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 궁중의례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 궁중의례

(禮樂으로 다스린 나라의 지혜)

양혜숙, 윤광봉, 신현숙, 김종수, 조재모, 송지원, 백영자, 김종애, 김상보, 김태연 (지은이), 한국공연예술원 (엮은이)
  |  
열화당
2018-07-01
  |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42,750원 -5% 0원 1,350원 41,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 궁중의례

책 정보

· 제목 :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 궁중의례 (禮樂으로 다스린 나라의 지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30106184
· 쪽수 : 326쪽

책 소개

'한극(韓劇)의 원형(原形)을 찾아서' 시리즈 세번째 여정인 ‘궁중의례’ 는 왕조 체제가 대대로 이어져 온 조선의 궁중문화가 어떻게 백성들을 감화시키고 나라를 효율적으로 다스리는 정책에 이바지했는지 사료들로 확인시켜 주고 있다.

목차

세번째 책을 펴내며 -양혜숙
A Summary Searching for the Roots of Korean Performing Arts: Royal Court Ceremonies
서설 / 궁중의례와 연희예술 -윤광봉

종묘제례 읽기 -신현숙
들어가는 말 / 종묘제례의 구조와 절차 / 종묘제례악: 제의적 연행 / 종묘제례의 유교적 담론 / 맺는 말

조선시대 의례의 연희자 -김종수
들어가는 말 / 오례(五禮)와 악(樂) / 의례(儀禮)의 연희자 / 맺는 말

조선시대 궁중의례와 건축공간 -조재모
의례와 건축공간 / 조선의 궁궐: 의례공간으로의 재정비 / 조선 궁궐의 운영규범, 『국조오례의』/
가장 화려한 궁중의례 진연례: 의례와 공간의 융통성 / 맺는 말

조선시대 제사음악에 담긴 유학사상 -송지원
들어가는 말 / 조선시대의 유교적 국가제사 / 사천(祀天)의례와 음악 / 제지(祭地)의례와 음악 /
향인귀(享人鬼)의례와 음악 / 맺는 말

궁중의례의 복식미 -백영자
들어가는 말 / 궁중의례 참여자의 복식 / 궁중의례 복식의 미적 특성 / 맺는 말

빈례를 통해 본 조선시대 궁중 술문화 -김종애
들어가는 말 /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연향과 주례 / 사신 통과지역에서 접대 연향과 주례 /
사신 연향의 주례 특징과 의의

『화성봉수당진찬연(華城奉壽堂進饌宴)』에 드러난 음주의례의 특징 - 김상보
들어가는 말 / 검약정신을 따른 「봉수당진찬연」 / 맺는 말

조선시대의 궁중상화 - 김태연
들어가는 말 / 궁중의례와 상화 / 봉수당진찬례 / 맺는 말

중세 한·중·일 궁정의례와 연희 - 윤광봉
들어가는 말 / 한중일의 사정 / 천자의 나라 고려 / 송대의 궁정과 악가무 / 중세 일본의 궁중과 악가무 /
고려의 사직제와 악무 / 맺는 말

주(註)
참고문헌
필자 약력


저자소개

김상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한양대학교 이학박사 학위 취득 1993~1994년 일본 국립민족학박물관 객원교수 1978~2015년 대전보건대학교 교수 현재 전통식생활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의 식음료 문화를 평생에 걸쳐 연구한 학자로, 우리 문화를 대중에게 쉽게 알리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문화체육관광부 우수 학술도서’에 다수의 저서가 선정되어 그 노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현재도 전통식생활문화연구소 소장으로서 연구에 전념하고 있다. 주요저서 《조선왕조 궁중의궤 음식문화》(1995) [우수학술도서] 《한국의 음식생활문화사》(1997) [우수학술도서] 《조선왕조 궁중음식》(2004) 《다시보는 조선왕조 궁중음식》(2011) 《약선으로 본 우리 전통음식의 영양과 조리》(2012) 《우리 음식문화 이야기》(2013) [우수학술도서] 《화폭에 담긴 한식》(2015) 《조선왕실의 풍정연향》(2016) 《한식의 도를 담다》(2017) [우수학술도서] 《전통주 인문학》(2022) [우수출판콘텐츠] 외 다수 역서 《원행을묘정리의궤》, 《찬품조》, 《어장과 식해의 연구》
펼치기
백영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 의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이화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덕성여대,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를 거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다. 서울올림픽 개폐회식의 고전공연의상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그 외 수십 편의 패션쇼와 전시, 디지털 콘텐츠 개발, KBSㆍEBSㆍOUN의 TV강의 를 했다. 한국가상캠퍼스(전국 11개 대학)에서 ‘최우수스승상’을 두 차례 수상했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 명예교수이며 설경궁중복식문화관 관장, 설경디자인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 어가행렬』(1994) 외 이십여 권, 논문은 「가례도감을 통해 본 조선궁중법복(적의)의 변천」(1977) 외 이십여 편이 있다.
펼치기
윤광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서울 출생으로, 동국대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주대, 대전대 교수를 거쳐 일본 히로시마대학에서 정년을 하고, 현재 히로시마대학 명예교수, (사) 한국공연예술원 원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한국연희시연구』(1985), 『한국의 연희』(1992), 『유랑예인과 꼭두각시놀음』(1994), 『조선 후기의 연희』(1997), 『일본의 신도와 카구라』(2009), 『한국연희예술사』(2016) 등이, 역서로 『한국의 놀이』(2003)가 있다.
펼치기
조재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궁궐, 조선을 말하다』, 공저로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 『덕천서원』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궁중의례』 『자율진화도시』 등이 있고, 논문으로 「근현대기 대구지역 한옥건축의 전개와 유형」 「좌식공간관습의 건축사적 함의?신발의 문제를 중심으로」 「조하 의례동선과 궁궐 정전의 건축형식」 「조선왕실의 정침개념과 변동」 등이 있다.
펼치기
신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서울 출생으로, 이화여대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1978년 프랑스 브장송의 프랑슈-콩테대학교에서 「장 지로두의 희곡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연극학회 회장, 한국기호학회 회장, Association Internationale du Theatre a l’Universite (국제대학연극학회) 부회장, 대산문화재단 희곡심사위원, 한국방송위원회 영화심의위원, 국립극단 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현재 덕성여대 명예교수이자 연극평론가이다. 저서로『희곡의 구조』(1990), 『초현실주의』(1992), 『20세기 프랑스 연극』(1997), 『한국현대극의 무대 읽기』(2002), 『한국 현대극의 미학과 실험』(2016)이 있다. 공저로는 『한국에서의 서양연극』(1999), 『아르또와 잔혹연극론』(2004), 『한국연극과 기호학』(2006) 등이 있다. 역서로는 『연극기호학』(1988), 『연극학 사전』(공역, 1999), 『관객의 학교』(공역, 2012) 외 다수가 있다. 프랑스정부 교육공로훈장(1987), 올빛상(평론 부문, 2010), 여석기연극평론가상(2017)을 수상했다.
펼치기
송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한국음악학 전공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비전임교수로 강의하고 있으며 국악방송에서 〈국악산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공연문화학회 명예회장이다. 조선시대의 음악사상사, 음악문화사, 음악사회사 분야의 연구를 통해 인간과 문화, 사회, 사상의 관점에서 조선시대를 읽어 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공연예술 및 축제와 의례에 대한 관심도 크다. 2002년 제3회 이혜구 학술상과 2013년 제17회 난계악학대상을 수상했다. 한국공연문화학회 회장과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의 국악연구실장,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 및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 『정조의 음악정책』, 『한국음악의 거장들』, 『조선의 오케스트라, 우주의 선율을 연주하다』, 『음악, 삶의 역사를 만나다』(공저), 『새로 쓰는 예술사』(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 한국음악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강의를 하였고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일했으며, 현재는 텃밭을 가꾸며 살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조선 초기 악장 연행(演行) 양상」, 「『樂學軌範』 악기분류의 음악사학적 고찰」, 「추상존호의(追上尊號儀)의 의식절차와 음악」 등이 있고, 저서로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문화사적 고찰』,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이 있으며, 역서로 『譯註 增補文獻備考-樂考』, 『譯註孝宗東宮日記』, 『譯註 英祖甲子進宴儀軌』, 『譯註 樂書』, 『국역 제기악기도감의궤祭器樂器都監儀軌』 등이 있다.
펼치기
양혜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6년 서울 출생으로, 서울대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튀빙겐대학 철학부에서 독문학, 미술사, 철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를,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7년부터 삼십 년 가까이 이화여대 독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1978년부터 연극평론가로 활동했다. 1991년 한국공연예술학회를, 1996년 사단법인 한국공연예술원을 창립하여 한국공연예술원 초대원장을 거쳐 2008년부터 이사장을 맡아 오면서 1997년부터 최근까지 샤마니카 페스티벌, 샤마니카 심포지엄, 샤마니카 프로젝트 등 연구와 실천을 통해 ‘한극(韓劇)의 정립과 우리 문화 뿌리 찾기’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 『표현주의 희곡에 나타난 현대성』(1978), 『연극의 이해』(공저, 1988), 『Korean Performing Arts: Dance, Drama, Music, Theater』(편집인, 1997)이 있으며, 역서로 『관객모독』(1975), 『구제된 혀』(1982) 등 열일곱 권이 있다. 예술감독 또는 연출자로서 참여한 공연 작품으로 〈업·까르마(외디푸스)〉(2002), 〈코카서스 백묵원, 브레히트〉(2003), 〈짓거리 사이에서 놀다〉(2010), 〈우주목(宇宙木) I―바리〉(2012), 〈우주목(宇宙木) II―피우다〉(2013)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종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으로, 호서대 대학원에서 공학박사를 수료하였다. 현재 세계술문화박물관 관장이며 한국전통주진흥협회와 한일친선협회 이사를 맡고 있다.
펼치기
김태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대구 출생으로, 효성여대 가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대구가톨릭대 대학원 가정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구대 주거환경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가정대학장을 역임했고, 조형예술대학 실내건축디자인학과에서 정년을 하여 명예교수를 맡고 있다. 일찍이 꽃예술 분야의 학문적 개발에 관심을 갖고, 대구대 디자인대학원 플라워디자인전공을 개설했다. 논문 「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1-14)」를 쓰고, 2004년 국내 최초로 궁중상화 열아홉 점을 재현 전시하여 미술저작권에 등록했다. 현재 한국전통꽃일연구소 소장, 김태연궁중상화연구소 & 꽃일전시관에서 제자들과 꽃을 만들고 있다.
펼치기
한국공연예술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양혜숙(梁惠淑)은 서울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튀빙엔 대학 철학부에서 독문학, 미술사, 철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를,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8년부터 한국공연예술원 이사장을 맡고 있다. 김명자(金明子)는 이화여대를 졸업하고 성균관대와 경희대에서 석사학위를, 경희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안동대 명예교수로 있으며, 문화재청·경상북도·인천광역시 문화재위원, 한국공연예술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영대(徐永大)는 서울대 종교학과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인하대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인천광역시사 편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윤시향(尹詩鄕)은 이화여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독일 쾰른대학과 베를린자유대학에서 수학했다. 현재 원광대 명예교수로 있으며, 2인극 페스티벌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장장식(張長植)은 서울교육대를 졸업하고 경희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으로 재직 중이다. 곽기완(郭基婉)은 이화여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대 대학원 독어독문학과에서 독일 드라마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신대 독어독문학과와 독일어문화학부 교수를 지내고 현재 한신대 명예교수로 있다. 이병옥(李炳玉)은 서울교대와 서경대를 졸업하고 고려대와 중앙대에서 석사학위를, 경기대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용인대 무용학과 종신명예교수로 있으며, 한국춤비평가협회 공동의장, 이북오도청 문화재 위원을 맡고 있다. 홍태한(洪泰漢)은 경희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경희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중앙대 대우교수로 한국무속학, 민속음악 등을 가르쳤다. 조성진(趙誠振)은 연세대 신학과를 졸업하고 영남대 대학원 문화인류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마임씨어터 빈탕노리 대표, 한국공연예술원 부원장으로 있다. 김형기(金亨起)는 연세대 독문학과 및 동 대학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아헨대에서 연극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순천향대 연극무용학과 교수, 한국연극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