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교육사전"(으)로 324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84339149

일본어교육사전 (일본어교수법 언어습득)

일본어교육학회  | 보고사
0원  | 20110705  | 9788984339149
『일본어교육사전: 일본어교수법 언어습득』은 임용고사, JPT, JLPT 고득점을 위한 일본어교육 관련 필독서이다. 학습자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그리고 거기에 필요한 교육을 어떻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 대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구체적인 문제를 제시하여 그 문제에 임하는 시점과 사고 방법의 요점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9788940205747

기본 일본어 교육사전

시사일본어사 편집부, 이경수  | 시사일본어사
0원  | 20050331  | 9788940205747
임용고시 준비생, 중ㆍ고등학교 선생님, 대학 교수 및 강사님을 위한 . 일본어 교육의 경험이 없는 사람부터 현재 일본어 교육을 공부하고 있는 사람, 나아가 일본어 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까지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일본어 교육 용어 사전이다. 이 책에는 일본어학과 일본어교육에 관한 정보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최근의 일본어교육사정도 담겨 있다....
9788984339156

일본어교육사전: 일본어 문법교육(신판)

일본어교육학회  | 보고사
0원  | 20111215  | 9788984339156
일본어교육학회의 『신판 일본어교육사전 - 일본어 문법교육』. 일본어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일본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능력과 습득연구에 바탕을 둔 교수법 등을 갖추도록 구성한 일본어교육사전이다. 일본어 문법교육에 대해 다룬다. 일본어교육의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담고 있다.
9788984339187

일본어교육사전: 일본어의 운용 일본어와 일본사회(신판)

일본어교육학회  | 보고사
0원  | 20111215  | 9788984339187
일본어교육학회의 『신판 일본어교육사전 - 일본어의 운용 일본어와 일본사회』. 일본어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일본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능력과 습득연구에 바탕을 둔 교수법 등을 갖추도록 구성한 일본어교육사전이다. 일본어의 운용과 일본어와 일본사회에 대해 다룬다. 일본어교육의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담고 있다.
9788984339163

일본어교육사전 3: 일본어 음성 음운교육 일본어 문자 표기 교육

일본어교육학회  | 보고사
0원  | 20111230  | 9788984339163
『일본어교육사전』제3권<일본어 음성 음운교육 일본어 문자 표기 교육>. 일본어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일본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능력과 습득연구에 바탕을 둔 교수법 등을 갖추도록 구성한 일본어교육사전이다. 일본어의 음성·음운교육과 일본어 문자·표기교육에 대해 다룬다. 일본어교육의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담고 있다.
9788984339170

일본어교육사전 4: 일본어어휘 의미교육 일본어 교육 학습미디어

일본어교육학회  | 보고사
0원  | 20111230  | 9788984339170
『일본어교육사전』제4권< 일본어어휘 의미교육 일본어 교육 학습미디어>. 일본어교육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일본어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능력과 습득연구에 바탕을 둔 교수법 등을 갖추도록 구성한 일본어교육사전이다. 일본어의 어휘·의미교육과 일본어의 교육·학습미디어에 대해 다룬다. 일본어교육의 현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도 담고 있다.
9791167071934

문해력 교육 용어 사전 읽기편 (읽기편)

서혁, 정혜승, 김혜정, 윤준채, 조재윤  | 사회평론아카데미
26,100원  | 20250905  | 9791167071934
국내 문해력 담론에서 빈번히 혼용·오용되는 개념을 하나의 체계로 정리해, 연구와 수업 현장이 같은 언어로 소통하도록 돕는 전문 교육 용어 사전이다. 『읽기편』은 ‘문해력, 텍스트, 담화, 맥락’의 총론을 시작으로 ‘읽기 능력, 읽기 이론, 읽기 요소, 독해 수준, 읽기 기능, 읽기 전략, 읽기 종류, 읽기 교수학습, 한글깨치기, 읽기 평가’를 한 흐름으로 묶어, 용어의 정의뿐 아니라 교육적 적용과 한계, 관련 개념까지 함께 제시한다. 일반적 사전 색인 순서가 아닌, 개념의 유기적 연결 및 이론에서 현장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기준으로 표제어를 배치하였다.
9788993858396

속뜻풀이 초등국어사전(2025) (2021 대한민국 교육대상 수상 | 영어도 달려 있고, 한자도 한꺼번에)

전광진  | 속뜻사전교육출판사(LBH교육출판사)
45,780원  | 20250303  | 9788993858396
『초등 국어 사전』은 순우리말, 외래어, 한자어 등 초등학교 전 학년 전 과목에 필요한 초등학교 학습용 어휘 3만개가 수록되어 있으며 국어사전이면서도 한영, 한한, 한자자전 기능도 겸한다. 본 도서의 초중교과 속뜻학습으로 어휘력, 문해력 향상 등 고등교육의 기초를 다진다.
9788993858518

신사임당 사자성어 200 (한자학습 교재)

전광진  | 속뜻사전교육출판사
4,500원  | 20241111  | 9788993858518
“한글은 읽기를 잘하게 하고, 한자는 생각을 잘하게 한다. 생각이 깊은 사람이 세상을 이끌어 간다.” 체험학습 시간에 학교 인근 공원을 지나가다가 한 학생이 느닷없이 묻는다. “선생님! 공중화장실이 왜 ‘공중’이 아니라 ‘땅’에 있어요?” 이런 질문을 서슴없이 할 만큼 문해력이 땅에 떨어졌다. 공중(公衆)과 공중(空中)의 차이를 알자면, 한글만으로는 안 된다. 한자도 알아야 한다. 그래서 초등학교 때 기초 한자를 교육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자를 공교육에서 가르치지 않고, 사교육에만 의존하다 보니, 사교육비 부담을 우려하는 아우성도 만만치 않다. 이런 시점에서 단돈 오천 원만 투자하면 한자 교육을 할 수 있는 해결책이 나와서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신사임당 사자성어 200』(속뜻사전교육출판사, 11월 11일)이 출간되어 한자 교육에 있어서 신데렐라 같은 ‘꿈과 희망’을 안겨주고 있다. 작고(188x130mm) 얄팍한(156쪽) 책이지만, 예상외로 정가가 너무나 착하다. 왜 그렇게 싼지 그 이유를 출판사 측에 감히 물어보았다. 한자의 메카 성균관대학교의 명예교수인 저자(전광진, 69세)가 한자 교육 활성화로 학생들의 문해력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인세(10%)를 안 받겠다고 하는 바람에 종잇값과 인쇄비만으로 정가를 책정하다 보니 싸게 할 수 있었단다. 저자와 출판사의 헌신적 노력과 한자 교육 열의가 선생님과 학부모의 부담 경감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자 교육을, 돈이 없어 못 시키겠다는 말은 이제 쏙! 들어가게 됐다. 책 이름 앞에 ‘신사임당’이 들어간 까닭이 궁금하여 책을 펼쳐 보았더니, 저자의 머리말에서 답을 찾았다. “자녀 교육 성공을 소망하는 ‘현대판 신사임당’이 많습니다. 그분들의 교육 열망을 담았기에 감히 ‘신사임당’이란 네 글자를 이 책의 제목에 넣었습니다.”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초등 한자책이라면서 왜 ‘사자성어’를 표제로 삼았는지, 저자에게 물어보았다. “낱낱 한자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익히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네 글자로 짜인 단어, 즉 사자성어(四字成語)로 읽고 외우면 매우 효과적입니다. 천자문(千字文)이 250개의 사자성어로 구성된 것이 바로 그런 까닭입니다.” 그렇다면 천자문을 보면 되지, 왜 ‘사자성어 200’을 따로 만들었는지요? “천지현황(天地玄黃)은 예전의 사자성어입니다. 지금은 잘 쓰지 않지요. 그래서 ‘십중팔구(十中八九)’로 시작하는 이 책을 엮었습니다.” 그러면, 200×4는 800이니, 8백 개 한자를 익히게 되겠네요? 답이 예상 밖이었다. “겹치는 것이 있을 수 있으니, 자종(字種)의 수는 500자 정도입니다. 초등학교 때는 이 정도만 알면 충분합니다. 500자의 한자를 알면, 500 × 500 = 250,000이니, 최대 25만 개 한자어로 확장될 수 있는 기초를 닦은 셈입니다.” 크게 궁금한 점은 대충 풀려서, 이 책이 3대 특징이 있다기에 무엇인지 물어보았다. 첫째 다른 책에 없는 ‘속뜻 풀이’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다익선(多多益善)’이란 사자성어에 관하여 다른 책에는 ‘양적으로 많을수록 좋음’이라고 설명하고 있을 뿐인데, 이 책에서는 ‘많을 다, 더할 익, 좋을 선’이라는 속뜻 훈음에 아울러, ‘많으면[多] 많을수록[多] 더욱[益] 좋음[善]’이라는 속뜻 풀이가 징검다리같이 더 덧붙여 있다. 이렇게 속뜻, 즉 이유를 알면 학생들이 대단히 재미있게 공부한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속뜻 풀이가 이해력, 사고력, 어휘력, 문해력의 밑바탕이 된다고 한다. 둘째, 다른 책에 없는 ‘사자성어 짝짓기’(3종)가 부록으로 실려 있다는 것이다. 첫말 짝짓기(68개), 끝말 짝짓기(62개), 끝말잇기(50개)가 소개 되어 있어, 사자성어를 정말 수월하고 신바람 나게 외울 수 있다. 끝으로 셋째 특징은 “한자공부를 혼자서도 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이다. 한자 학습을 자율적으로 자기 주도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은, 초등 한자 교육에 새바람을 일으킬 조짐이 다분하다. 한자교육, 한자학습은 ‘어렵다’, ‘혼자서는 할 수 없다’ ‘선생님의 지도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지금까지 일반적인 견해였다. “낱낱 한자의 자형과 이론을 중심으로 생각하면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미 많이 사용하고 있는 낱말, 특히 사자성어를 중심으로 속뜻을 풀이하다 보면 혼자서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다.”라는 저자의 설명을 듣고 보니 새로운 희망이 생긴다. 한자 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초등한자 자율학습서라는 성격을 지닌 이 책이 작기는 하지만 대단히 큰 기대를 하게 한다. 내년부터 초등학교의 재량학습, 자율학습, 늘봄학습 등에 자투리 시간이 많아진다. 그때 한자 교육이 학교 단위, 학년 단위, 학급 단위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가정 학습에서도 한자 공부를 자기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준 『신사임당 사자성어』, 이 책으로 한자 교육과 한자 공부에 ‘새바람’이 일고, 학생들에게는 ‘신바람’을 불러일으킬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끝으로 저자의 지론을 소개해 본다. “한글은 읽기를 잘하게 하고, 한자는 생각을 잘하게 합니다. 생각이 깊은 사람이 세상을 이끌어 갑니다.”
9788999731297

교육평가 용어사전 (제2판)

한국교육평가학회  | 학지사
22,500원  | 20231231  | 9788999731297
『교육평가 용어사전』은 2004년 한국교육평가학회 20주년을 기념하며 학회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립하고 학술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 발간되었습니다. 용어사전의 초판 발간은 교육평가 관련 학술용어들의 체계화와 학문 간 용어 사용 및 의사소통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지난 20여 년 동안 평가, 측정, 연구, 통계 분야에서의 새로운 이론과 동향이 태동하였고 이를 통한 각 분야의 이론적 발전이 이루어 지고 있는 현실에서 용어사전의 개정판 발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물론, 우리 학회는 2004년 초판 발간 당시부터『교육평가 용어사전』의 완성도를 한층 더 높이고 학문적인 발전에 따른 학계의 동향을 반영하고자 정기적인 개정을 계획했지만 20년이 지난 이제야 이를 실행하게 되었습니다. 우리 학회가 지나온 20년의 변화를 반영하여 새로운 용어를 포함하고 학문적 소명을 다한 용어를 개정하고자 지난해 용어사전 개정 작업을 시작하였고, 2년 동안 매진하여 학회 창립 40주년을 맞아 개정판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20년은 그 이전의 20년에 비해 급격한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가 있었으며 새로운 이론과 용어들이 폭발적으로 생성되어 대폭적인 개정이 불가피했습니다. 이번 개정판은 평가, 측정, 연구, 통계의 네 영역으로 구분된 이전 용어사전의 기본 틀을 유지하되, 최근 동향을 반영하여 새로운 용어들을 대거 포함하고 기존 용어 중 학문적 소명을 다한 용어들은 과감히 폐기하였으며 보완이 필요한 용어들은 새로운 이론과 동향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였습니다. 이 용어사전 개정판이 우리 학회를 넘어 교육에 뿌리를 둔 모든 학계와 시·도교육청 및 학교의 교원들에게 평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교육 현장에 적합한 용어를 제대로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9791167259066

어린이집 원장 사전직무교육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제2판)

한유진, 김진욱, 박윤현, 강은희, 배진희  | 공동체
20,900원  | 20250425  | 9791167259066
이 책에는 직접 현장에서 보육교사, 상담사, 원장 등의 직무를 수행한 경험과 대학에서 (예비)보육교사, 상담사 및 원장을 대상으로 강의하고 연구한 내용이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9791193871171

어린이집 원장 사전직무교육

방은영, 마은희, 이유영, 정진옥, 김수영  | 지식터
18,000원  | 20240325  | 9791193871171
이 책은 어린이집 원장 자격 취득자의 자질과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건복지부 2024년 개정 보수교육과정 매뉴얼의 지침에 따라 17개 장으로 구성하였습니다.
9791170750758

어린이집 원장 사전직무교육

강정원, 김승옥, 김정원, 노성순, 배숙진  | 어가
20,900원  | 20240403  | 9791170750758
원장 역할수행에 필요한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원장으로서의 전문성을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과 지침이 제시되어 있다. 저자들의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신 보육 동향과 정책, 법률, 지침들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교과의 핵심 이론뿐 아니라 원장으로서 실무 능력을 기르는 데 필요한 다양한 사례를 소개하고, ‘Activity’를 통해 현장감을 한층 업그레이드하여 원장의 실무능력을 강화하고자 노력하였다.
9791167255570

어린이집 원장 사전직무교육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한유진, 김진욱, 박윤현, 강은희, 배진희  | 공동체
18,400원  | 20240215  | 9791167255570
어린이집 원장은 원내관리를 포함하여 교직원관리 및 교사가 영아를 잘 보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업무를 한다. 이렇듯 원장의 직무는 높은 전문성과 함께 다양한 업무에 막중한 책임이 요구된다. 최근의 매체 보도를 통해 어린이집에 대한 대중적인 우려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어린이집의 전반적인 운영을 위해 관리, 감독하는 원장의 직무수행능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원장의 직무수행능력은 어린이집의 보육 및 교육의 질과 직결되고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어린이집을 운영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원장 사전직무교육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어린이집 원장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원장 사전직무교육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이에 원장 사전직무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기준들이 존재하고 매뉴얼로 제시되어 있지만, 최신 이론과 실제를 기반으로 다양한 원장의 직무를 구체적이고 통합적으로 다루는 교육자료는 부족하다.
9791188568338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국립특수교육원  | 도서출판 하우
63,000원  | 20180831  | 9791188568338
특정 학문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 용어를 체계적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사전(事典)이 있다는 것은 그 분야의 학문이 뿌리내리고 정착하여 자생력이 충분함을 알려주는 하나의 지표입니다.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의 시작도 특수교육학이 학문적 자생력을 공고히 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출발하였습니다. 당시, 특수교육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명칭과 의미를 표준화하고 이해가 쉽고 명료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특수교육 현장과 학계의 공감대에서 출발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총 3년의 기간을 준비하여 초판본을 발행한 바 있습니다.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초판본이 처음 세상에 선보인 뒤, 특수교육 현장에서 오랫동안 꾸준한 사랑을 받아 왔습니다.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특수교육에 대한 궁금증을 사전 찾기를 통해 쉽게 해결하였고, 시대 흐름에 발맞추어 네이버(Naver) 인터넷 지식백과 사전에도 등록하여 특수교육학 용어를 현장에서 더 쉽고 빠르게 찾아볼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과 노력은 특수교육학이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하는 데 크게 이바지하였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용어사전이 발간된 지 벌써 9년이 지났고,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용어의 양적·질적 변화도 많았습니다. 이러한 시대상과 최근 용어 변화를 반영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라,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개정판을 2016년부터 준비하여 이번에 개정판 발행이란 큰 결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번 개정판에는 초판본에 수록한 1,138개 용어들을 재검토하여 개정하였고, 290개 신규 용어의 등재, 41개 용어의 삭제 등을 통해 전체 1,387개 용어를 수록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국립특수교육원은 특수교육학의 시대적 변화와 발전에 맞추어 용어의 수정·보완 작업을 지속해서 추진할 것입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