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국방과 미래 육군의 역할

한국 국방과 미래 육군의 역할 (양장)

(전략환경 변화에 따른)

그레이엄 앨리슨, 김진아, 김태형, 브렌단 그린, 이근욱, 이장욱, 황지환 (지은이), 이근욱 (엮은이), 서강대학교 육군력연구소 (기획)
  |  
한울(한울아카데미)
2019-04-01
  |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9,000원 -0% 0원 290원 28,7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국방과 미래 육군의 역할

책 정보

· 제목 : 한국 국방과 미래 육군의 역할 (양장) (전략환경 변화에 따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46071438
· 쪽수 : 294쪽

책 소개

서강 육군력 총서 4권. 2018년 6월 ‘전략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 국방과 미래 육군의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되었던 제4회 육군력 포럼의 발표 논문을 묶어 동 제목의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

목차

제1부 북한 비핵화 가능성, 그리고 한국 안보
제1장 민군관계와 핵전략 발전: 인도와 파키스탄 라이벌 관계의 사례 _김태형
제2장 북한 핵위협과 냉전의 경험: 이동 발사대 추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_ 브렌단 그린
제3장 한반도 안정화로의 길: 사찰/검증의 중요성, 어려움, 그리고 도전 _이근욱

제2부 남북정상회담 이후 육군의 역할
제4장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신뢰구축과 육군에 주는 함의 _김진아
제5장 육군의 첨단 전력과 21세기 육군의 역할: 5대 게임 체인저를 중심으로 _이장욱
제6장 북한의 핵전략과 한국 육군의 역할 _황지환

부록 1 (기조연설) 북한 억제/억지의 도전: 성공과 실패 경험과 교훈 _그래엄 앨리슨
부록 2 육군력 포럼 육군참모총장 환영사 _김용우

저자소개

이근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 및 군사동맹에 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 『왈츠 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냉전: 20세기 후반의 국제정치』, 『쿠바 미사일 위기: 냉전기간 가장 위험한 순간』, 『이라크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 그리고 IS 전쟁까지』, 『아프가니스탄전쟁: 9.11 테러 이후 20년』 등이 있다.
펼치기
그레이엄 앨리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 행정대학원 교수 하버드 대학교 학사, 옥스퍼드 대학교 석사, 하버드 대학교 정치학 박사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스쿨 학장직, 하버드 대학교 벨퍼국제문제연구소 소장, 국방장관 특보, 국방부 차관보 역임 주요 연구업적: Essence of Decision: Explaining the Cuban Missile Crisis, Destined for War: Can America and China Escape Thucydides’s Trap?, Lee Kuan Yew: The Grand Master’s Insights o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Belfer Center Studies in International Security), Nuclear Terrorism: The Ultimate Preventable Catastrophe 등
펼치기
황지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콜로라도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명지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저작으로 『전략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 국방과 미래 육군의 역할』(공저), 『한미관계론』(공저),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Bridging the Gap,”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10(1), 「한반도 평화체제 논의의 귀환: 미국우선평화 대 병진평화」, 『한국과 국제정치』 35(1), 「북한은 핵실험 이후 더 공격적인가?: 현상타파 대외전략과 현상유지 대외정책의 결합」, 『한국정치학회보』 5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객원교수, 청와대 국가안보실·한미연합사·통일부·산업통상자원부 자문위원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 석사, 터프츠 대학교 플레처 스쿨(Tufts University Fletcher School) 국제관계학 박사 주요 연구업적: The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Crisis: The Nuclear Taboo Revisited 및 “Assessing Export Controls of Strategic Items to North Korea” 등
펼치기
김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년에 태어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2005년 켄터키 대학교에서 한국안보정책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Daemen College에서 5년 간 조교수로 지낸 후 2011년 가을부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를 담당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북아 안보, 핵억지 전략, 비강대국 외교정책 등이며, 『국제관계학: 인간과 세계 그리고 정치(공저)』, 『신중견국 이란 대외관계의 구조적 메커니즘과 경제발전전략(공저)』을 출간하였다.
펼치기
브렌단 그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現 신시내티 대학교 정치학 부교수 주요 연구업적: “Stalking the Secure Second Strike: Intelligence, Counterforce, and Nuclear Strategy”, “The MAD Who Wasn’t There: Soviet Reactions to the Late Cold War Nuclear Balance”, “Correspondence: The Limits of Damage Limitation” 등
펼치기
이근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 및 군사동맹에 대한 연구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단독 저서로 『왈츠 이후: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냉전: 20세기 후반의 국제정치』, 『쿠바 미사일 위기: 냉전기간 가장 위험한 순간』, 『이라크전쟁: 부시의 침공에서 오바마의 철군, 그리고 IS 전쟁까지』, 『아프가니스탄전쟁: 9.11 테러 이후 20년』 등이 있다.
펼치기
서강대학교 육군력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육군력연구소(소장 이근욱)는 육군 및 군사 문제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과 민간 부문의 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5년 6월에 설립되었다. 2015년 11월 ‘21세기 한국과 육군력: 역할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제1회 육군력 포럼을, 2016년 6월 ‘미래 전쟁과 육군력’이라는 주제로 제2회 육군력 포럼을, 2017년 6월 ‘민군관계와 대한민국 육군’이라는 주제로 제3회 육군력 포럼을, 2018년 6월 28일에는 ‘전략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 국방과 미래 육군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제4회 육군력 포럼을, 2019년 4월 3일에는 ‘도전과 응전, 그리고 한국 육군의 선택’이라는 주제로 제5회 육군력 포럼을, 2020년 10월 29일에는 ‘시작된 미래, 비전을 현실로’라는 주제로 제6회 육군력 포럼을 개최했다. 앞으로도 매년 육군력 포럼을 통해 국내외 석학들의 수준 높은 연구성과를 계속해서 소개할 예정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도와 파키스탄은 대단히 상반되는 민군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민주주의 국가라는 인도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부터 확고하게 군대에 대한 민간의 우위 전통을 확립한 반면, 파키스탄은 반복되는 쿠데타로 독립 이후 현재까지 상당 기간 군부통치 아래 있었고, 민간정부가 복귀했을 때에도 군부가 주요 정책, 특히 핵무기 관련 정책에서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_제1장 민군관계와 핵전략 발전


파키스탄 핵독트린의 목표는 인도의 대 파키스탄 공격을 억지(deterrence)하고, 만약 억지가 실패하여 전쟁이 발발했을 시에는 인도군의 승리를 방지하는 것이다. 1998년 핵실험 이후 비록 파키스탄은 공식적인 핵독트린이 무엇인지 발표하지 않았지만 여러 채널을 통해서 파키스탄의 핵독트린은 ‘신뢰적 최소억지’라는 것을 암시했다. 또한 파키스탄은 ‘핵 선제 불사용 원칙’의 승인을 거부하고, 상대적으로 전력이 열세인 국가로서 핵독트린 관련하여 의도적인 전략적 모호성(ambiguity)을 유지하고 있다. _제1장 민군관계와 핵전략 발전


1986년 소련군 참모본부가 정치국에 보낸 보고서에서, 예산 문제를 토로했다. 이에 따르면, “소련 북부 함대와 항공대가 북극해 인근 해역을 방어하고 콜라 반도(Kola Peninsula)와 백해(White Sea) 지역에 배치된 핵자산을 보호하려면 현재의 국방 예산이 해당 지역 방어를 위해서만 3배로 증가”한다고 했다. 결국 소련은 자원 부족으로 미국과의 타협을 추구했고 개혁/개방의 길로 들어섰다. _제2장 북한 핵위협과 냉전의 경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