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협주명현십초시

협주명현십초시

고려, 자산 (지은이), 이지운, 서용준, 주기평, 김수희, 김지현, 임도현, 김하늬, 이욱진, 정세진 (옮긴이)
  |  
학고방
2014-09-01
  |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55,000원 -0% 0원 2,750원 52,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55,000원 -10% 2750원 46,750원 >

책 이미지

협주명현십초시

책 정보

· 제목 : 협주명현십초시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88960714373
· 쪽수 : 846쪽

책 소개

대략 고려 초기인 10세기 후반, 고려인에 의해 편찬된 <명현십초시(名賢十抄詩)>에 고려 말 1300년 전후에 스님 자산이 협주를 하여 편찬한 시선집으로, 중만당과 오대시기의 중국 시인 26인과 당나라에서 유학한 신라인 4인의 칠언율시가 각각 10수씩 총 300수가 실려 있다.

목차

역자 서문 / 4
≪협주명현십초시≫의 간행목적과 유전양상 / 8
≪협주명현십초시≫ 서문 / 17
≪협주명현십초시≫ 권상(卷上) / 33

01. 유우석(劉禹錫) / 34
001.봄날 회포를 써 낙양의 백이십이와 양팔 두 서자에게 부침(春日書懷寄東洛白二十二楊八二庶子) / 35
002.중서사인 백거이가 새로 지은 시를 보냈는데 일찍 머리가 세고 자식이 없는 것을 탄식하므로 내가 이 시를 줌(白舍人寄新詩, 有歎早白無兒, 因以贈之) / 38
003.회남절도사 상공 영호초에게 올려(上淮南令狐楚相公) / 41
004.백거이에게 수창하여(酬白樂天) / 44
005.왕소윤의 댁에서 상시 장고 형과 중서사인 백거이 대감과 술자리가 있었고 노낭중과 이원외 두 부사에게 겸하여 드리다(王少尹宅宴張常侍二十六兄白舍人大監, 兼呈盧郞中李員外二副使) / 47
006.영호상공께서 대나무에 제하신 것에 화답하여(和令狐相公題竹) / 50
007.대궐에서 종을 치는 것을 기다리며 여러 동료에게 보내어(闕下待傳點呈諸同舍) / 53
008.집현각에 쓰다(題集賢閣) / 56
009.영호상공이 수도로 막 돌아와 시를 써 회포를 말한 것에 화답하여(和令狐相公初歸京國賦詩言懷) / 59
010.동도유수로 가는 영호상공을 전송하며(送令狐相公赴東都留守) / 62

02. 백거이(白居易) / 66
011.서성에서 꽃을 대하니 충주 동파의 여러 나무들이 기억나 동루에 써서 부침(西省對花憶忠州東坡雜樹因寄題東樓) / 67
012.전당에서 봄날 느낀 바를 적다(錢塘春日卽事) / 70
013.앵무새(鸚鵡) / 74
014.유순지가 멀리서 자줏빛 고운 비단을 보내줘서 시로써 그에게 답하다(庾順之以紫霞綺遠贈以詩答之) / 77
015.어부(漁父) / 79
016.수정염주(水精念珠) / 81
017.여항의 아름다운 풍광(餘杭形勝) / 83
018.강가의 누대에서 저녁에 바라보며 읊조리고 즐기다 시를 완성하여 수부의 장원외에게 부침(江樓晩眺吟翫成篇寄水部張員外) / 86
019.눈이 어두워서(眼昏) / 88
020.강가 누각에서 저녁 경치를 바라보다가 손님을 초대하다(江樓夕望招客) / 90

03. 온정균(溫庭筠) / 92
021.신풍을 지나며(過新豐) / 93
022.진림정에서 예전 노닐던 것에 느낀 바를 쓰다(題懷眞林亭感舊遊) / 95
023.진국공 배도의 수풀 연못에 쓰다(題裵晉公林池) / 97
024.선생 자수께 부침(寄先生子修) / 101
025.쉬는 날 중서성에서 아는 분을 찾아뵙고(休澣日西掖謁所知) / 104
026.이중서사인에게 띄움(投中書李舍人) / 107
027.친구의 연못 정자에 쓰다(題友生池亭) / 110
028.하중에서 절도사를 모시고 강 위 정자에서 노닐며(河中陪節度使遊河亭) / 112
029.청량사에 쓰다(題清涼寺) / 114
030.악주자사 이원외에게 부침(寄岳州李員外) / 117

04. 장적(張籍) / 120
031.공상서에게 드림(贈孔尙書) / 121
032.화주의 유사군에게 부침(寄和州劉使君) / 124
033.왕비서의 유거지에 쓰다(題王秘書幽居) / 126
034.계주로 이 중승을 전송하며(送桂州李中丞) / 128
035.한식날 궁궐 연회시 두 수 1(寒食內宴詩二首) / 130
036.한식날 궁궐 연회시 두 수 2(其二) / 134
037.강서로 원극시어를 전송하며(送江西院劇侍御) / 136
038.소주의 백사군에게 부침(寄蘇州白使君) / 138
039.호탁지상서가 감회를 적어 양소윤에게 부친 것에 화운하여(和度支胡尙書言懷寄楊少尹) / 142
040.양양으로 부임하는 이사공 전송하며(送李司空赴襄陽) / 145

05. 장효표(章孝標) / 148
041.조정 관리들에게 부침(寄朝士) / 149
042.보름밤 달구경하는데 구름이 끼기에(十五夜翫月遇雲) / 151
043.급제한 뒤 오 지방으로 돌아와서 맹원익이 나에게 부친 시에 답하여(及第後歸吳詶孟元翊見寄) / 153
044.전 비서성 동료 위관문 조교가 낙양으로 임명되어 감을 전송하며(送韋觀文助敎分司東都前秘書省同官) / 155
045.소선생에게 드림(贈蕭先生) / 157
046.수재 유부를 전송하며(送兪鳧秀才) / 160
047.여항으로 돌아가는 정보상인을 전송하며(送貞寶上人歸餘杭) / 162
048.동정호의 옛 은거지로 돌아가는 내작사의 육판관을 전송하며(送內作陸判官歸洞庭舊隱) / 165
049.변주의 한사공에게 올리다(上汴州韓司空) / 167
050.항주 천축산 영은사에 쓰다(題杭州天竺靈隱寺) / 169

06. 두목(杜牧) / 172
051.장경사에 투숙하다(宿長慶寺) / 173
052.제안의 늦가을(齊安秋晩) / 175
053.군 청사에서 추운 밤 사물을 마주하여 곡사처사와 허수재를 생각하다(郡齋寒夜卽事懷斛斯處士許秀才) / 177
054.허수재가 나의 시를 읽으시고 보내온 시 열 수에 수답하다(酬許秀才垂覽拙詩見贈之什) / 179
055.제안군의 누각에서 저녁에 먼 곳을 바라보며 옛 일에 감동하여 회고하다(郡樓晩眺感事懷古) / 181
056.완릉의 수각에 대해 쓰다(題宛陵水閣) / 183
057.예전에 유람했던 종릉을 회상하며(懷鍾陵舊遊) / 185
058.예전에 유람했던 종릉을 회상하며 2(其二) / 188
059.바둑 명수 왕봉을 전송하며(送國碁王逢) / 190
060.구봉루에서 장호에게 부침(九峰樓寄張祜) / 193

07. 이원(李遠) / 198
061.학을 놓아주다(放鶴) / 199
062.유이십일이 도명스님의 입적을 알려오매 옛 일을 써서 벗에게 부침(劉二十一報道明師亡敍昔時寄友) / 202
063.이사마가 천자의 초상화를 그리니 이에 부침(李司馬貌御眞容因寄之) / 204
064.오월 고사(吳越古事) / 207
065.변문 공연하는 이(轉變人) / 209
066.흥주로 가는 벗을 전송하고 겸하여 원외사군에게 부침(送友人之興州兼寄員外使君) / 211
067.민중에서 감회를 써 손수재에게 부침(閩中書懷寄孫秀才) / 214
068.상주를 지나며 감회를 써서 오처사에게 부치고 이어 조상인께 바침(過常州書懷寄吳處士因呈操上人) / 217
069.친구가 버린 여인을 대신하여(代友人去姬) / 219
070.촉으로 돌아가는 공봉 귀위의를 전송하며(送供奉貴威儀歸蜀) / 221

08. 허혼(許渾) / 224
071.동정산으로 돌아가는 장존사를 전송하며(送張尊師歸洞庭) / 225
072.우연히 소주 호구사 승원에 쓰다(偶題蘇州虎丘寺僧院) / 227
073.소주의 옥지관을 다시 노닐며(重遊蘇州玉芝觀) / 230
074.망정의 여관에 묵으며 소주에서 함께 노닐던 이들에게 부침(宿望亭館寄蘇州同遊) / 233
075. 은요번에게 부침(寄殷堯藩) / 235
076.소주로 돌아가는 원서 스님을 보내고 또 장후에게 부침(送元書上人歸蘇州寄張厚) / 238
077.교외 동산에서 가을 날 낙양에 있는 벗에게 부침(郊園秋日寄洛中親友) / 241
078. 영주종사의 서쪽 호수 정자(潁州從事西湖亭) / 243
079. 동쪽으로 돌아가는 마습유를 전송하며(送馬拾遺東歸) / 245
080.남쪽 이웃인 번명부가 오래도록 집으로 돌아오지 않기에 숲속 정자에 쓰다(鄰樊明府久不還家, 因題林亭) / 248

09. 옹도(雍陶) / 250
081. 변새의 길에 날씨 막 맑아져(塞路初晴) / 251
082.좌풍익 보좌관으로 있다가 학관으로 제수 받았는데 때마침 흰머리를 발견하여 탄식이 쏟아지니 이를 계기로 태학의 여러 학생들에게 보이다(自左輔書佐授學官始有二毛之歎因示太學諸生) / 253
083. 최습유의 집에서 원숭이를 보다(崔拾遺宅看猿) / 256
084. 미인의 봄 원망을 대신하여(代美人春怨) / 258
085. 정안공주님이 궁에 돌아오시다(定安公主還宮) / 261
086.급제하여 서천으로 돌아가는 요곡을 전송하며(送姚鵠及第歸西川) / 265
087.급제하여 원주로 돌아가는 노조를 전송하며(送盧肇及第歸袁州) / 268
088. 가을날 와병 중에(秋居病中) / 271
089.말채찍을 드리며 운주의 배순관을 배웅하다(以馬鞭贈送鄆州裴巡官) / 273
090.영락현령 은요번의 영내 연못에 핀 가련을 읊다(永樂殷堯藩明府縣池嘉蓮詠) / 276

10. 장호(張祜) / 280
091.복주의 흰 대나무 부채를 읊게 되어 - ‘경’자운을 취하다(賦得福州白竹扇子 探得輕字) / 281
092.장차 월주로 가기에 앞서 월주의 친구에게 부침(將之越州先寄越中親故) / 283
093.주원외의 연회에서 둘이서 <자지무>를 추기에(周員外席雙舞柘枝) / 285
094.화엄사의 위수재 정원에 부침(寄花嚴寺韋秀才院) / 288
095.저물녘에 조대로부터 위은사의 교외 원림에 이르러(晩自朝臺至韋隱居郊園) / 290
096.화음현의 산중거처로 돌아가는 영남 노판관을 전송하며(送嶺南盧判官歸華陰山居) / 292
097.가을밤 간적관의 육선배 초당에 묵으며(秋夜宿簡寂觀陸先輩草堂) / 295
098.양주 법운사의 두 노송나무에 쓰다(題揚州法雲寺雙檜) / 297
099. 겨울날 월대에 올라 고향을 생각하며(冬日登越臺懷鄕) / 299
100. 중현각에 올라(登重玄閣) / 301

11. 조하(趙嘏) / 306
101. 장안의 가을 저녁(長安秋晩) / 307
102.심양의 두교리에게 부침(寄潯陽杜校理) / 310
103.이른 봄에 위수 나루에서 동쪽을 바라보며(早春渭津東望) / 313
104. 한강에서의 가을 저녁(漢江秋晩) / 315
105. 초국사에 유숙하며 느낀 바 있어(宿楚國寺有懷) / 317
106. 고향 산양을 생각하며(憶山陽) / 319
107.하주의 막부로 부임하는 배평사를 전송하며(送裴評事赴夏州幕) / 322
108.장안에서의 달밤에 친구와 옛 동산을 이야기하며(長安月夜與友人話舊山) / 325
109. 내 심사풀이(自解) / 327
110. 긴 하루(永日) / 330

12. 마대(馬戴) / 332
111. 과주에서 이류와 이별하며 남겨줌(瓜州留別李謬) / 333
112.회남으로 사신 가는 사촌형 정판관을 만나 이별한 뒤에 돌아와서 부침(逢表兄鄭判官奉使淮南別後却寄) / 336
113. 하곡에서(河曲) / 339
114. 산으로 돌아가는 호연사를 전송하며(送胡鍊師歸山) / 342
115.낙제를 하고 친구와 이별하며 드림(下第贈別友人) / 345
116. 고향 집이 그리워서(懷舊居) / 347
117. 상산사호의 사당에 제를 달고(題四皓廟) / 350
118.경구에 한거하다가 경락의 친우에게 부침(京口閒居寄京洛親友) / 353
119. 유 수재와 이별하고(別劉秀才) / 355
120.대부의 작은 못에 외로운 기러기가 내린 것에 화운하여(和大夫小池孤鴈下) / 357

13. 위섬(韋蟾) / 360
121. 할 일 없이 쓴 시(閑題) / 361
122. 아직 돌아가지 못하고서(未歸) / 364
123. 앵무새(鸚鵡) / 366
124. 방초(芳草) / 368
125. 춘분(春分) / 370
126. 임신년 한식(壬申歲寒食) / 373
127. 추운 밤에 읊조리니(霜夜紀詠) / 376
128.과거에 급제한 다음에 동쪽으로 이수와 낙수에 놀러가는 친구를 전송하며(送友人及第後東遊伊洛) / 379
129. 투명한 유리옥 빗(白瑠璃篦) / 381
130. 공자(公子) / 384

14. 피일휴(皮日休) / 388
131. 늦은 봄 동정호에서(洞湖春暮) / 389
132.팽택에서 적량공의 사당을 배알하며(彭澤謁狄梁公生祠) / 391
133. 이처사의 산 연못에 쓰다(題李處士山池) / 396
134. 이인의 정원외의 집(利仁鄭員外居) / 398
135. 건전박의 양주 옛집에 쓰다(題蹇全樸襄州故居) / 400
136.보궐 영호의 <백련시>에 받들어 화운함(奉和令狐補闕白蓮詩) / 402
137. 무당산에서 새벽에 일어나(武當山晨起) / 404
138. 수재 석조의 양주 유거지에 쓰다(題石眺秀才襄州幽居) / 406
139. 남양현에서 옛날을 생각하며(南陽縣懷古) / 408
140. 봄밤에 술에서 깨어(春宵飮醒) / 411

15. 최치원(崔致遠) / 414
141. 윤주의 자화상방에 올라(登潤州慈和上房) / 415
142.이전장관이 겨울날 산사를 노닐던 것에 화답하여(和李展長官冬日遊山寺) / 418
143. 변하에서 회고하며(汴河懷古) / 420
144.벗이 구장을 선사해서 보검으로 답례하며(友人以毬杖見惠以寶刀爲答) / 423
145.신축년에 일을 써서 진사 오첨에게 부침(辛丑年書事寄進士吳瞻) / 426
146.벗의 봄날 들판의 정자에서 노니는 시에 화답하여(和友人春日遊野亭) / 428
147.고운시어가 중양절에 국화를 읊은 것에 화답하여(和顧雲侍御重陽詠菊) / 430
148.고운지사가 늦봄에 느낀 바를 쓴 것에 화답하여(和顧雲支使暮春卽事) / 432
149.진사 장교가 시골에 살면서 병중에 보내온 시에 화답하여(和進士張喬村居病中見寄) / 435
150. 수재인 양첨에게 답하여(酬楊瞻秀才) / 438

16. 박인범(朴仁範) / 442
151.천축국으로 돌아가는 엄상인을 전송하며(送儼上人歸竺乾國) / 443
152. 물길을 가며 수재인 장준께 드림(江行呈張峻秀才) / 446
153. 마외에서 옛일을 회상하며(馬嵬懷古) / 449
154. 향암산의 예상인께 부침(寄香巖山睿上人) / 452
155. 초가을에 감회를 쓰다(早秋書情) / 454
156.경주 용삭사 전각을 노래하고 겸하여 운서스님께 편지로 부침(涇州龍朔寺閣兼簡雲棲上人) / 457
157. 원외랑 은씨에게 올림(上殷員外) / 461
158. 원외랑 풍씨께 올림(上馮員外) / 464
159. 교서 벼슬하는 전씨께 드림(贈田校書) / 467
160. 구성궁에서 옛일을 생각하며(九成宮懷古) / 469

17. 두순학(杜荀鶴) / 472
161. 가을날 강가에 배를 대고(秋日泊江浦) / 473
162. 봄날 장안에서(長安感春) / 475
163. 팽려호에서 낚시하는 이에게 드림(贈彭蠡釣者) / 477
164. 길에서 봄을 만나(途中春) / 479
165.과거시험 응시를 그만두고 군대로 가는 벗에게 드림(贈友罷赴擧辟命) / 481
166.여름날 벗의 숲속 정자에 올라(夏日登友人林亭) / 483
167.봄날에 거처하는 산에서 벗에게 부침(春日寄友人自居山) / 485
168. 가을날 호숫가에서 심사(心事)를 쓰다(秋日湖外書事) / 487
169. 객사의 가을 저녁(旅舍秋夕) / 489
170. 눈(雪) / 491

18. 조당(曹唐) / 494
171.황제가 공동산에 가서 용성공을 찾아뵙다(黃帝詣崆峒山謁容成) / 495
172.목왕이 인간세상으로 돌아가니 서왕모가 멍하니 느낀 바가 있다(穆王卻到人間惘然有感)/ 498
173.목왕이 예전에 곤륜산에서 노닐었던 것에 대해 감회가 있다(穆王有懷崑崙舊遊)/ 502
174.무제가 장차 서왕모가 내려올 것을 느끼다(武帝將感西王母降) / 504
175. 다시 선녀를 찾아갔으나 만나지를 못하다(再訪玉眞不遇) / 507
176.서왕모가 시녀 허비경에게 운화생황을 연주하게 하여 무제에게 잔치를 베풀다(王母使侍女許飛瓊鼓雲和笙以宴武帝) / 509
177.무제가 선도를 먹고 그 씨앗을 남겨 장차 인간 세상에 심으려 하다(武帝食仙桃留核將種人間) / 512
178.악록화가 장차 구의산으로 돌아가려 허진인과 작별하다(萼綠華將歸九疑山別許眞人)/ 515
179.장석이 두란향이 짜서 준 비취빛 옷을 대하고 서글픈 감정을 느끼다(張碩對杜蘭香留貺織成翠水之衣淒然有感) / 519
180.한무제가 다시 청했으나 서왕모가 내려오지 않다(漢武帝再請西王母不降) / 522

19. 방간(方干) / 524
181. 천봉사에 쓰다(題千峰榭) / 525
182.여행 중에 양주에 머물며 학씨의 임정에 우거하다(旅次洋州寓居郝氏林亭) / 527
183. 항주의 우낭중에게 부침(寄杭州于郞中) / 529
184.월주에서 일을 말하여 - 왕대부께서 임지에 온 후에 짓다(越中言事王大夫到任後作) / 531
185. 백편 손발에게 드림(贈孫發百篇) / 534
186. 보은사 상방에 쓰다(題報恩寺上房) / 536
187. 단공 이영에게 드림(贈李郢端公) / 538
188. 항주의 두중승(杭州杜中丞) / 540
189. 회계의 장소부에게 드림(贈會稽張少府) / 542
190.술방재에서 우현의 표 현령에게 부침(述方齋寄虞縣表宰) / 544

20. 이웅(李雄) / 546
191. 장수하(漳水河) / 547
192. 운문사(雲門寺) / 549
193. 진회하(秦淮) / 552
194. 대성(臺城) / 555
195. 강엄택(江淹宅) / 558
196. 향오정(向吳亭) / 562
197. 수렴정(水簾亭) / 565
198. 탁금강(濯錦江) / 568
199. 뻐꾸기(子規) / 572
200. 장의루(張儀樓) / 575

21. 오인벽(吳仁璧) / 580
201. 선주(宣州) / 581
202.서기인 나은이 시집을 빌려 보여주고 이어서 정원의 야채도 보내주셨기에 시로써 감사하다(羅隱書記借示詩集尋惠園蔬以詩謝) / 584
203.완릉현에서 고몽처사의 집, 즉 원징군의 옛 거처에 쓰다(宛陵題顧蒙處士齋卽元徵君舊居) / 587
204.오땅에서 이른 봄에 왕처사의 산 속 집에 쓰다(吳中早春題王處事山齋) / 590
205. 소주의 최간의(蘇州崔諫議) / 592
206. 가을날 종명부에게 부침(秋日寄鍾明府) / 595
207.꽃샘추위에 화산에서 반교서에게 부침(西華春寒寄潘校書) / 598
208. 매화(梅花) / 601
209.서기인 나은의 시집을 돌려주며(還羅隱書記詩集) / 604
210.춘방을 붙인 날에 좌주에게 바쳐(放春牓日獻座主) / 607

22. 한종(韓琮) / 610
211. 버드나무(柳) / 611
212. 소나무(松) / 613
213. 서리(霜) / 616
214. 이슬(露) / 618
215. 안개(煙) / 620
216. 눈물(淚) / 622
217. 이별(別) / 624
218. 물(水) / 626
219. 근심(愁) / 628
220. 한(恨) / 630

23. 최승우(崔承祐) / 632
221. 경호(鏡湖) / 633
222. 신임 이중서사인께 드림(獻新除中書李舍人) / 637
223.나부산으로 들어가는 진사 조송을 전송하며(送進士曹松入羅浮) / 640
224.봄날 서천절도사에서 회남절도사로 부임하는 위태위를 전송하며(春日送韋太尉自西川除淮南) / 644
225.관중에서 급제 동기 진책이 빈주의 막부에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며(關中送陳策先輩赴邠州幕) / 648
226. 설잡단께 드림(贈薛雜端) / 652
227. 요경운전을 읽고(讀姚卿雲傳) / 655
228.강서에서의 옛 유람이 떠올라 이에 지기에게 부치다(憶江西舊遊因寄知己) / 658
229. 헤어짐(別) / 661
230.업 땅에서 이석수재가 거울을 주며 쓴 시에 화답하여(鄴下和李錫秀才與鏡) / 664

24. 최광유(崔匡裕) / 668
231. 황궁의 물길(御溝) / 669
232. 장안에서 봄날의 감회를 쓰다(長安春日有感) / 671
233. 벗의 뜰에 핀 매화(題知己庭梅) / 673
234.급제하여 고국으로 돌아가는 고향 사람을 전송하며(送鄕人及第歸國) / 675
235. 교외에 거처하며 지기에게 드림(郊居呈知己) / 678
236. 가랑비(細雨) / 681
237. 아침 일찍 길을 나서다(早行) / 683
238. 백로(鷺鷥) / 685
239. 상산의 길에서 짓다(商山路作) / 687
240. 강남의 이처사 집을 그리워하며(憶江南李處士居) / 690

25. 나업(羅鄴) / 694
241.여관에서 가을 저녁에 감회를 말하다(旅館秋夕言懷) / 695
242.친구와 함께 오나라 성문에서의 옛 노ㅤㄴㅣㄻ을 말하며(同友人話吳門舊遊) / 697
243.가을에 영창도를 지나며 감회가 있기에(秋過靈昌渡有懷) / 699
244.겨울날 홀로 신안의 절을 노닐며(冬日獨遊新安蘭若) / 701
245. 바닷가에서 장존사와 이별하고(海上別張尊師) / 703
246. 가을 새벽(秋曉) / 705
247. 나비(蛺蝶) / 707
248. 가을날 느낀 바 있어(秋日有懷) / 710
249.봄날 낙양에 거하는 친구에게 써 드림(春日題贈友人洛下居) / 712
250. 망강정(望江亭) / 714

26. 진도옥(秦韜玉) / 718
251. 장안에서 뜻을 적다(長安書情) / 719
252. 봄눈(春雪) / 721
253. 대나무에 쓰다(題竹) / 723
254. 앵무새(鸚鵡) / 725
255. 꽃을 마주하고(對花) / 727
256. 이낭중의 산속 정자에 쓰다(題李郎中山亭) / 729
257. 낚시하는 늙은이(釣翁) / 731
258. 수양제 제방의 버들(隋堤柳) / 733
259.과거에 낙방하였으나 남릉현령에 제수되어 가는 친구를 전송하며(送友人罷擧授南陵令) / 735
260. 봄나들이(春遊) / 738

27. 나은(羅隱) / 740
261. 진사 서제에게 부침(寄徐濟進士) / 741
262. 위섬에게 부침(寄韋瞻) / 743
263.감로사에서 눈 내리는 것을 보고 주상공께 부쳐 올림(甘露寺看雪寄獻周相公) / 745
264. 임천에서 목 단공께 드림(臨川投穆端公) / 748
265. 동쪽으로 돌아가는 길에(東歸途中) / 751
266. 복숭아꽃(桃花) / 753
267. 고 주객원외께 부침(寄主客高員外) / 755
268. 금릉에서 밤에 배를 대다(金陵夜泊) / 758
269. 변광대사를 전송하며(送��光師) / 760
270.자계로 부임하는 변명부를 전송하며(送卞明府赴紫溪任) / 763

28. 가도(賈島) / 766
271. 도사를 전송하며(送道士) / 767
272. 조주자사 한공께 부침(寄韓潮州) / 769
273.최군의 여름 숲 연못에서(崔君夏林潭) / 772
274.월주로 돌아가는 주원범을 전송하며(送周元範歸越) / 774
275.이른 가을 천축사와 영은사에 부침(早秋寄天竺靈隱二寺) / 777
276. 산사람에게 드림(贈岳人) / 780
277. 원낭중께 드림(贈元郎中) / 782
278.부모님을 뵈오러 고향으로 돌아가는 최수재를 전송하며(送崔秀才歸覲) / 784
279.나는 성품이 유유자적하여 늘 바둑, 장기와 낚시질을 일삼노라(愚性踈散常以奕棋釣魚爲事) / 786
280.임진현 서사에서 마침 감회가 일어(臨晉縣西寺偶懷) / 789

29. 이산보(李山甫) / 792
281. 한대(漢代) 역사를 읽다(讀漢史) / 793
282. 수나라 제방의 버드나무(隋堤柳) / 796
283.학업을 그만두고 종군하는 이수재를 전송하며(送李秀才罷業從軍) / 798
284.소주의 배원외를 전송하며(送蘇州裴員外) / 800
285. 곡강(曲江) / 803
286. 촉에서 느낀 바가 있어(蜀中有懷) / 805
287. 바람(風) / 808
288. 달(月) / 810
289. 제후의 집(侯家) / 812
290. 국화(菊) / 814

30. 이군옥(李群玉) / 816
291. 검지(劍池) / 817
292. 황릉묘(黃陵廟) / 820
293. 금릉에서 옛 일을 생각하며(秣陵懐古) / 822
294. 금당로에서 짓다(金塘路中作) / 824
295.상음현의 강가 정자에서 친구에게 부침(湘陰江亭寄友人) / 827
296.잠공산으로 가는 진 연사를 전송하는 장사인에 받들어 화운하며(奉和張舍人送秦練師岑公山) / 829
297.이부 선발시험을 보러 떠나는 도소부를 전송하며(送陶少府赴選) / 832
298. 장우에게 부침(寄張祐) / 835
299. 은자 노씨의 은거지(盧逸人隠居) / 837
300. 도관에서(道齋) / 839

저자소개

고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자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지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강의 전담교수와 성균관대학교 전임연구원을 지냈고 당시를 비롯한 중국의 고전 시문학을 번역하고 연구 활동을 진행 중이다. 저서로 『전통시기 중국문인의 애정 표현 연구』,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동양문학편』(공저)이 있으며 역서로는 『이청조 사선』, 『온정균 사선』, 『이상은』,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사령운 사혜련 시』(공역), 『이의산시집』(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모호한 아름다움, 몽롱미-이상은 시의 난해성에 대한 시론」, 「단절된 공간, 불온한 시선-당대 여성시인 어현기(魚玄機)의 삶과 시」, 「송대 여성작가 주숙진(朱淑眞)과 그의 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서용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중문과 대학원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08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숙명여대, 동국대, 서원대 등에서 중국문학, 중국어 등을 강의했다. 석사 학위 논문은 <범성대 전원시 연구(范成大 田園詩 硏究)>며, 박사 학위 논문은 <이백시(李白詩)의 화자(話者)에 대한 연구>다. 주된 연구 분야는 당대(唐代)와 송대(宋代)의 시가(詩歌)며 그 외에 중국 고대의 문학이론과 소설에 대한 논문을 썼다. 최근에는 시인의 개인적인 기억이 한시의 내용에 반영되는 방식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주기평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號)는 벽송(碧松)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서울시립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육유 시가 연구≫, ≪육유사≫, ≪육유 시선≫, ≪고적 시선≫, ≪잠삼 시선≫, ≪향렴집≫, ≪역주 숙종춘방일기≫, ≪당시 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사령운·사혜련 시≫(공역), ≪진자앙 시≫(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중국 만가시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 <진자앙 감우시의 용사 연구>, <중국 역대 도망시가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문학 예술적 특징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저서: <명대 여성 작가 총서 13―심의수 사선>(도서출판 사람들), <이제현사집>(지식을만드는지식, 공역), <사령운 사혜련시>(학고방, 공역), <진자앙시>(학고방, 공역), <악부시집 청상곡사 1>(학고방, 공역)
펼치기
김지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장염사학 이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역서로 ≪송사삼백수≫(을유, 2013), ≪협주명현십초시≫(공역, 학고방, 2014), ≪이제현 사집≫(공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5), 학술 논문으로 <조선 문인 이은상 사의 특징 고찰>(2017), <이청조 관련 논사절구의 기술 관점 연구>(2018) 등이 있다. 한국과 중국의 옛 시가를 오늘날의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는 일에 힘쓰고 있다.
펼치기
임도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저서: ��쫓겨난 신선 이백의 눈물��(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이태백시집(7권)��(학고방, 공저), ��완역 한유시전집(상, 하)��(역락, 공저), ��시의 신선 이백 글을 짓다-이태백 문집��(박문사, 공저), ��협주명현십초시��(학고방, 공저), ��사령운 사혜련 시��(학고방, 공저), ��진자앙 시��(학고방, 공저), ��악부시집-청상곡사 1, 2��(학고방, 공저), ��한유시선��(학고방), ��하늘이 내린 내 재주 반드시 쓰일 것이니-이백의 시와 해설��(학고방), ��건재한시집-오리는 잘못이 없다��(학고방)
펼치기
김하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16년 현재 박사 논문을 준비 중이다. 저역서로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이제현 사선≫(공역)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 <주이준 애정시 <풍회이백운> 고찰>이 있다.
펼치기
이욱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곳에서 석사와 박사를 졸업한 뒤 강사로 재직 중. 논문으로 <《시경》 자연 경물 모티프의 은유>, <『문심조룡』 갈래 체계로 본 유협의 시가관> 등이 있고, 번역서로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악부시집 청상 곡사 1》(공역)이 있음.
펼치기
이욱진의 다른 책 >
정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중국어문 · 문화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고전시가(송대) 전공으로 석 ·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중국의 옛 레시피 및 식문화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과 저서로서 「명대明代 식보食譜 『준 생팔전遵生八箋 · 음찬복식전飲饌服食箋 · 포자류脯鮓類』에 대한 기초적 탐색」(2023), 『준생팔전遵生八箋 · 음찬복식전飮饌服食箋 · 포자류脯鮓類 역주』(2023), 『준생팔전遵生八箋 · 음찬복식전飮 饌服食箋 · 가소류家蔬類 역주』(2023), 「운림당음 식제도집雲林堂飲食制度集 역주譯註」(2022), 「10-14세기 송宋 · 원元의 레시피와 한반도의 밥상」(2022), 「남송대南宋代 식보食譜 『산가청공山家 淸供』에 대한 기초적 탐색」(2021), 「『중궤록中饋 錄』 역주」(2021) 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식보食譜번역DB(recipeofchina.com)를 운영 중이다. 한국의 중국식문화 연구자로서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고 중국의 옛 레시피와 식문화에 대한 세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중국 식문화의 실체를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한반도 식문 화의 정체성을 변별하는 비교연구 진행을 목표로 삼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