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수행법 강의

불교수행법 강의

남회근 (지은이), 신원봉 (옮긴이)
  |  
부키
2010-07-10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수행법 강의

책 정보

· 제목 : 불교수행법 강의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60510883
· 쪽수 : 800쪽

책 소개

재가 및 출가 수행자들이 올바른 견지에서 심신을 닦아 성취를 이루는 데 길잡이 역할을 하는 수행 지침서이다. 대승과 소승을 넘나드는 경전, 대선사들의 각고의 수행 과정과 견도 및 행원을 담은 기록, 단계별 수증 경계 및 그 과정에서 빠지기 쉬운 온갖 미혹과 타파 방법을 철저히 부처님 말씀에 바탕을 두고 하나하나 짚어 준다.

목차

옮긴이 말 5

제1강 어떻게 이 강의가 시작되었나 17|석가모니는 무엇을 깨달았을까 22|참고 경전 27|해탈과 오도 29|견지, 수증, 행원 31|인과가 전도되었다 33|사가행 35

제2강 위경이라는 주장에 대한 변론 41|『능엄경』의 밀인 44|마음과 연 45|칠처징심 51|팔환변견 54|오십 종 음마 58|색음 58|수음 62

제3강 주화입마 69|수음진 71|상음 72|행음 77|식음 85

제4강 물가의 늙은 학 91|식음 93|오음과 그 영역 97|망상은 원래 공이다 102|사대로부터의 해탈 112|염화시중의 미소 115|부처님이 『법화경』을 설하다 117

제5강 『법화경』과 『장자』의 우화 127|오천의 비구가 자리를 뜨다 129|분단생사와 변역생사 131|손가락 한 번 튕기는 사이에 팔만사천 겁이 지나다 133|「비유품」: 불타는 집과 수레 세 대 135|「신해품」 142|「약초유품」 147|「화성유품」 149

제6강 『법화경』과 한산 155|옷 속의 보물 157|소욕과 무욕 159|불법과 황제 160|『수학무학인기품』 162|의사 중의 의사 163|다보여래와 장상영 166|용녀의 성불 169|부처의 번뇌 173

제7강 『증일아함경』과 십념법문 179|안반, 지관, 연기 182|「안반품」 제17 186|정의, 정신, 정언 188|들숨과 날숨 190|라훌라의 염안반 196

제8강 소승과 대승의 융합 201|초선에서 사선까지 라훌라의 수행 보고 202|염신과 백골관 211|현교와 밀교의 융회 관통하는 십념 수행 213

제9강 맹자의 호연지기 221|견사혹과 결사 225|『능엄경』에 나오는 십 종의 선인 229|육욕천도 231|욕구의 단절과 연기 조식 233|요가와 밀종의 수행법 237

제10강 청식, 수식의 문제 243|도교의 정기신, 낙?명?무념, 불교의 삼계 247|천태종의 삼지삼관, 공?가?중 254|밀종과 수기 257|수맥 259

제11강 달마조사의 이입과 행입 265|이조 혜가의 안심 269|사조 도신과 각 종파 273|오조 홍인의 시대 274|육조 혜능의 시대 276|심즉시불의 폐단 277|작은 석가모니 앙산 278|임제의 사료간 280

제12강 화두 참구와 관심법문 289|삼제탁공 291|임제의 사료간에 대한 재설명 298|영가가 삼신을 말하다 302|선과 『지월록』 303|생사의 문제 306|위산과 앙산의 문답 311|협산이 도를 깨치다 313

제13강 심리를 살피는 관심법문 323|삼제탁공과 현재의 마음 327|사료간과 화후 328|선과 불가분의 것 330|협산이 낙포를 제도하다 330|『종경록』의 오도에 대한 열 가지 물음 337|낙포의 삼관 341|임제의 삼현문 345|조동종을 말하다 349

제14강 불이법문과 자연외도 357|본성과 망념 361|일체유심과 심신 366|동산조사를 말하다 368|『역경』의 괘와 오위군신 372|수행의 세 가지 폐단과 염승법문 377|조산선사를 말하다 382|여래선과 조사선 387|오대 운문종의 융성 389

제15강 어떻게 신견을 없애는가 393|음계를 지키는 조비식 수련법 394|망념을 없애는 호흡 수련 397|운문조사의 오도 인연 399|운문조사를 말하다 403|운문조사와 삼평의 게송 405|법신의 두 가지 병폐 409|진상서가 운문을 대접하다 411

제16강 운문의 교육법 417|법안종과 선시 418|선종에 대한 오해 424|선종의 에워싸서 치는 교육법 430|사선, 사대와 삼대겁 433|심신의 건강과 수도 436|성종과 상종 438|오변행과 오음 440|의식과 여력 442

제17강 원오근선사를 말하다 449|관음법문과 원오근의 오도송 456|믿음의 어려움 459|정이란 어떤 상태인가 461|수정과 일체유심 463|공과 고선 467|유와 긴장 468|색신의 조절 469

제18강 불교의 우주관 475|우주의 재난 477|인류의 재난, 화재?수재?풍재 480|심법과 색법 483|인체의 삼계 485|머물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바라지 않는다 487|심체와 그 작용 489|심, 의, 식이란 무엇인가 491|기질의 변화 493

제19강 색신의 전화 497|지수화풍으로 이루어진 사대 500|삼재와 수행 503|사대의 종자와 색법 504|상속심 507|사선팔정과 정기신 509|선행과 아누다라삼먁삼보리 514|욕계에 얽매인 심리 상태 517

제20강 무엇이 정의 경계가 아닌가 523|작의의 전일함 527|세간정과 출세간정 532|유심지와 무심지 536|마음이 생기거나 생겨나지 않는 인연 543|무심지에 속하는 여섯 과위 546|유여의열반과 무여의열반 549

제21강 불법은 세간에 있다 555|『선종직지』의 대사인연 558|설암흠선사의 공안 559|고봉묘선사의 공안 575|정의 경계에 드는 대치법문 582

제22강 삼신의 성취 589|여순양의 백자명 590|무엇이 정에 들어서고 머물고 사라지는 것인가 596|자량의 중요성 602|정의 경계에서 물러섬 605|현관과 성교량 608

제23강 환상과 안통 613|사가행의 수행법 615|성문승의 사가행 620|독각승의 사가행 623|팔만사천의 대치 633|습기를 차례로 끊다 634|대반야는 큰 횃불과 같다 636|대승의 삼유와 열반 638|오온에서 벗어나기 어려움 641

제24강 도솔천에 왕생하다 647|제일의제 649|사정단 653|대승보살의 가행 656|『현관장엄론』의 사십육 종 마경 662|육도 보살행 663|네 종류의 마경 667|소승의 수증 순서 669|대승의 수증 방법 672

제25강 이장자의 『합론』 681|불법의 시간과 공간 관념 684|깨달아 밝은 것이 허물이 된다 687|망념과 정, 성과 정 689|제전스님과 임주선 692|색온 694|수온, 상온, 행온 696

제26강 감각의 경계에 갇히다 701|사와 상의 작용 704|다시 행음을 말하다 707|『백법명문론』과 심불상응행법 709|오음해탈 710|심행의 전화 713|타좌의 3단계 716

제27강 지와 색신 725|지와 사 727|수행의 첫걸음 728|유식의 작의, 천태종의 가관 732|가상이 만든 마경 736|영명과 청정을 지킴 738|육근의 누 739|임맥의 변화 742

제28강 행원만이 있을 뿐 749|삼천의 선행, 수천의 공덕 753|마음의 결사를 풀어 내다 754|정의 자비와 지의 자비 757|심행의 동요 758|어떻게 기질을 변화시키는가 762|사중의 은혜와 삼도의 고통 770|행하고 행하며 다시 행하고 행하라 772

부록 삼계천인표 775|견사혹과 삼계, 구지, 단혹 증진의 관계 776

저자소개

남회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8년 절강성 온주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서당 교육을 받으며 사서오경을 읽었다. 17세에 항주국술원에 들어가 각 문파 고수들로부터 무예를 배우는 한편 문학, 서예, 의약, 역학, 천문 등을 익혔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사천으로 내려가 장개석이 교장으로 있던 중앙군관학교에서 교관을 맡으며 사회복지학을 공부하였다. 교관으로 일하던 시절, 선생에게 큰 영향을 준 스승 원환선을 만나 삶의 일대 전환을 맞는다. 1942년 25세에 원환선이 만든 유마정사에 합류하여 수석 제자가 되었고, 스승을 따라 근대 중국 불교계 중흥조로 알려진 허운선사의 가르침을 배웠다. 불법을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중국 불교 성지 아미산에서 폐관 수행을 하며 대장경을 독파하였고, 이후 티베트로 가서 여러 종파 스승으로부터 밀교의 정수를 전수 받고 수행 경지를 인증 받았다. 1947년 고향으로 돌아가 절강성 성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문연각 사고전서와 백과사전인 고금도서집성을 열람하고, 이후 여산 천지사 곁에 오두막을 짓고 수행에 전념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1949년 봄 대만으로 건너가 문화대학, 보인대학 등과 사회단체에서 강의하며 수련과 저술에 몰두하였다. 1985년 워싱턴으로 가서 동서학원을 창립하였고, 1988년 홍콩으로 거주지를 옮겨 칠일간 참선을 행하는 선칠 모임을 이끌며 교화 사업을 하였다. 1950년대 대만으로 건너간 후부터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불도가 경전을 강의하며 수많은 제자를 길렀고,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40여 권이 넘는 책을 출간하여 동서양 많은 독자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다. 선생의 강의는 유불도를 비롯한 동양 사상과 역사에 대한 해박한 지식, 깊은 수행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엄중한 가르침, 철저히 현실에 기초한 삶의 자세, 사람을 끌어당기는 유머를 두루 갖춘 것으로 정평 있다. 2006년 이후 중국 강소성 오강시에 태호대학당을 만들어 교육 사업에 힘을 쏟다가 2012년 9월 29일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신원봉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조경학과를 거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 요녕대학교 한국학과에서 객원 교수로 근무했고 지금은 영산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부산 KBS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주역과 장자를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인문으로 읽는 주역』 『윷경』 『최한기의 철학과 사상』(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 남회근 저작선 다수와 『미학으로 동양 인문학을 꿰뚫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의 불교 공부는 인과가 전도되어 있습니다. 뭐라고 할까요? 원인을 결과로 잘못 안다고나 할까요? 우리는 자성은 본래 공이라느니 모든 것은 인연에 따른다느니 하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배워서 알게 된 이론에 불과하며 우리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석가모니부처님께서 그렇게 오랫동안 고행을 거친 후 제자들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우리는 그것이 기록으로 전해짐으로써 비로소 알게 된 것입니다.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답은 간단합니다. 직접 수행의 길을 걸어야 합니다. 석가모니부처님과 마찬가지로 선정의 길을 걸어야 하고, 진정한 수련의 길에서 스스로 연기성공(緣起性空)을 체득해야 합니다. (제1강 24쪽)


불법은 정(定)을 떠나지 않으며 타좌는 더더욱 떠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오랜 겁 동안 입정에 들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유용한 것은 아닙니다.(…) 젊은이 여러분, 함부로 장좌불와(長坐不臥)를 배워서는 안 됩니다. 그냥 앉아 있다고 좋을 게 뭐가 있겠습니까? 장좌불와가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불법이 드러나지 않으면 불도(佛道)를 이룰 수 없습니다. 주의해야 합니다. 함부로 하다가 신체를 상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비록 대지에 있는 모든 것이 약이라지만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면 더 엉망이 되고 맙니다. (제5강 152쪽)


염법이란 무엇일까요? 마음을 다하여 자신의 인생 속에서, 심신의 온갖 변화 속에서 이들 이치를 스스로 체험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아무리 불학을 연구하더라도 일단 타좌에 들면 이런 이치는 완전히 사라지고 맙니다. 불경을 볼 때에는 '아, 그렇구나!' 하지만 일단 타좌에 들면 그만입니다. 여기는 기(氣)가 움직이는데 저기는 움직이지 않는다느니 하며 부산합니다. 불법에서는 기맥을 통하게 하라고 말한 적이 없습니다. 불법은 이치를 따져 정사유(正思惟)하라고 말합니다. 생각할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분명히 사유할 수 있습니다. 불법의 이치는 바로 정사유입니다. 정사유하면 곧 선정(禪定)에 들 수 있습니다. (제7강 183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