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령운 사혜련 시

사령운 사혜련 시

사령운, 사혜련 (지은이), 이지운, 서용준, 주기평, 김수희, 임도현, 김하늬, 정세진 (옮긴이)
  |  
학고방
2016-04-30
  |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령운 사혜련 시

책 정보

· 제목 : 사령운 사혜련 시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외국시
· ISBN : 9788960715776
· 쪽수 : 538쪽

책 소개

사령운과 사혜련의 시는 완정한 문집의 형태로 남아있지 않으며, 전하는 판본에 따라 수록된 시의 종류와 수가 많은 차이가 있다. 이 역해서에서는 각 판본을 비교 검토하고 선본을 뽑아 하나로 취합하여 사령운의 시를 총 107수, 사혜련의 시를 잔구를 포함하여 총 40수를 수록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전집의 형식을 갖추었다.

목차

•역자서문
•작가 소개 및 작품 세계
•사령운 시
1. 선재행善哉行 2
2. 농서행隴西行 6
3. 비재행悲哉行 9
4. 장가행長歌行 12
5. 군자유소사행君子有所思行 17
6. 회음행會吟行 21
7. 절양류행折楊柳行 28
8. 절양류행折楊柳行 30
9. 완가행緩歌行 32
10. 일출동남우행日出東南隅行 35
11. 고한행苦寒行 38
12. 예장행豫章行 40
13. 연가행燕歌行 42
14. 상류전행上留田行 45
15. 국가행鞠歌行 48
16. 순동서문행順東西門行 52
17. 태산음泰山吟 55
18. 할아버지의 덕을 서술하며 2수述祖德詩二首 58
19. 중양절에 송공을 따라 희마대에 모여 상서령 공정을 보내다九日從宋公戲馬臺集送孔令 67
20. 팽성궁에서 모시며 세밑에 감회가 있어彭城宮中直感歲暮 72
21. 삼짇날 서지에서 시연하며三月三日侍宴西池 75
22. 영초 3년 7월 16일 영가군으로 가려고 막 도성을 떠나며永初三年七月十六日之郡初發都 78
23. 이웃이 나를 전송하며 방산까지 오다鄰里相送至方山 83
24. 시녕의 별장에 들러過始寧墅 86
25. 부춘강가富春渚 90
26. 저녁에 서쪽 사당을 나와晩出西射堂 94
27. 연못가 누대에 오르다登池上樓 97
28. 남정에서 노닐며遊南亭 103
29. 백석암 아래 길에서 농사일을 순시하며白石巖下徑行田 106
30. 구계산에 들러 스님에게 공양드리다過瞿溪山飯僧 110
31. 백안정에 들러过白岸亭 113
32. 밭을 순시하고 바닷가 입구 반서산에 올라行田登海口盤嶼山 117
33. 상수의 석고산에 올라登上戍石鼓山 120
34. 동양계에서의 증답시 2수東陽溪中贈答二首 124
35. 적석산을 노닐다가 범해산으로 나아가다遊赤石進帆海 126
36. 영가강 고서산에 올라登江中孤嶼 131
37. 영가군 녹장산에 올라登永嘉綠嶂山 134
38. 영가군의 동산에서 바다를 바라보며郡東山望溟海 139
39. 영문산에서 노닐며遊嶺門山 142
40. 학사에게 경서를 강론할 것을 명하며命學士講書 146
41. 뽕나무를 심다種桑 150
42. 막 영가군을 떠나며初去郡 154
43. 밭 남쪽 나무 동산에 물길을 대고 울타리를 심다田南樹園激流植援 160
44. 석문산에 새로 거처를 마련하였는데, 사방이 높은 산, 굽이치는 계곡, 여울물, 빽빽한 숲과 키 큰 대나무로 둘러싸여 있어石門新營所住四面高山迴溪 石濑茂林修竹 164
45. 석벽산에 초리와 정사를 세우고石壁立招提精舍 168
46. 석벽정사에서 무호로 돌아와서 짓다石壁精舍還湖中作 173
47. 남루 안에서 고대하던 손님을 바라며南樓中望所遲客 176
48. 여릉왕의 무덤가에서 쓰다廬陵王墓下作 180
49. 동쪽 길로 들어서다入東道路詩 186
50. 옛 동산으로 돌아와 안연지와 범태 두 중서시랑에게 써 보이다還舊園作見顔范二中書 190
51. 석문산 정상에 올라登石門最高頂 197
52. 석문산의 바위 위에서 머물며石門巖上宿 201
53. 남산에서 북산으로 가며 호수를 지나는 중에 보니於南山往北山經湖中瞻眺 203
54. 근죽간을 따라 산을 넘고 물길로 가다從斤竹澗越嶺溪行 207
55. 석실산石室山詩 211
56. 종제 사혜련에게 화답하여酬從弟惠蓮 215
57. 혜련에게 답하다答惠連 221
58. 임해의 산을 오르려 막 강중을 떠나며 종제 혜련에게 써 주면서 양선지와 하장유를 만나 함께 화답함登臨海嶠初發疆中作與從弟惠連 見羊何共和之 223
59. 막 석수성을 출발하며初發石首城 229
60. 길에서 산 속을 그리며道路憶山中 233
61. 팽려호의 입구로 들어서며入彭蠡湖口 237
62. 여산 꼭대기에 올라 뭇 산을 바라보며登廬山絶頂望諸嶠 242
63. 막 출발하여 남성에 들어가며初發入南城 244
64. 화자강에 들어갔는데 이곳에 마산의 세 번째 골짜기가 있었다入華子崗是麻源第三谷 246
65. 대림봉大林峰 250
66. 막 신안의 동려구로 가서初往新安桐廬口 252
67. 칠리뢰七里瀬 255
68. 밤에 석관정을 출발하며夜發石關亭 259
69. 귀뢰의 세 폭포를 출발하여 두 물줄기를 바라보며發歸瀨三瀑布望兩溪 261
70. 위 태자 조비의 ≪업중집≫을 모의하여 지은 시 여덟 수와 서문擬魏太子鄴中集詩八首幷序 265
70-1. 위 태자 조비魏太子 268
70-2. 왕찬王粲 272
70-3. 진림陳琳 277
70-4. 서간徐幹 281
70-5. 유정劉楨 285
70-6. 응창應瑒 289
70-7. 완우阮瑀 293
70-8. 평원후 조식平原侯植 297
71. 정토를 읊다淨土咏 302
72. 겨울을 읊다咏冬 305
73. 세밑歲暮 308
74. 칠석날 견우와 직녀를 읊다七夕咏牛女 310
75. 떼었다 합치는 시離合詩 313
76. 임천에서 체포되어臨川被收 315
77. 임종시臨終詩 317
78. 독서재 안에서 책을 읽으며齋中讀書 321
79. 경구 북고산에서 천자를 모시고 노닐다 명을 받들어 쓰다從遊京口北固應詔 324
80. 중서에게 답하여答中書 329
81. 안성태수에게 주다 및 서문 7장贈安成幷序 七章 338
82. 종제 사홍원에게 주다 및 서문 6장贈從弟弘元幷序 六章 348
83. 종제 사홍원에게 주다. 이때 중군공조가 되어 경성에 머물렀다 5장贈從弟弘元 時爲中軍功曹住京 五章 357
84. 자의 사씨에게 답하다 8장答謝咨議 八章 363
85. 독서재讀書齋 372
86. 배를 타고 선암산으로 가 삼황정의 신선 자취를 찾다舟向仙巖尋三皇井仙迹 374
87. 북정에서 관리와 백성들과 헤어지며北亭與吏民別 377
88. 막 도성에 이르러서初至都 383
89. 왕수에게 주다贈王琇 385
90. 산 속의 집山家 387
91. 잔구殘句 388
92. 뇌차종을 보내며送雷次宗 389
93. 고개 바깥嶺表 391
94. 호산에 올라登狐山 393
95. 송계에 들어와서入竦溪 395
96. 동도행董逃行 397
97. 상봉행相逢行 398
98. 형산衡山 404

•사혜련 시
1. 추호행 2수秋胡行二首 408
2. 농서행 2수隴西行二首 411
3. 예장행豫章行 416
4. 못가의 노래塘上行 419
5. 각동서문행却東西門行 422
6. 장안유협사행長安有狹邪行 424
7. 종군행從軍行 427
8. 연가행燕歌行 429
9. 맹호행 2수猛虎行二首 432
10. 국가행鞠歌行 435
11. 전완성가前緩聲歌 438
12. 순동서문행順東西門行 441
13. 3월 3일 ≪곡수집≫三月三日曲水集詩 443
14. 남쪽 호수에 배를 띄워 석범산에 이르다泛南湖至石帆詩 446
15. 서릉에서 바람을 만나 사령운께 드리다 5수西陵遇風獻康樂 449
16. 고시를 본뜨다代古詩 454
17. 가을의 감회秋懷詩 457
18. 옷을 다듬이질하며擣衣詩 461
19. 호수에 배를 띄우고 돌아와서 누대에 나와 달을 바라보며泛湖歸出樓中望月詩 466
20. 칠석날 밤에 견우와 직녀를 읊다七月七日夜詠牛女詩 469
21. 비를 기뻐하다喜雨詩 474
22. 겨울을 읊는 시詠冬詩 476
23. 독서讀書詩 477
24. 밤에 모여 어그러짐을 탄식하며夜集歎乖詩 479
25. 공곡아와 이별하며與孔曲阿別詩 481
26. 소라조개를 읊다詠螺蚌詩 483
27. 떼었다 합치는 시離合詩 485
28. 떼었다 합치는 시離合詩 486
29. 밤에 모여 떼었다 합치는 시를 짓다夜集作離合詩 488
30. 삼짇날三日詩 490
31. 제목 미상 시 - 有客被褐前 491
32. 제목 미상 시 - 夕坐苦多慮 494
33. 제목 미상 시 - 挂鞍長林側 495

•부록 1 : 사령운 전기 496
•부록 2 : 사혜련 전기 509

저자소개

사령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조南朝 송宋의 시인이자 문장가로, 진군陳郡 양하(陽夏, 지금의 하남성 태강현太康縣) 사람이다. 진晉의 거기장군車騎將軍을 지낸 사현謝玄의 손자로, 강락공康樂公에 세습되어 봉해졌다. 송 무제武帝 때 산기상시散騎常侍로 발탁되어 태자좌위솔太子左衛率을 지냈으나 영가태수永嘉太守로 좌천되는 등 관운은 불우하였다. 반역죄로 무고를 받아 임천내사臨川內史로 있다가 산수를 유람하며 정무를 소홀한 죄로 탄핵되자 반란을 일으켜 유배되었다. 농민군과 내통하여 반란을 꾀한 죄목으로 처형당해 원가 10년(433) 49세로 세상을 떠났다. 중국 산수시의 대가로 꼽히며, 저작으로 ≪사강락집謝康樂集≫이 있다.
펼치기
사혜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조南朝 송宋의 시인이자 문장가로, 진군陳郡 양하(陽夏, 지금의 하남성 태강현太康縣) 사람이다. 사령운謝靈運의 족제族弟로서, 어려서부터 문재가 뛰어나 사령운과 더불어 ‘대소사大小謝’로 병칭되었다. 원가元嘉 7년(430)에 팽성왕彭城王 유의강劉義康의 법조참군法曹參軍을 지냈으며, 원가 10년(433) 37세로 세상을 떠났다. 저작으로 ≪사법조집謝法曹集≫이 있다.
펼치기
이지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강의 전담교수와 성균관대학교 전임연구원을 지냈고 당시를 비롯한 중국의 고전 시문학을 번역하고 연구 활동을 진행 중이다. 저서로 『전통시기 중국문인의 애정 표현 연구』,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동양문학편』(공저)이 있으며 역서로는 『이청조 사선』, 『온정균 사선』, 『이상은』,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사령운 사혜련 시』(공역), 『이의산시집』(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모호한 아름다움, 몽롱미-이상은 시의 난해성에 대한 시론」, 「단절된 공간, 불온한 시선-당대 여성시인 어현기(魚玄機)의 삶과 시」, 「송대 여성작가 주숙진(朱淑眞)과 그의 시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서용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중문과 대학원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2008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 숙명여대, 동국대, 서원대 등에서 중국문학, 중국어 등을 강의했다. 석사 학위 논문은 <범성대 전원시 연구(范成大 田園詩 硏究)>며, 박사 학위 논문은 <이백시(李白詩)의 화자(話者)에 대한 연구>다. 주된 연구 분야는 당대(唐代)와 송대(宋代)의 시가(詩歌)며 그 외에 중국 고대의 문학이론과 소설에 대한 논문을 썼다. 최근에는 시인의 개인적인 기억이 한시의 내용에 반영되는 방식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주기평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호(號)는 벽송(碧松)이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과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의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서울시립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육유 시가 연구≫, ≪육유사≫, ≪육유 시선≫, ≪고적 시선≫, ≪잠삼 시선≫, ≪향렴집≫, ≪역주 숙종춘방일기≫, ≪당시 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사령운·사혜련 시≫(공역), ≪진자앙 시≫(공역), ≪악부시집·청상곡사 1≫(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 <중국 만가시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일고찰>, <진자앙 감우시의 용사 연구>, <중국 역대 도망시가의 사회 문화적 배경과 문학 예술적 특징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김수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저서: <명대 여성 작가 총서 13―심의수 사선>(도서출판 사람들), <이제현사집>(지식을만드는지식, 공역), <사령운 사혜련시>(학고방, 공역), <진자앙시>(학고방, 공역), <악부시집 청상곡사 1>(학고방, 공역)
펼치기
임도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졸업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저서: ��쫓겨난 신선 이백의 눈물��(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두보 초기시역해1��(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두보 기주시기시 역해1, 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공저), ��이태백시집(7권)��(학고방, 공저), ��완역 한유시전집(상, 하)��(역락, 공저), ��시의 신선 이백 글을 짓다-이태백 문집��(박문사, 공저), ��협주명현십초시��(학고방, 공저), ��사령운 사혜련 시��(학고방, 공저), ��진자앙 시��(학고방, 공저), ��악부시집-청상곡사 1, 2��(학고방, 공저), ��한유시선��(학고방), ��하늘이 내린 내 재주 반드시 쓰일 것이니-이백의 시와 해설��(학고방), ��건재한시집-오리는 잘못이 없다��(학고방)
펼치기
김하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16년 현재 박사 논문을 준비 중이다. 저역서로 ≪협주명현십초시≫(공역), ≪이제현 사선≫(공역)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 <주이준 애정시 <풍회이백운> 고찰>이 있다.
펼치기
정세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중국어문 · 문화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에서 고전시가(송대) 전공으로 석 ·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중국의 옛 레시피 및 식문화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과 저서로서 「명대明代 식보食譜 『준 생팔전遵生八箋 · 음찬복식전飲饌服食箋 · 포자류脯鮓類』에 대한 기초적 탐색」(2023), 『준생팔전遵生八箋 · 음찬복식전飮饌服食箋 · 포자류脯鮓類 역주』(2023), 『준생팔전遵生八箋 · 음찬복식전飮 饌服食箋 · 가소류家蔬類 역주』(2023), 「운림당음 식제도집雲林堂飲食制度集 역주譯註」(2022), 「10-14세기 송宋 · 원元의 레시피와 한반도의 밥상」(2022), 「남송대南宋代 식보食譜 『산가청공山家 淸供』에 대한 기초적 탐색」(2021), 「『중궤록中饋 錄』 역주」(2021) 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식보食譜번역DB(recipeofchina.com)를 운영 중이다. 한국의 중국식문화 연구자로서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고 중국의 옛 레시피와 식문화에 대한 세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중국 식문화의 실체를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한반도 식문 화의 정체성을 변별하는 비교연구 진행을 목표로 삼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