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다 삶 무속

바다 삶 무속

홍태한, 이경엽, 이윤선, 강성복, 이용식, 송기태, 강정식, 김효경, 조정현, 최진아, 박정경, 김은희 (지은이)
  |  
민속원
2015-09-05
  |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6,000원 -0% 0원 1,800원 34,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바다 삶 무속

책 정보

· 제목 : 바다 삶 무속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28507870
· 쪽수 : 376쪽

책 소개

도서해양학술총서 33권. 어부와 항해자들은 바다의 안정된 상태와 불안정한 상태를 민감하게 포착하고 그것에 적응하는 기술과 경험을 지식화해서 전승해왔다.

목차

머리글

제1부 바다의 의례적 수용과 의미화

제1장 바다·삶·무속: 바다의 의례적 재현과 의미화∥이경엽
1. 머리말
2. 바다와 관련된 무속의례
3. 바다밭과 고기잡이의 의례적 재현과 의미화
4. 수중고혼과 제액 관념의 의례적 재현과 의미화
5. 맺음말

제2장 혼건짐 혼사굿을 통해서 본 뭍과 물의 대칭성∥이윤선
1. 혼건짐에 대한 인식
2. 사례: 진도 ‘산너머 달등’ 마을 혼건짐과 혼사굿
3. [남·녀]의 대칭성에서 [뭍·물]까지
4. ‘혼건짐 혼사굿’의 난장 기능과 대칭성의 회복

제3장 수사 신앙의례의 종류와 의미∥김효경
1. 머리말
2. 수사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
3. 수사와 관련한 신앙의례의 종류와 내용
4. 수사 관련 신앙의례의 의미와 성격
5. 맺음말

제4장 다도해지역 공동체 헌식의 전승기반과 제의적 위상∥송기태
1. 서론
2. 다도해 공동체제의에 나타난 헌식의 전승양상
3. 무주고혼에 대한 헌식의 강화와 생태적 조건의 관련성
4. 헌식의 의미 확장과 무주고혼의 제의적 위상
5. 결론

제5장 띠배의 기능과 의미 확장∥최진아
1. 머리말
2. 띠배의 유형과 분포
3. 띠배의 의례적 기능과 성격
4. 띠배에 내재된 신앙관과 의미 확장
5. 맺음말

제6장 제주도 연물의 남방문화적 요소∥이용식
1. 머리말
2. 제주도의 연물의 의미
3. 장귀
4. 구덕북
5. 설쉐
6. 대양
7. 맺는말

제7장 도서해안지역 서사무가의 음악적 특징∥박정경
1. 머리말
2. 동해안과 남해안 서사무가의 음악적 특징
3. 동해안과 남해안 서사무가의 보편성과 특수성
4. 맺음말
[부록악보]

제2부 굿의 전승 기반과 변화

제1장 서해안굿의 존재 기반과 변화∥홍태한
1. 머리말
2. 서해안 풍어굿의 공통구조
3. 서해안굿의 공통 기반
4. 서해안굿의 기반 변화와 굿의 변화
5. 맺음말

제2장 서해안 배연신굿의 ‘소당애기씨놀이’에 투영된 뱃사람들의 삶∥김은희
1. 서론
2. 서해안 배연신굿과 소당애기씨놀이
3. 서해안 뱃사람들의 삶과 소당애기씨놀이
4. 결론

제3장 어업환경의 변화와 서해 도서지역의 당제∥강성복
1. 머리말
2. 외연도 당제의 전승양상
3. 외연도의 생업과 당제의 제일
4. 어업환경의 변화와 외연도 당제
5. 맺음말

제4장 동해안 마을굿의 전승주체로서 ‘노반계’와 마을공유자원의 활용 문제∥조정현
1. 머리말
2. 동해안 노반계의 역사와 성격
3. 공동체신앙의 전승주체로서 노반계의 성격
4. 마을굿과 공유자산의 배타적 전유와 활용 문제
5. 맺음말
[부록] 厚浦洞中老班契定款(洞法)

제5장 제주도 영등굿의 변화∥강정식
1. 머리말
2. 영등굿의 일반적 이해
3. 기록을 통해서 본 영등굿
4. 오늘날 영등굿의 연행양상
5. 놀판굿의 존재와 오락성의 약화
6. 영등굿의 또 다른 변화 방향
7.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홍태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충북 단양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 무속을 공부하고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교 3학년이었던 1982년 남강 선생님의 인도로 처음 서울, 황해도굿을 접하면서 굿 연구를 시작하게 되어 지금까지 서울굿판을 중심으로 전국의 굿판을 다니며 굿 공부를 하고, 최근에는 가정신앙, 마을신앙, 불교의례로까지 관심의 폭을 넓히고 있다. 그동안 『서울굿의 다층성과 다양성』, 『한국의 무신도』, 『불교 수륙재 연구』, 『인물 전설의 의미와 기능』, 『강화 가정신앙 연구』, 『한국의 무가』 1~8 등 공저를 포함하여 160여 권의 책을 냈고, 「서울굿 굿거리장단의 의미」, 「친정에서 따라온 가정신앙 연구」 등 290여 편의 논문을 썼다. 현재 문화재청 전문위원, 서울특별시ㆍ인천광역시ㆍ충청남도 무형문화재위원, 전북대학교 무형유산정보연구소 연구교수(공동연구원), (사)무형문화연구원 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여러 대학에서 강의한다.
펼치기
이경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도서문화연구원 원장 『상례놀이의 문화사』, 『지역민속의 세계』, 『씻김굿』, 『진도다시래기』, 『바다 삶 무속』(공저),『산다이, 청춘들의 노래와 연애생활사』(공저) 등 연구논저 180여편
펼치기
이윤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진도 출신. 민속학 관련 학술단체들이 연합해 만든 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 이사장, 남도민속학회 회장, 일본 가고시마대 외국인 교수, 베트남 다낭외대 공동연구원 교수, 중국 절강해양대 명예교수를 역임하며 아시아의 도서해양문화권과 우리 문화를 비교 연구해왔다. 그동안의 학문적 성과를 우리 사회에 돌려주기 위해 ‘나를 성찰하는 민속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전남도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단편소설 ?바람의 집?으로 등단하기도 했다. 논저로 『도서해양민속과 문화콘텐츠』(민속원, 200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 海洋民俗和文化?品』(上海文化??, 2017), 『남도 민속음악의 세계』(민속원, 201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산자와 죽은 자를 위한 축제』(민속원, 2018) 『한국인은 도깨비와 함께 산다』외 20여 편의 단행본과 80여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강성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공주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 취득.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 연구교수 역임 현) 대전광역시 문화재전문위원 주요 논문 '조선후기 충청지역의 동제 연구' 등 저서 '충청민속문화론' 외 다수
펼치기
이용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악과 및 동 대학원 졸업, University of Hawaii 음악학 (음악인류학 전공) 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국악학과 교수, 한국공연문화학회 회장, 한국민요학회 부회장 겸 편집위원장, 한국국악학회 편집위원장, 아시아태평양민족음악학회(Asia-Pacific Society for Ethnomusicology) 부회장,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전문위원, 광주광역시 문화재위원 저서로 『Shaman Ritual Music in Korea (2004)』, 『황해도 굿의 음악인류학 (2005)』, 『민속, 문화, 그리고 음악 (2006)』, 『한국음악의 뿌리 팔도 굿음악 (2009)』, 『중앙아시아의 음악문화 (2014)』, 『호남좌도농악의 역사와 이론 (2015)』, 『음악인류학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송기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의 HK교수. 예능민속과 어촌민속을 주로 연구하는 민속학 연구자다. 그동안 전남 남해안 지역에서 군고·금고·군기 등으로 불리는 풍물굿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왔고, 호남지역 전문예인들의 풍물굿 전승에도 관심을 기울여왔다. 풍물굿 외에도 무속과 연희 등의 예능민속 전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어촌의 생업과 바다경작漁耕 등의 어촌민속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논문 「마을농악의 전승구도 변화와 현실 대응」(2015) 「서남해 무레꾼 전통의 변화와 지속」(2015) 「거문도 바다사람의 자긍심과 민속전승의 원동력」(2014) 「다도해지역 공동체 헌식(獻食)의 전승기반과 제의적 위상」(2013) 「조도군도 관매도의 미역밭 경작과 생업전략」(2013) 「풍물굿 예능의 소통과 원형 창출」(2011) 「양식어업에 따른 생태인지체계의 변화와 해산물 부르기 의례의 진화」(2011) 「어경(漁耕)의 시대, 바다 경작의 단계와 전망」(2011) 「서남해안지역 걸립 문서에 나타난 지향과 문화적 권위」(2010) 「풍물굿의 군사적 의미화 연구」(2010) 「마을굿에서 풍물굿의 제의수행과 구조」(2008) 「풍물굿 대포수의 양면성」(2007) 「세습무계집단의 풍물굿 연행과 지역풍물굿의 전승」(2007) 「씻김굿 무구(巫具)의 기능과 극적 의례성」(2007) 「전남 남해안지역 절걸립패의 활동 및 성격 고찰」(2006) 「호남풍물굿의 전승과 전문예인집단 연희의 수용」(2005) 주요저서(공저) 『농악 현장의 해석』(2014) 『화순의 농악』(2013) 『목포권 다도해와 류큐열도의 도서해양문화』(2012) 『유순자 상쇠와 호남여성농악』(2012) 『섬과 바다의 문화읽기』(2012) 『고창농악을 지켜온 사람들의 삶과 예술세계』(2010) 『장흥의 농악』(2010) 『호남의 곽머리씻김굿』(2009) 『고창농악』(2009) 『호남의 초분이장굿』(2008) 『고흥 월포농악』(2008) 『구례 잔수농악』(2008)
펼치기
강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제주도 출생 제주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과정·박사과정 수료 (문학박사) 현 제주학연구소 소장, 제주대학교 강사 『동복 정병춘댁 시왕맞이』(공저), 「제주도 당신본풀이의 전승과 변이연구」(박사논문) 외
펼치기
김효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 취득. 현재 한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대전대학교에서 강의. 주요 논문 '한국마을신앙의 인물신 연구', '조선시대의 기양의례-국가와 왕실을 중심으로'등
펼치기
조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안동대학교 민속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마을 성격에 따른 인물전설의 변이와 지역담론의 창출-안동지역 서애 류성룡 관련 설화를 중심으로」(2009), 「문경지역 민요전승의 기반과 아리랑의 재발견」(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최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 전공,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조교수, 「죽음의례 물질문화에 표상된 다가치성 해석: 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무속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다스림으로 본 성저십리』(공저) 등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박정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음악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를 거쳐 학예연구관으로 재직하면서 학술연구, 교육, 공연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해 왔으며 (재)국악방송에서 라디오 프로그램 <백문백답>, <연구의 현장>을 통해 국악과 대중의 접점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김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강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