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생 필독서 한국 소설 수필 시 국어교과서 수록 작품 읽기 2
현진건, 이태준, 계용묵, 민태원, 이육사, 김영랑, 박용철, 변영로, 박인환, 오장환, 윤동주 | 부크크(bookk)
19,400원 | 20240109 | 9791141065539
한국 일제강점기 시절의 한국문학은 암울한 현실 속에서도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고,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었습니다.
<소설>은 크게 두 가지 경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민족주의 소설로, 일제강점기에 저항하고,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작품들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심훈의 상록수, 염상섭의 조선인, 현진건의 무녀도 등이 있습니다.
* 현실주의 소설로, 일제강점기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들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최서해의 만세전, 김동인의 감자, 이광수의 흙 등이 있습니다.
<수필>은 주로 향토 수필과 사상 수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향토 수필은 한국의 전통적인 풍경과 문화를 그리워하는 작품들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김동인의 산골의 추억, 이광수의 나의 고향,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이 있습니다.
* 사상 수필은 일제강점기의 현실을 비판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사상을 담은 작품들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최남선의 조선민족의 개조,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김동인의 서유기 등이 있습니다.
<시>는 주로 민족시와 향토 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민족시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고,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작품들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김소월의 진달래꽃, 김상용의 남으로 창을 내겠소, 노천명의 사슴 등이 있습니다.
* 향토 시는 한국의 전통적인 풍경과 문화를 그리워하는 작품들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김소월의 산촌, 노천명의 나의 고향, 이육사의 청포도 등이 있습니다.
한국 문학사(韓國文學史) 또는 국문학사(國文學史)로 우리 문학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변화, 발전해 온 역사, 그것에 관한 학문을 토대로 ‘서울대ㆍ연세대ㆍ고려대 작품 선정’ 필독서 다수 포함하였습니다.
이처럼, 한국문학은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 속에서도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고,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한국 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머리말
[한국 소설]
<현진건> 작품
B사감과 러브레터
고향
운수 좋은 날
술 권하는 사회
빈처
할머니의 죽음
<이태준> 작품
복덕방
달밤
돌다리
꽃나무는 심어 놓고
<계용묵> 작품
백치 아다다
[한국 수필]
<민태원> 작품
청춘예찬
<이육사> 작품
계절의 오행
<계용묵> 작품
율정기
[한국 시]
<김영랑> 작품
가늘한 내음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내 마음을 아실 이
독을 차고
돌담에 속색이는 햇발
두견
모란이 피기까지는
북
오월에
<박용철> 작품
떠나가는 배
싸늘한 이마
<변영로> 작품
논개
봄비
<박인환> 작품
목마와 숙녀
세월이 가면
<오장환> 작품
고향 앞에서
나 사는 곳
여수(旅愁)
<윤동주> 작품
간(肝)
또 다른 고향
별 헤는 밤
서시(序詩)
쉽게 쓰여진 시
십자가
아우의 인상화(印像畵)
자화상
참회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