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요동과 부여

요동과 부여

(조선 600년간의 비밀)

김진경 (지은이)
  |  
어드북스(한솜)
2013-01-10
  |  
1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요동과 부여

책 정보

· 제목 : 요동과 부여 (조선 600년간의 비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58451044
· 쪽수 : 304쪽

책 소개

요동과 부여의 올바른 위치를 밝히고 있다. 저자는 <삼국사기>와 중국 25사 지리지에 근거하여 고대 역사적 지명들 간의 거리와 방향을 추적하여 요수, 압록수, 살수, 패수, 고구려 평양성(남평양), 국내성, 장안성 등의 위치를 밝히고 있다.

목차

머리말

1. 미션 2
2. 요동성 지도
3. 유주(幽州)는 산서성 둔유현(屯留縣)
4. 명(明) 대에 2차례에 걸쳐 23사(史)에 위사 (僞史) 삽입
5. 진사(眞史)와 위사(僞史)의 분별
6. 영주(營州)는 산서성 안택현(安澤縣)
7. 요동성 서쪽 건안성까지 300리
8. 요동성 동쪽 평양성(남평양)까지 640리
9. 요동성 북쪽 국내성까지 1,000리(한척)
10. 요동성 동북쪽 압록수 박작성까지 700리
11. 가짜 요동성 지도 : 망평현(望平縣)과 읍루 현(?婁縣)
12. 평양성(남평양)에서 요동성까지 드라이 브!
13. 후한(後漢)과 전쟁 : 현도(玄?)는 산서성 (山西省)
14. 조위(曹魏)와 전쟁 : 비류국은 하북성 령구 현(?邱縣)
15. 서진(西晉)과 전쟁 : 서안평은 하북성 석가 장시(石家庄市)
16. 전연(前燕)과 전쟁 : 신성은 하북성 형태시 (邢台市)
17. 후연(後燕)과 전쟁 : 동래는 산동성 하택시 (?澤市)
18. 북위(北魏)와 고구려의 상호견제
19. 수(隋)와 전쟁 : 임유관은 하남성 집작시 (集作市)
20. 당(唐)과 전쟁 : 부여성은 산서성 태원시 (太原市)
21. 발해의 개국 : 상경(上京)은 북경시 창평구 (昌平區)
22. 요동성에서 바라보는 천리장성과 황하!

☞ 그림 목차

[그림 1] 산동성과 하북성 경계 지역 / 평양성(초주)과 사비성(해주) 추정지역
[그림 2] 아시아 지도 일부 / 서안, 낙양, 북경, 덕주 등 (km는 직선거리임)
[그림 3] 『대청광여도』 일부 / 유주(연경)의 본래 위치와 변이된 두 군데의 가짜 유주
[그림 4] 인천공항에서 평양성(남평양)까지 이동 노선
[그림 5] 평양성, 장안성, 요동성 등 추정지역과 패수, 압록수, 요수 등
[그림 6] 『신당서』 지리지에 근거한 안동도호부 주변 지명 배치도
[그림 7] 아시아 지도 일부 / 서안, 낙양, 요양 등 (km는 직선거리임)
[그림 8] 서안, 낙양, 요양 등
[그림 9] 아시아 지도 일부 / 산서성 둔유현(유주의 본래 위치)
[그림 10] 요 남경(연경) 주변지역 지명 배치도 (근거: 『요사』 지리지 제4 남경)
[그림 11]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계, 양향, 로, 탁, 옹로, 안차, 창평, 향하 등
[그림 12] 탐사 대상 영역
[그림 13] 『후한서』와 『신당서』 등에 근거한 낙랑과 요동 각각의 위치(모두 위사임)
[그림 14] 수·당의 공격로와 요수, 압록수, 살수 등
[그림 15] 박작성 공격도
[그림 16] 하북성 지도 일부 / 탁주, 역주, 안차, 영청, 무청, 향하, 옥전 등
[그림 17] 고려 사신 이동 경로 (근거: 『삼국사기』 권36 지리지 제4)
[그림 18] 『신당서』 지리지에 근거한 안동도호부 주변 지명 배치도([그림 6]과 동일)
[그림 19] 요동반도(요양, 압록강 입구, 평양 등)
[그림 20] 아시아 지도 일부 / 안택현, 둔유현, 송형령, 황수, 한단시 등
[그림 21]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영주, 연군성, 안동도호부(요동성) 등
[그림 22] 『대명여지도』의 산서여도 일부
[그림 23] 『신당서』 지리지에 근거한 안동도호부 주변 지명 배치도([그림 6]과 동일)
[그림 24] 아시아 지도 일부 / 요동성과 평양성 추정지역
[그림 25] 산서성과 하북성 일부 / 영주, 연군성, 안동도호부, 평양성 등
[그림 26] 요동성의 추정 위치
[그림 27] 평양성의 올바른 위치
[그림 28] 하북성 지도 일부 / 망도현, (국내성 추정지역) 왕경향, 안평현, 호타하 등
[그림 29] 국내성과 평양성(남평양)의 올바른 위치 추정지역
[그림 30] 요동성, 국내성, 평양성(남평양) 등의 위치(근거: 『후한서』, 『삼국지』, 『남사』, 『북사』 등
[그림 31] 『신당서』 지리지에 근거한 안동도호부 주변 지명 배치도([그림 6]과 동일)
[그림 32] 가탐의 도리기 지명 배치도
[그림 33] 박작성의 올바른 위치 추정 (근거: 『신당서』 지리지 하북성 영주 및 등주)
[그림 34] 하북성 지도 일부 / 박작성, 도리진, 압록수 등 추정지역
[그림 35] 도리진, 환도성, 오골강 입구 등 추정지역 (근거: 『신당서』 지리지 제7하 하북성 등주)
[그림 36] 요나라 동경 요양부 (근거: 『요사』 지리지 제2 동경)
[그림 37]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영주, 연군성, 망평현, 건안성, 요동성 등
[그림 38] 하북성과 산동성 경계지역 / 덕주시·무성현·하진현·임청시·임서현·곡주현·한단시 등
[그림 39] 『대청광여도』 일부 / 덕주시와 한단시 사이에 ‘성(城)’ 자가 들어 있는 지명
[그림 40] 아시아 지도 일부 / 평양성(낙랑), 국내성, 장안성, 패수, 압록수, 요수, 살수 등
[그림 41] 아시아 지도 일부 / 서하, 남하, 동하, 기주 등
[그림 42] 고구려의 낙랑 공격 추정 경로와 후한의 낙랑 공격 추정 경로
[그림 43] 『대청광여도』 일부 / 북평, 어양, 상곡, 태원 등
[그림 44] 아시아 지도 일부 / 유주 추정지역
[그림 45]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후한 대의 어양군과 광양군 추정지역
[그림 46]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탁군(범양군), 우북평군, 상곡군 등 추정지역
[그림 47]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어양군, 광양군, 우북평군, 상곡군, 대군 등
[그림 48] 『대청광여도』 일부 / 호구, 태원, 악양, 담회, 화음, 형장 등
[그림 49] 산서성 지도 일부 / 호구, 악양 등
[그림 50] 서기 49년 봄, 고구려의 후한 공격 추정 경로
[그림 51]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 지역 / 요양, 후성, 양곡산 등
[그림 52]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오대산, 오대현, 호타하 등
[그림 53] 아시아 지도 일부 / 현도군, 요동군, 낙랑군 등 추정지역
[그림 54] 아시아 지도 일부 / 국내성과 양평 추정지역
[그림 55] 중화인민공화국 측이 주장하는 위·촉·오 삼국의 강역 (출처: 「위키백과」)
[그림 56] 아시아 지도 일부 / 조위와 고구려의 공손연 토벌 추정 경로
[그림 57] 녹주, 정주, 환주, 풍주, 모주 등 (근거: 『요사』 지리지 제2 동경)
[그림 58] 아시아 지도 일부 / 공손강의 세력 범위 추정지역
[그림 59] 아시아 지도 일부 / 고구려의 서안평 공격 추정 경로
[그림 60] 관구검의 고구려 공격 및 회군 경로
[그림 61] 아시아 지도 일부 / 계, 영지, 신성, 비려, 백랑, 업, 중산 등 추정지역
[그림 62] 『대청광여도』 일부 / 중산, 신도, 고읍, 업 등(모두 위치가 변이된 지명임)
[그림 63] 산서성 둔유현과 양원현
[그림 64] 녹주와 환주 등(국내성과 환도성 추정지역)
[그림 65] 아시아 지도 일부 / 모용외의 고구려 공격 추정 경로
[그림 66] 아시아 지도 일부 / 미천왕의 현도, 낙랑, 요동 등 공격 추정 경로
[그림 67] 아시아 지도 일부 / 고구려군, 평주자사, 단씨·우문씨 등의 공격 추정 경로
[그림 68] 『대청광여도』 일부 / 유성, 용성, 도하, 극성 등 추정지역 (산서성 안택현)
[그림 69] 연왕 모용황의 고구려 공격 추정 경로
[그림 70] 아시아 지도 일부 / 고국양왕의 요동과 현도 공격 추정 경로
[그림 71]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신성과 남소성 추정지역
[그림 72] 아시아 지도 일부 / 북연왕의 망명 추정 경로(437년)
[그림 73] 고구려의 수도 이동과 북위의 분단
[그림 74] 중산, 신도, 업 등의 본래 위치(현재의 둔유현과 호관현)
[그림 75] 산서성 지도 일부 / 영양왕의 요서 영주 기습 추정 경로와 수 대 각 군의 치소
[그림 76] 수 대의 요서군, 상곡군, 어양군, 북평군, 안락군, 탁군 등
[그림 77] 산서성과 하남성 경계지역 / 진성시, 택주현, 대기 등
[그림 78] 난주 주변 지명 배치도 (근거: 「요사」 지리지 제4 남경)
[그림 79] 하남성 서북부 지역 / 심양시(마성현)의 수운(운하) 추정지역
[그림 80]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 지역 / 수 대 탁군에 속한 계현 등 추정지역
[그림 81] 612년 당시 수 양제의 고구려 공격 추정 경로
[그림 82] 612년 당시 내호아 수군의 이동 추정 경로
[그림 83] 『대청광여도』 일부 / 정주, 개봉 등
[그림 84] 산서성, 하북성, 하남성 경계지역 / 동평호, 남양호 등
[그림 85] 612년 당시 수 양제의 공격 추정 경로
[그림 86] 612년 당시 우중문, 우문술 등의 도주 추정 경로
[그림 87] 천리장성과 부여성의 추정 예상 지역
[그림 88] 유사현, 좌권현, 화순현, 석양현, 한단시, 진중시 등
[그림 89] 산서성과 하북성 경계지역 / 한단시와 유사현 사이에서 ‘성(城)’ 자가 들어간 지명들
[그림 90] 하북성과 산동성, 경계지역 / 한단시와 황하(해) 사이에서 ‘성(城)’ 자가 들어간 지명들
[그림 91] 644년 당시 당 태종 선봉대의 공격 추정 경로
[그림 92] 644~645년 당시 당 태종의 고구려 공격 상황 추정
[그림 93] 아시아 지도 일부 / 정주, 요택, 회원진 등 추정지역
[그림 94] 요 대 동경 주변 지명배치도 (근거: 『요사』 지리지 제2 동경)
[그림 95] 한단시를 중심으로 반경 32km 이내 지역
[그림 96] 한산시에서 장안성과 평양성(남평양)방향으로 ‘성(城)’ 자가 들어간 지명
[그림 97] 하북성 발해만 인근 지역 / 안시성 추정지역
[그림 98] 산서성 지도 일부 / 송막 추정지역과 당 태종의 퇴주 추정 경로
[그림 99] 요나라 동경 요양부 주변 지명 배치도([그림 36]과 동일)
[그림 100] 아시아 지도 일부 / 읍루와 동모산의 위치 (km는 직선거리임)
[그림 101] 발해의 등주 공격 추정 경로
[그림 102] 해동성국 발해의 상경 용천부와 중경 현덕부 추정지역
[그림 103] 해동성국 발해의 남경 남해부(옥주) 추정지역 (근거: 『요사』 지리지 제2 동경)
[그림 104] 해동성국 발해의 5경 15부 추정지역
[그림 105] 광부고성(한단시 영년현 광부진) 동문
[그림 106] 순천부고성 정문 본래 모습
[그림 107] 평양성 내성 북문(칠성문)의 모습

저자소개

김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5년 2월 11일생 덕수초등학교, 인천중학교, 제물포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졸업, 공학사(전기공학 전공)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 행정학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최고정책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최고감사인과정 수료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졸업, 국학박사(역사 전공) 제14회 기술고등고시(1978년) 합격 과학기술부(현 미래창조과학부)에서 30년간 근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감사, 정부출연연구기관감사협의회 회장, 선진화 감사포럼 부회장, 한국 원자력통제기술원 감사 등 역임 현재 과학기술 역사아카데미 회장, 고조선학회 부회장, 한민족사중앙연구회 공동회장, 과우회 감사, 동북아역사연구소 소장 ● 박사학위 논문 : 『고대 요수(遼水)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 주요 논문 「탁록(涿鹿)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갈석산(碣石山)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 「고조선의 도읍지, 건국년도, 국호에 관한 고찰」 「국학의 관점에서 보는 역사교육의 문제에 관한 연구」 「천제(天帝) 해모수의 흘승골성(訖升骨城)에 관한 연구」 「『환단고기』의 진위(眞爲)에 관한 고찰(I)」 「낙랑(맥국)과 옥저(예국)의 위치에 관한 연구」 「미추홀과 하남 위례성의 위치에 관한 연구」 「신라 9주(州)의 위치에 관한 연구」 「환도성(桓都城)과 안시성(安市城)의 위치에 관한 연구」 등 ● 주요 저서 : 『백제 900년의 비밀 관미와 고평』 『만천년 역사의 비밀 태백과 압록』 『고구려 평양성에서 바라보는 초주와 해주』 『조선 600년간의 비밀 요동과 부여』 『참전8계』 『명리학의 비밀』등
펼치기

책속에서

그런데 『후한서』 동이열전(東夷列傳)과 『삼국지』위서(魏書) 오환·선비·동이전(烏桓·鮮卑·東夷傳)에 따르면, ‘고구려는 요동(遼東)의 동쪽 1,000리 거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남사』 동이열전에도 고구려가 요동의 동쪽 1,000리 거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북사』 열전 제82에는 고구려가 요동의 남쪽 1,000리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 『후한서』·『삼국지』·『남사』 등 3개 사서에서는 고구려(평양성)가 요동의 동쪽 1,000리 거리에 있다고 했는데 『북사』에는 고구려가 요동의 남쪽 1,000리 거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도 직선거리인지 실제 이동거리인지 사서 상에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동쪽이든지 남쪽이든지 두 가지 중의 하나는 잘못 기록되었든지 누군가가 방향을 바꿔치기한 위사(僞史)로 볼 수밖에 없다.


우리 온 백성(百姓)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찾고 일체감을 형성하는데 이바지하기 위하여, 제 논문의 결론을 토대로 『고구려 평양성에서 바라보는 초주(椒州)와 해주(海州)』라는 책을 내었습니다. 고대 지명의 위치를 올바르게 밝히는 일이 역사 연구에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하는 이유는 지명의 위치가 역사 해석의 원천적인 근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책은 고구려가 서남쪽 국경선을 맞대고 있었던 후한, 조위, 진, 전연, 후연, 북위, 수, 당 등과의 전쟁 기록들을 제 논문에서 밝힌 고대 역사적 지명들의 위치에 대입시킨 연구 결과입니다. 만약 역사적 사건 기록들을 제 논문에서 밝힌 지명들의 위치에 대입시킨 결과 딱 들어맞지 않는다면, 논문에서 비정한 지명들의 위치가 틀렸다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마치 부기(簿記)에서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이 같아야 하듯이 모두 맞아떨어졌습니다.
고구려 요동성으로 비정한 하북성 한단시(광부진)에서부터 발해 상경(하북성 관청수고 동쪽 지역)까지 1,500리(당척)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즉, 『신당서』 지리지에 따르면 안동도호부(요동성)에서부터 동북쪽으로 1,500리 거리에 발해왕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동북쪽’은 ‘북쪽’을 바꿔치기한 위사(僞史)이며 ‘1,500리’는 『신당서』 지리지의 원문(原文) 기록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 그동안 사서에 근거가 빈약하여 미처 생각해 보지 못했던 비류수(沸流水)와 송양(松讓)의 비류국, 읍루(?婁)와 동모산(東牟山), 현도군에 속했다는 고구려현·서개마현·후성현·요양현, 천리장성(千里長城)과 부여성(夫餘城), 발해 5경 등의 위치들을 이 책을 쓰는 동안 추가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중국인민공화국 측은 세계 역사지도에 거짓된 역사 강역도(疆域圖)를 게재함으로써 세계 인류를 속인 셈입니다. 따라서 중국 사람들은 자신들의 처신에 관하여 언젠가 부끄러워하겠지마는, 지금은 우리가 먼저 삼한(三韓)의 후예로서 지난 600년간 역사를 잃어버리고 살아온 과거에 대하여 스스로 성찰(省察)해 보아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