리거나 무시한다. 화가 나거나, 실망하거나, 모욕감을 느끼거나, 불만족스러운 상태가 되더라도, 우리는‘화가 나는 것은 인간적인 것이다. 만족하지 못하는 것, 모욕감이나 실망감을 느끼는 것은 인간적인 것이고 정상적인 것이다’라는 주장으로 발뺌한다.
- <해로운 자기감정>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