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속가능한 통일론의 모색

지속가능한 통일론의 모색 (양장)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성찰과 남남갈등의 대안)

김병로, 조한범, 김학성, 전재성, 임을출, 이정우, 허태회 (지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2014-03-14
  |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7,000원 -0% 0원 2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속가능한 통일론의 모색

책 정보

· 제목 : 지속가능한 통일론의 모색 (양장) (대북.통일정책에 대한 성찰과 남남갈등의 대안)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88946056701
· 쪽수 : 288쪽

책 소개

아데나워(Konrad Adenauer)부터 콜(Helmut Kohl)까지 역대 서독 총리들과 그들의 정권이 펼친 통일정책의 지향점과 성과를 살피고, 이에 대한 언론·여론의 반응을 짚어보며 어떻게 통일정책을 둘러싼 국내 갈등이 한국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는지를 검토한다.

목차

제1장 대북·통일정책의 고비용 구조 조한범
1. 남남갈등과 대북·통일정책
2. 남남갈등의 원인
3. 대북·통일정책의 핵심 과제로서 남남갈등 해소

제2장 통일정책의 형성과 변천 이정우
1. 냉전·정부 독점 시기 통일정책의 형성과 변화
2. 탈냉전·민주화 시기 통일정책의 형성과 변화
3. 한국 정부 통일정책 변화의 국내외적 요인
4. 현 단계 통일정책의 방향과 과제

제3장 역대 대북정책 비교 평가와 대북정책의 주요 변수 허태회
1. 최근 남북관계의 변화와 역대 대북정책의 비교 평가
2. 역대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 결정과 주요 변수
3. 북한 핵 문제의 전개와 대북정책의 시사점
4. 역대 한국 정부의 대북정책 평가와 정책적 함의

제4장 한국의 통일외교와 한미동맹 전재성
1. 통일외교와 한미동맹의 과제
2. 탈냉전기 대북·통일정책을 둘러싼 한미관계와 한미동맹의 변화 과정
3. 한반도 통일에 대한 미국의 인식
4. 통일을 위한 한국의 대미 전략 및 한미동맹 전략

제5장 남남갈등의 구조와 특성 임을출
1. 남남갈등의 기원과 변화 과정
2. 대북정책의 정쟁화
3. 역대 선거 국면의 남남갈등 양상
4. 최근 남남갈등 사례 분석
5. 남남갈등 전망

제6장 서독의 독일 및 동방정책을 둘러싼 국내 갈등과 극복 노력 김학성
1. 서독의 독일 및 동방정책 전개 과정
2. 분단과 통일에 관한 서독 여론의 특징과 변화 추이
3. 정치·사회 분야별 갈등의 양상과 해소 과정
4. 독일 사례의 교훈

제7장 통일정책의 사회적 합의안 형성 방안 김병로
1. 통일정책 정쟁화 구도 해소 방안: 실질적 여야 협력 방안
2. 통일정책의 국민적 합의 기반 강화
3. 긍정적 통일미래상 구축
4. 시민사회 소통 구조 형성: 사회적 관용의 확산과 심의 민주주의 발전
5. 실질적 통일 준비에 대한 사회적 합의 도출 방안

제8장 성찰적 통일 인식과 통일국민협약의 모색 조한범
1. 성찰적 통일 인식의 확산
2. ‘통일국민협약’의 모색

저자소개

김병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주립대학교(Indiana St. Univ.)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럿거스대학교(Rutgers-The State Univ. of New Jersey) 대학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북한연구실장, 아신대학교 교수 및 북한연구소장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대학원 HK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경력으로는 제22대 북한연구학회 회장, 국가정보원·국방부 자문위원, 민주평통 상임위원, 민화협 정책위원, KBS통일방송연구 자문위원 및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사무국장, North Korean Review 편집위원을 역임하였고, 현재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평화나눔재단 공동대표,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북한의 지역자립체제』, 『북한사회의 종교성』, 『개성공단』(공저), 『분단폭력』(공저), 『탈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미래』(공저), Two Koreas in Development, 『다시 통일을 꿈꾸다』, 『그루터기』(공저),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공저)을 비롯하여 90여 권의 단행본과 8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조한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샹트-페테르부르그 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했으며, 현재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있다. 저서로는 <중국과 러시아의 경제체제개혁 비교연구>, <남북 사회문화 교류.협력의 평가와 발전방향>등이 있다.
펼치기
김학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와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전국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 상임대표이다. 편저로 『통일의 길 위에 선 평화: 한반도 문제의 구조적 이해』 (2019), 공저로 『독일 통합과 한국』 (2019)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한반도 문제의 해결방법에 관한 제도주의적 접근” (『한국과 국제정치』 32권 2호 [2016] 수록)이 있다.
펼치기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저로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임을출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특임정년교수이며, 30년째 실사구시형 북한 연구를 하고 있다. 1992년 러시아어 시험을 통과해 KOTRA에 입사, 북한 경제·무역 조사 업무를 시작하면서 북한과 인연을 맺었다. 1996년 언론사로 옮겨 수년간 전문기자로 활동하며 평양·개성·금강산·신포경수로 부지 등 북한 곳곳을 방문하고, 북미 회담, 남북 회담, 경제협력에 헌신했던 많은 인사들을 인터뷰하는 등 현장 경험을 풍부히 쌓았다.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중앙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등에서 강사 생활을 했고, 2006년부터 북한 연구 및 교육의 메카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을 지냈다. 현재 북한개발국제협력센터장, 통일경제아카데미 주임교수 등을 맡고 있다. 다양한 연구 활동과 함께 정부 및 기업 자문, 언론 기고, 방송 출연 등을 통해 지식과 경험을 대중과 공유하고 있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민간자문위원, 국정기획자문위원회 한반도신경제구상 T/F팀원, 통일부 정책혁신위원회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및 기획조정분과 간사, 기획재정부 자문위원 등을 지냈으며, 지금도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으로 5년째(2017~) 활동하고 있다. 미국 조지타운대학교(워싱턴 D.C.)의 객원연구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통일협회 정책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북한연구학회 부회장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통일부회장을 맡고 있다. ≪매일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 ≪한국일보≫ 고정 칼럼니스트를 거쳐 현재 ≪가톨릭평화신문≫에 고정 칼럼을 연재 중이며, KBS, YTN, 연합뉴스TV 등에 수시로 출연해 북한 관련 현안을 해설했다. 2020년에는 평화·번영의 한반도 기반 조성에 이바지한 공로로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김정은 시대의 북한경제: 사금융과 돈주』(2016)를 비롯해 『글로벌 평화와 한반도 통일의 이해』(공저, 2020), 『북한 허위정보에 대한 다층적 분석과 이해』(공저, 2020), 『북한 관광의 이해』(공저, 2017), 『김정은 리더십 연구』(공저, 2016), 『한반도 전문가 30인에게 김정은 체제의 미래를 묻다』(공저, 2012), 『원조와 개발: 교훈과 미래방향』(2009), 『웰컴투 개성공단: 역사, 쟁점 및 과제』(2005), 『김정일과 왈츠를: 러시아 여기자의 김정일 극동방문 동행취재기』(공저, 2004), 『‘악의 축’과의 대화: 북미 핵·미사일 협상의 정치학』(2004)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정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국제정치로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 후 미국 클레이몬 대학원에서 국제정치, 미국정치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이수하였고, 성균관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통일.북한.안보문제 전문지인 '통일한국'편집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허태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를 취득했다. 이후 덴버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00년부터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선문대학교 입학처장, 대외협력처장, 중앙도서관장, 국제평화대학 학장을 역임했으며,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과 대통령 직속 사회통합위원회 이념분과 위원을 역임했다. 2018년 한국 국가정보학회 회장과 국제정치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반도 통일론>(2000), <사회과학 통계분석>(2010), <지속가능 통일론>(2012), <통일시대 국가이념 및 비전연구>(2012), <국가정보학>(2013), <21세기 국가방첩>(2014), 번역서로 <구조화 분석기법>(2016), <비판적 사고와 전략정보생산>(2018), <국가안보정보>(2018)가 있으며, “위기관리이론과 사이버안보”(2005), “동북아안보지형의 변화와 국가정보”(2013), “선진 방첩이론의 적용과 국가정보 효율성”(2014)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분단 체제는 오랫동안 존속해온 한민족 공동체의 분리를 불러왔으며, 민족국가 형성 및 근대화 과정의 정상적 진행을 저해했다. 분단 체제는 한국 사회의 발전 과정과 제반 영역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사회갈등의 구조적 배경으로 작용했다. (1장)


협력보다 대결 구도에 기반을 둔 한국 정치의 구조적 문제는 독재 체제의 해체 과정에서 형성된 정치권의 오래된 갈등 구조가 근본적으로 해소되지 않은 것에서 기인한다. 장기간 지속된 군사독재와 권위주의 정권은 민주화 운동이라는 반작용을 야기했으며, 민주와 반민주의 대결 구도는 오랫동안 한국 정치를 대표했다. (1장)


분단 이후 남북한은 상호 이질적인 체제에서 존속해왔으며, 냉전적 대립 구도는 남북한 사회 모두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장기간 지속된 남북한 간의 대립과 갈등은 남북관계뿐만 아니라 남북한 사회 내부에도 영향을 미쳐 냉전문화로 재생산되었으며, 정상적인 시민사회의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했다. 냉전적 대립은 한국 사회 내에 획일적 문화를 구조화시켰고, 사회적 관용이 자리 잡기 어려운 경직된 환경을 형성했다. (1장)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