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공예"(으)로 1,53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3200346

기타(Guitar) 제작 가이드 : 도장 및 픽업

강현득  | 다윈의서재
49,500원  | 20251031  | 9791193200346
《기타 제작 가이드 - 도장 및 픽업》은 시리즈의 마지막 권으로, 악기 제작에서 가장 까다롭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마감 공정(도장)과 픽업 제작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우레탄·락카 등 다양한 도장 방식, Wet 샌딩과 광택, 썬버스트 도색 같은 고급 피니시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며, 일렉트릭 기타 사운드를 결정짓는 핵심 부품인 픽업 제작 과정도 단계별로 담았다. 특히, 단순 이론이 아니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200여 대의 기타를 제작하며 쌓은 데이터와 실패·성공 사례를 기록하여, 초보자부터 중급 제작자까지 실전에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제공한다.
9788958175919

篆訣歌(전결가) (도곡서회 전서작품)

홍우기  | 다운샘
36,000원  | 20251001  | 9788958175919
9791191049220

항목 서법아언 해석본

항목  | 청명재
16,000원  | 20251018  | 9791191049220
중국 명나라 서예가이자 서예이론가인 항목(項穆)의 대표적인 서예이론서이다. 전통 유가적 사유를 기반으로 윤리적, 사회적, 교육적 의미에서 서예의 의미를 풀이하고 있다.
9791191408409

아워 유니버스

송정화실  | 지금풍류
19,800원  | 20250831  | 9791191408409
생을 버티며 살아낸 나무가 제 몸을 태워 삶의 흔적을 만들고 그 흔적에 또 다른 생들의 뼈가 섞인다 더해지는 모든 존재 공기 물 불 흙 바람 그 모든 우연과 필연이 만들어내는 우주의 색 묵으로 그들의 우주를 만지고 우리의 우주를 담는다 그 빛으로 만들어내는 우리의 이야기 아워 유니버스 송정화실 3주년 기념전 시·서·화 미학 이론과 37편의 수묵 에세이. 35편의 작품, 50가지 작가 노트 질문이 함께합니다.
9791189174422

한글궁체: 숨겨진 역사를 찾아서 (숨겨진 역사를 찾아서)

이규복  | 이서원
22,500원  | 20250901  | 9791189174422
이 책은 궁체에 대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다룬 결과물을 담고 있으며,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사실들을 새롭게 제시하고 궁체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했다. 저자는 낙선재본 소설, 한글 의주·홀기, 발기, 왕실의 한글 편지 등 다양한 고문헌을 분석하여 궁체의 기원, 명칭, 고전 궁체와 현대 궁체의 차이, 새롭게 명명된 획의 이름 등을 정리하였다. 또 궁체의 종류와 시대별 변천을 고찰하며 기존 분류 체계의 한계를 지적하고 새 기준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밀내인의 서사 활동, 왕후의 편지 대필과 소설 필사 과정, 그리고 서기상궁 최치정을 처음으로 소개하는 등 궁체의 실제 활용과 그 의미를 심도 있게 다루었다. 또한 그동안 추측에 머물던 왕후 편지 대필의 시작 시기를 문헌 발굴을 통해 규명하며, 지밀내인들의 궁체에 대한 진정성과 역할을 새롭게 조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알아두면 쓸모 있는 궁체 상식’에서는 사자관과 서사관의 궁체 사용을 비롯해 그동안 학계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자료들을 추적하여 궁체가 궁중 관리들 사이에서도 널리 쓰였음을 밝혔다. 이 책은 궁체를 학문적으로 깊이 다루면서도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어체로 설명을 풀었으며, 전문 연구자들을 위해서는 각주와 문헌 출처를 충실히 제시해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궁체의 본질과 역사적 의미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동시에, 새로운 자료와 사실을 발굴하여 궁체 연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만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9791112022448

사랑스런 선보넷 수 패턴 모음집 (선보넷 수 도안집)

이성민  | 부크크(bookk)
10,000원  | 20250715  | 9791112022448
이 책은 사랑스럽고 감성적인 선보넷 수 패턴 50가지 종류로 구성된 그림 도안집입니다. 바느질이나 자수를 할 때 다양한 도안 패턴으로 활용하기에 좋은 예쁜 도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상 속 소소한 힐링이 필요하신 분들, 바느질 작품이나 자수 작품을 만들고 싶은 분들에게 유용한 도안 자료집으로 활용되길 바랍니다.
9791198835383

최신 한글서예 (배우는 법 가르치는 법)

송병덕  | 태평양저널
12,600원  | 20250326  | 9791198835383
이 책은 최신 한글서예를 엮은 책이다. 서예로 쓰여진 한글을 감상할 수 있다.
9788919205976

한글서예(Hangeul Calligraphy) (Written by Gotdeul Lee Mi-Kyeong)

이미경  | 학원문화사
15,300원  | 20241201  | 9788919205976
Hangeul Calligraphy Hangeul, the Korean alphabet, is a unique writing system in the world. It was created in 1443 by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1392 - 1910), who invented and decreed the use of this new alphabet system. Hangeul was distinctly suited as a record of the Korean language as it was designed to perfectly represent the phonetic sounds of spoken speech. Nevertheless, its use was overshadowed by Hanmun, the Chinese character system, which had been the dominant official script for thousands of years. Thus, for hundreds of years Hangeul was primarily utilized by women, particularly royal and noble court members, who used it to record their lives and in their daily correspondence. As a result, the art of Hangeul calligraphy was developed by these pioneering court ladies, who invented its original style of writing with brush and Asian black ink. This classic style of Hangeul calligraphy is called ‘Gungche’ (palatial style). The principles of Gungche calligraphy were researched and taught by two prominent women artists in South Korea. Galmul Lee Cheol-Kyeong (1914 - 1989) and her younger sister Gotdeul Lee Mi-Kyeong (1918 - 2022) were educated in Hangeul calligraphy from early childhood by their father Lee Man-Gyu, a Hangeul scholar and patriotic educato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n peninsula (1910 - 1945). Afterwards, they established the Galmul Hangeul Calligraphy Association (1958) and helped promote Hangeul calligraphy as an official subject in the national school curriculum. They also instructed and mentored numerous professional calligraphy artists.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a Gungche calligraphy textbook written by Lee Mi-Kyeong (1982) was instrumental in expediting the nationwide propagation of this traditional Korean art. The recent advent of globalization in the 21st century has attracted a worldwid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us, the need for basic instruction textbooks of Hangeul calligraphy in foreign languages has also been widely recognized. Therefore, the English translation of Gotdeul’s original Hangeul Calligraphy textbook is the first step in an effort to meet such need. Though belated, I hope this book will be used by people around the world who cherish and enjoy the beauty of Hangeul. Traditionally, Hangeul has been written from top to bottom and right to left. Hanmun (Chinese script) has also been written in the same way for thousands of years. Top to bottom and right to left is the natural writing orientation in calligraphy as it follows the easy flow of brushstrokes. The original publication ‘Hangeul Calligraphy written by Gotdeul Lee Mi-Kyeong’ (1982) also adopted the same structure. Although this version chose to adopt left to right writing as default, illustrations and examples of calligraphic works from the original publication are kept as they are. Throughout this book, unique Hangeul words and concepts are introduced into English using the Revised Romanization of Korean, the current official system of spelling Korean into foreign languages (with a few exceptions due to conventions). To translate the original text, this book attempts to use common English words as much as possible. However, readers are advised to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and usage of a few words. First, the word ‘stroke’ is used to indicate a wide range of calligraphic brushwork. However, hoek, the Korean word for stroke, is also used interchangeably as it is the core word in the original textbook and represents the soul of Hangeul calligraphy in general. Also, hoek is often conveniently used to refer to a continuous stroke composed of more than one line(s) or point(s). For instance, the second hoek of the consonant ‘ㅁ’ is a single combined stroke of both the top horizontal and right vertical lines made in succession while the first and third hoeks are the left vertical and the bottom horizontal lines, respectively. Second, the word ‘line’ is used to describe horizontal and vertical strokes in consonants such as ‘ㄷ’, ‘ㄹ’, ‘ㅁ’, ‘ㅂ’, ‘ㅈ’, ‘ㅊ’, ‘ㅋ’, ‘ㅌ’, ‘ㅍ’ and ‘ㅎ’ as well as those in vowels such as ‘ㅡ’ and ‘ㅣ’. Occasionally, to indicate a line section of a multi-line stroke the word ‘segment’ is used. Third, the word 'point’ is used to indicate short strokes - as in the short horizontal strokes in vowels such as ‘ㅏ’ and ‘ㅕ’, the top short strokes in consonants such as ‘ㅊ’ and ‘ㅎ’, but also the short vertical strokes in vowels such as ‘ㅗ’ and ‘ㅛ’, and short diagonal strokes (at the right corner) in consonants such as ‘ㅅ’, ‘ㅈ’ and ‘ㅊ’. Fourth, the word ‘node’ refers to a configuration or joint between segments frequently created by pressing the brush tip during continuous writing, especially in the cursive form. The continuous writing of lines that make up a letter requires successive pauses and redirecting of the brush tip. These transition movements create pressed touches or accents, and these prominent stops become nodes. Fifth, when the brush tip first touches a given position on the paper, it is said to be ‘placed’, and when a now placed brush tip is subsequently used forcefully to give a stress, it is said to be ’pressed’. Each line may have a ‘starting end/head’, a middle, and a ‘terminal end’. When the brush tip is ‘lifted’, it almost invariably means that the brush tip is still touching the paper. When brush is finally removed off the page, it is said to be ‘released’. This book is intended for those who want to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Hangeul calligraphy. Those learning are advised to prepare meokmul,theAsianblackink,intherightconsistencybyfinelygrindingthesolidinkstickagainstthesurfaceofabyeoru, an inkstone. An adequately coated brush should be held with a relaxed hand while keeping an upright body posture, and placed perpendicular to the paper. Thus, unlike in painting, the use of a brush in calligraphy requires strict discipline and order. A horizontal line is written almost invariably from left to right, and vertical lines only from top to bottom. In this regard, the word ‘draw’ is not appropriate and so avoided to describe any calligraphic methods here. Finally, to help readers for whom literal translations of the original text may not be sufficient to articulate the author's instructions, additional explanations have been provided. Hopefully, these efforts will help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Hangeul calligraphy.
9791164082124

매일 5분, 악필 교정 손글씨 워크북: 글씨도 예뻐지고, 마음도 예뻐지는 좋은 글 따라쓰기 아기자기한 손글씨 ver

시멘토 교육연구소  | 시멘토
9,900원  | 20250501  | 9791164082124
〈매일 5분, 악필 교정 손글씨 워크북 : 글씨도 예뻐지고, 마음도 예뻐지는 좋은 글 따라쓰기 〉는 좋은 문장을 필사함으로써 예쁜 글씨를 손쉽게 익힐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워크북입니다. 〈매일 5분, 악필 교정 손글씨 워크북 : 글씨도 예뻐지고, 마음도 예뻐지는 좋은 글 따라쓰기 〉는 명언이나 좋은 글을 필사함으로써 우울증과 심리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필사를 하는 동안 글에 온전히 집중하여 일상의 산만함을 줄이고 내면의 평화를 찾는데 노력해 보세요. 〈매일 5분, 악필 교정 손글씨 워크북 : 글씨도 예뻐지고, 마음도 예뻐지는 좋은 글 따라쓰기 〉는 단어를 떠올리고 문장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어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지각 능력에 영향을 주어 두뇌 발달에 효과가 있습니다. 나의 자기 계발과 긍정적인 생각에 도움이 되는 책을 찾는 분들에게 강력 추천드립니다.
9791199485211

MINIATURE LIFE SEOUL

MPX갤러리, Tanaka Tatsuya  | 코드매니지먼트
63,000원  | 20250925  | 9791199485211
미니어처 라이프 서울의 주요 작품과 구성을 담아낸 한정판 도록입니다. 《MINIATURE LIFE SEOUL》 스페셜 에디션은 세계적인 미니어처 아티스트 타나카 타츠야가 2021년 서울에서 개최한 전시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록입니다. 작가는 2011년부터 현재까지, 일상의 사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변주하여 독창적인 미니어처 세계를 구축해오고 있습니다. 크로와상 구름과 브로콜리 숲, 당근으로 만든 비행기 등 작가가 만드는 미니어처 세상은 순수한 상상을 통해 일상을 즐겁게 하는 유머로 가득 차 있으며 작품의 제목과 함께 감상할 때 그 의미는 더욱 선명해집니다. 국내 최초로 선보인 본 전시는 #Workers, #Adventure, #Sports 등 아홉 개의 테마로 구성되었으며, 한국 관람객을 위해 제작된 미공개 신작과 실물 미니어처를 포함한 150여 점이 소개되었습니다. 본 도록은 전시의 주요 작품과 구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한정판 에디션입니다.
9791174170002

추사 명품집(하) (번역판)

김정희  | 한국학자료원
40,500원  | 20250616  | 9791174170002
📘 『추사 명품집 (번역판)』 조선의 천재, 김정희의 붓끝에서 피어난 글과 정신의 정수 “글씨를 넘어서 철학이 되다” 조선 후기 최고의 서예가이자 사상가, 김정희(추사). 그의 필묵은 단순한 조형미를 넘어, 조선 지성사의 정점이라 불릴 만큼 시대를 꿰뚫는 사유와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추사 명품집 (번역판)』은 김정희가 남긴 대표적인 금석문, 서간, 글씨, 문장 가운데 정수만을 엄선하여 현대어로 충실히 옮긴 번역본입니다. 이 책은 단순히 고전 서예를 감상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추사의 예서와 초서를 넘나드는 실험적 서풍, 그리고 진경문화의 한계를 넘어선 사유의 궤적까지. 그가 남긴 글 속에는 유배지의 고통과 자유로운 지성, 그리고 스승과 제자, 시대와의 치열한 문답이 녹아 있습니다.
9791166260575

왕수인(양명)행초서

배경석  | 이화문화출판사
12,600원  | 20250710  | 9791166260575
배경석의 『왕수인(양명)행초서』는 〈王守仁에 대하여〉, 〈解釋〉, 〈索引〉 등이 수록되어 있는 책이다.
9791163384908

피카소가 사랑한 아프리카 조각예술 길라잡이

박재현  | 더로드
43,200원  | 20250731  | 9791163384908
『피카소가 사랑한 아프리카 조각 예술 길라잡이』 "아프리카 조각, 현대미술의 숨겨진 원천을 만나다!" 아프리카 조각 예술이 현대미술의 비밀스런 뿌리였다는 사실을 아는가? 피카소, 마티스, 자코메티, 바스키아, 모딜리아니, 키스 해링 등 현대미술의 거장들은 아프리카 조각에서 영감을 얻어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러나 정작 아프리카인들은 이 위대한 문화유산의 가치를 모르고, 서구 예술가들은 이를 통해 전위미술의 혁명을 이루었다. 이 책은 아프리카 조각의 예술성과 철학, 조형미를 깊이 있게 탐색하며 현대 예술, 영화, 애니메이션 캐릭터까지 어떻게 그 영향을 받았는지를 흥미롭게 풀어낸다. 배트맨, 스타워즈, 베놈, 가오나시, 혹성탈출의 캐릭터들이 수 세기 전 아프리카 부족의 조각과 얼마나 닮아 있는지, 그 연결고리를 찾아가는 탐험은 인디아나 존스를 방불케 한다. 특히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이 아프리카 조각에서 비롯되었으며, 그가 직접 수집했던 가면과 조각이 입체주의의 출발점이 되었음을 밝힌다. 더불어, 아프리카의 가면과 조각에서 유래된 유럽 현대미술, 패션, 디자인의 근원을 추적하며 인공지능 시대에도 풀어내지 못할 신화적, 철학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저자는 세계 각국의 헌책방과 미술관, 박물관, 경매장, 아프리카 현지를 누비며 수집한 방대한 작품과 자료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조각 예술의 깊이를 소개한다. 책 속에는 아프리카 예술품의 경매가, 세계적 박물관 소개, 저자의 컬렉션과 함께 현대미술과의 긴밀한 관계가 생생하게 담겨 있다. 플리니우스 대제가 말한 "아프리카는 항상 새로운 것을 가져온다"는 속담처럼, 이 책은 미술사와 문화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안내서다. 예술가, 예술 애호가, 문화 연구자는 물론, 영화와 캐릭터 디자인, 인문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아프리카 조각에서 현대미술의 비밀이 열린다. 새로운 시각의 예술 안내서, 지금 만나보라!"
9791191049206

이서 필결 해석본

장익수  | 청명재
12,000원  | 20250810  | 9791191049206
조선 후기 진경시대를 대표하는 옥동 이서가 서예의 예술성을 논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예비평서이다. 본문 내용을 한문 음독과 함께 우리말로 번역하였으며, 일부 기초 한자를 제외한 중급 이상의 한자들은 매 편마다 훈독을 추가하여 한문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도 쉽게 본문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9791112058126

문중배 글자에 그림을 담다

문중배  | 부크크(bookk)
23,500원  | 20250913  | 9791112058126
글씨로 그림을 그려내려는 그간의 처절한 몸부림, 그게 가당키나 한 일인지? 지극히 단순하고 질박해서 때로는 동양화나 서양화보다 아름답게 느껴지는, 그래서 사람들이 감동하고 예찬하는 그런 작품, 거기에 한술 더 떠 여태까지의 모든 작품을 능가하는 걸작을 만들겠다는 오만과 자학, 오늘도 이런저런 잡다한 생각 속에 속절없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선을 그어본다. 그러나 문득, 어쩌면 내 생애 최고의 작품은 이미 만들었는지도 모르겠다는 비겁하고도 현실적인 깨달음. 그 끝을 알 수 없기에 도전하게 만들고, 모험하게 만들고, 빠져들게 만들고, 가슴 벅차게 만드는 이 작업 …… 남들이 가지 않은 길, 그 길을 그냥 뚜벅뚜벅 걸어가 보는 수밖에,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불어오는 바람결에 창밖에는 대 숲이 물결치듯 일렁인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