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부산요와 일본 다완

부산요와 일본 다완

아사가와 노리타카 (지은이), 최차호 (옮긴이)
  |  
어드북스(한솜)
2012-04-30
  |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1,700원 -10% 0원 650원 11,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부산요와 일본 다완

책 정보

· 제목 : 부산요와 일본 다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58450900
· 쪽수 : 192쪽

책 소개

일생을 조선 도자기 연구에 매진하여 '한국 도자기의 신'이라 불린 아사가와 노리타카의 저서 <釜山窯.對州窯>의 한글판. 80년 가까이 지속된 조.일 공동 생산 체제와 부산의 가마에서 만든 일본 막부의 도자기 등 감춰진 역사를 낱낱이 밝힌다. 부산요의 성립과 폐쇄, 운영체제, 생산된 다완의 목록뿐 아니라 조선과 일본 도공 사이의 외교적 마찰, 조선 도공의 애환 등의 기록을 다룸으로써 잊혀진 역사를 생생히 재조명한다.

목차

序文
옮긴이의 글
제1장 도기의 연구 및 본 연구에 대해
1. 도기의 양부(良否) 판단
2. 도기 제조상의 상식
3. 옛날 가마터의 연구
4. 역사적 문화 흔적과 도자기 파편의 연구
5. 역사적 문헌의 조사
6. 옛날부터 전해오는 확실한 것을 볼 것

제2장 조선 다완의 특징

제3장 대마도와 조선의 관계

제4장 부산의 왜관

제5장 부산요에 대하여
1. 부산요의 경로와 경과
2. 부산 번조소(燔造所)
3. 번조소(燔造所)의 위치
4. 부산요의 도공
5. 부산요에서 사용한 태토
6. 왜관 관련 다완
7. 소우케(宗家)의 소장품에 대하여

제6장 도공 모산(茂山)의 이야기

제7장 대주요(對州窯)에 대하여
1. 대주요(對州窯)
2. 대마도의 가마 흔적과 도공
1) 코우라 사라야마(小浦皿山) 가마
2) 쿠다(久田) 가마
3) 시카야키(志賀燒) 가마
4) 타테가메(立龜) 가마
5) 아수(阿須) 가마
6) 코우라(小浦) 가마
3. 대주요(對州窯)의 특징
4. 요시다 마다이치(吉田又市) 및 자손

☞ 삽화 목차
1. 조선 다완(朝鮮茶碗) 織部好·遠州好 옵셋
2. 조선 전도(朝鮮全道)의 고지도
3. 조선 고지도 사국접해도(四國接海圖)
4. 조선 고지도
5. 조선 고지도 삼도(三島) 부근
6. 통신사 편선의 그림
右上 접시꽃(葵) 문양의 고자부네(御座船)
左上 마쓰다이라 아키(松平安藝) 수호(守護)의 고자부네(御座船)
右下 오사카에 있는 대마도 번소(番所)
左下 조선의 사선(使船)
7. 통신사 행렬 일부
8. 마상재
9. 대마도 명소
10. 조선통신사 행렬도
11. 왜관(倭館) 가마 판화
12. 왜관(倭館) 가마 목판
13. 오늘날 부산 왜관 위치
14. 부산 왜관의 도면
15. 나가사키 데지마 네덜란드 상관
16. 양산 부근에서 발견한 파편
17. 부산 왜관의 평면 약도
18. 통사가 읽은 조선 소설
19.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다완 번조(燔造)의 건
20.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소우 요시자네(宗義眞) 구청서
21. 22.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소우 요시미치(宗義方) 구청서
23. 왜인 구청등록(求請謄錄) 소우케(宗家) 가신의 구청서
24. 25. 26. 야헤이타(彌平太)가 왜관에서 관수와 동래부의 논란
27. 첩해신어(捷解新語)
28. 부산요에서 사용한 태토 채취 장소
29. 소우케(宗家) 소장의 작자 기억도
30. 판사(判事) 다완
31. 고키(吳器) 다완
32. 린사이(林齋) 작품 시로데(白手) 다완
33. 부산요 초기의 청자 다완
34. 에고혼(繪御本)
35. 스나데고혼(砂手御本)
36. 모산(茂山)의 소메쓰케 무코즈케(染附向附)
37. 고혼운카쿠(御本雲鶴) 다완
38. 고혼(御本) 다완
39. 에가라쓰(繪唐津靴形) 구두 모양 다완
40. 야헤이타 묘석(彌平太墓石)
41. 대마도의 가마 흔적
42. 대마도 시카(志賀) 가마의 파편
43. 44. 대마도 타테가메(立龜) 가마 소메쓰케(染附) 미즈사시(水差)
45. 46. 쿠다(久田) 가마 케이사쿠(惠作)의 미즈사시(水差)
47. 코우라(小浦) 가마 고혼(御本) 복제 다완
48. 코우라(小浦) 가마 모산(茂山) 복제 다완

저자소개

아사가와 노리타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84 ~1964년 1884년 山梨縣北巨摩郡甲村(현 北杜市 高根町)에서 출생 1906년 山梨縣 사범학교 졸업 1910년 『白樺』 창간 1913년 서울 남대문 공립심상소학교 근무 1914년 서울 서대문 공립심상고등소학교 근무 1922년 「이조 도기의 가치 및 변천에 대해」 발표, 조선민족미술관 주최 강연회에서 「이조 도자기의 역사」를 강연 1923년 경성 고등상업학교 강사(촉탁), 조선 요업사에 착수 1924년 조선민족미술관(현 국립민속박물관) 설립 1925년 계룡산·강진 등의 가마터 조사 1926년 제5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그림≪항아리와 아이≫ ≪생물≫입선, 그림≪이조의 도기≫특선 1929년 조선 전국 가마터 369개소 조사 1930년 조선 전국 가마터 309개소 조사, 『부산요·대주요』 출판 1933년 전남 곡성에서 도자기 제작에 종사 1940년 이 무렵 수년 동안 회령요·곡성요·고폐요에서 도자기 제작 1946년 일본 귀국 1964년 千葉市에서 사망(향년 80세)
펼치기
최차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chcho8843@hanmail.net 1945년 경남 고성에서 태어남. 2000년 현업을 정리할 때까지 일본 유학, 공직, 개인사업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침. 2001년부터 대마도를 70여 차례 방문하는 등 한·일 근세사와 왜관에 대한 연구와 집필활동을 하고 있음. 2003년 부산문화유산해설사회 초대회장 2003년 한국문화유산해설사회 초대회장 2006년 아메노모리 호슈 외교교류회 한국측 이사 2010년~2014년 현재 부산초량왜관연구회장 역서 『조선을 사랑한 아메노모리 호슈』 『부산요·일본다완』 등 출간
펼치기

책속에서

임진왜란 후 도쿠가와 막부는 소우케(宗家)를 통해 견본을 보내 조선 도공에게 도기를 만들도록 했다. 그 후 도쿠가와 막부의 요청으로 소우케(宗家)가 부산에 가마를 만들었다. 조선 도공도 함께 도기를 만들었는데, 좋은 기물이 있는가 하면 본질과는 거리가 먼 기물도 있었다.
동시에 용도에서는 그 시대 일본의 취향을 대표하고 있었으므로, 일종의 도쿠가와 초기 공예, 일본 초기의 여러 가마와 닮은 곳도 있었다. 이를 명확하게 하는 것은 다인, 소위 조선 다완의 문제를 해결하는 첫걸음임과 동시에 일본 초기의 가마예술과의 관계를 매듭짓는 일이다.
도기는 사용자에 의해 제작상의 목적을 완성한다. 때문에 사용자가 그 아름다움의 완성에 참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오랜 시간 곁에 두고 손에 익으면 그 아름다움에 익숙해지는데, 조선 다완의 아름다움은 일본 다인들이 즐겨 사용하여 진가(眞價)를 완성시켰다고 할 수 있다.


부산요에도 위기가 닥쳤다. 1639년에 문을 열어 약 80년간 유지된 부산요는 태토 및 연료 공급의 교섭이 난항을 거듭하여 문을 닫기에 이르렀다. 그동안 조선에서 공급한 태토 및 부산으로 건너간 다수의 도공, 수많은 작품 등은 직간접적으로 일본 초기의 도기 산업에 기여했다. 또한 오늘날 일본에 건너온 고려 다완이라 하는 것 중에서도 대다수가 부산요의 제품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대마도는 조·일 양국 사이에서 국교재개의 매개역할에 난항을 겪었다. 더구나 임진·정유란의 원한이 뼛속까지 사무친 장벽을 허물기 위한 대마도의 고충은 상상을 초월하였다. 더욱 대마도는 식량이 부족하여 조선에서 공작미 1만 5천 석을 받지 않으면 안 되었다. 조·일 양국의 궁극적 목적은 각자 체면을 유지하면서 국교를 회복하는 데 있었지만, 대마도는 먹을거리를 요구하는 데 있었다.
말하자면 ‘떡 줄 사람보다 받는 사람이 큰소리’치는 격이었다. 옛날 텐표(天平) 시대에 동국(일본)에서 국경수비대를 보내면서 양식을 쓰쿠시(筑紫)에서 보낸 이유도 여기에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