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관계어"(으)로 1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2542324

삼세 동거의 한자음 체계 (한자어 한자 관계어 연구)

정인갑  | 경진출판
13,500원  | 20230330  | 9791192542324
한자음 체계에 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리다 한자어를 통하여 중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다 이 책은 한국 학술계에서 a. 처음으로 한자음의 체계에 관하여 정확한 판단을 내렸고, b. 처음으로 한자어를 통하여 중국어를 쉽게 배우는 방법을 폭 넓게 제시하였으며, c. 한국어 고유어에 잠재해 있는 한자 관계어를 비교적 광범위하게 색출해낸 책이다. 한국 한자어의 입수 시기는 한자음이 처음 형성된 시기는 한사군(漢四郡)시대다. B.C.109년 한무제(漢武帝)는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한반도에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하고 식민통치를 하였다. 종주민족 과두통치자의 통치가 아니라 허다한 종주민족 인구가 한반도에 와서 살면서 한 통치였다. 그러므로 ‘조선-열수(洌水)’ 지역은 당시 중국의 10여 개 주요한 방언의 한 지역으로 될 정도였다. A.D.313년에 고구려가 낙랑군을 탈취할 때까지 우리민족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의 대부분은 422년간 중원 한족의 식민통치를 받았다. 그때 중국어가 우리민족의 언어에 끼친 영향은 아무리 과장해도 무리가 아닐 정도로 심각했을 것이다. 당송(唐宋) 때 중국에 내왕한 조선사절단이 제아무리 빈번했고, 중국에 파견된 한반도 유학생이 제아무리 많다고 하여도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정도는 422년간 한족의 식민통치를 받은 정도에 비할 수 없이 미약하다. 저자는 한사군 때가 바로 한자어를 임수하기 시작한 시기이며 그때 한자음의 계통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B.C.109년~A.D.313년의 중국어는 기본적으로 상고 한어이다. 그러면 그때 형성된 상고 한어의 한자음이 변함없이 지금까지 지탱해 왔는가? 그렇지 않다. 한국은 1443년 이전에는 문자가 없었으므로 한자어 음을 구이상전(口耳相傳: 선대가 입으로 말하면 후대가 귀로 듣고 전승하다)의 방법으로 전승하였으므로 한국어 한자음에 형식상 이런 구분이 없다. 그러면 사실상 한국어 한자음 안에는 이런 구분이 전혀 없는가? 그렇지 않다. 형식적으로는 구분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구분이 있다. 한자의 음이 상고, 중고, 근대를 경유하며 변할 때마다 한자어 음도 따라서 보완되기는 하였지만 변화가 큰 음은 한자음도 변경시켰고 변화가 크지 않은 음은 그대로 썼다. 이 책의 저자는 한자음을 심층 분석하여 한자음은 중고 한어의 음이 주축을 이루고 상고 한어의 음과 근대 한어의 음이 다소 포함되어 있는, 즉 한자음은 3세가 동거하는 어음체계임을 조리 있게 제시하였다. 형상적인 비유로 한자음은 한 사람이 신발은 2천 년~1,800년 전의 짚신을 신었고 몸에는 1,800년~1,000년 전의 두루마기를 입었고 눈에는 1,000년~400년 전의 안경을 낀 것과 같다고 하였다. 한국어에는 60% 정도의 한자어가 있다. 이 요소는 한국인이 현대 중국어를 배우는 데 도움이 있는가 없는가, 또한 도움이 있다면 어느 정도 있는가? 이 책 저자의 견해는 도움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며 도움이 많을 수도 있고 적을 수도 있다. 문제는 한자어 지식을 어느 정도 장악하는가에 있다. 중국에서는 해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HSK(중국어 수준 시험) 시험을 치른다. ‘한자어를 아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성적이 한자문화권 밖의 구미인보다 성적이 높은가’라는 질문에 대한 시험 조직자의 대답은 부정적이다. 이는 한자문화권의 한국인과 일본인이 한자어 지식을 현대 중국어 공부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한자어 지식을 현대 중국어 공부에 활용할 수 있는 비결을 8가지 제시하였다. 이는 40대 이상의 한국인이 현대 중국어를 배우는 데 큰 편리를 제공했다. 이 연령선의 사람이 중국어 단어를 100~200개 장악하는데 1~2개월이 걸려도 잘 안 되지만 이 책의 8가지 비결을 장악하면 1개월 내에 1,000개 이상의 단어를 쉽게 장악할 수 있다. 한자어는 한국어 한자어 체계 안에 있는 어휘여야 한자어라고 한다. 그러나 고유어에도 한자에서 유래한 어휘들이 있다. 한국어 고유어에는 상고 한어에서 유래한 한자 관계어가 적지 않다. 이전 학자들이 이 문제를 보아낸 사람이 간혹 있지만 전면적인 연구와 발굴을 아직 하지 못하였다. 이는 한어음운학에 대한 조예가 깊지 못하므로 초래된 약점이다. 이 책은 이런 단어를 꾀나 많이 색출해냈는데 한국 국어 발달사 연구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리라 본다.
검색어 "관계어"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