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국제안보"(으)로 11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5032692

신뢰와 국제안보

김종욱, 김현승, 나태종, 문지환, 신진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2,500원  | 20240201  | 9791165032692
국제정치, 외교안보, 군사학 연구자들의 필독서! 이 책은 충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신진 교수와 대학원 정치외교학ㆍ군사학 전공 연구자들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한 학술논문을 수정 보완 및 증보하여 발간한 국제안보ㆍ국제정치ㆍ국가안보ㆍ군사정책 분야의 전문서적이다. 정부부처 및 군사분야에서 핵심 직책을 수행하고 있는 저자들의 다양한 경험과 현상에 대한 냉철한 분석, 그리고 맞춤형 대안이 제시되어 있다. 국제정치, 외교안보, 군사학 전공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9791161930220

국제안보의 이해 (이론과 실제)

Peter Hough, 앤드루 모란  | 명인문화사
23,300원  | 20191130  | 9791161930220
안보는 국가의 생존과 관련된 중요한 것이며, 단순한 개념이 아니라 국제정치 역학 속에서 그 개념과 예측이 변화한다. 이처럼 ‘국제안보’를 하나의 종속된 틀이 아닌 다양한 개념과 이론, 사례들을 제시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책이다. 이 책은 전통적 안보이론과 새로이 등장하는 다양한 안보이론을 다루는 동시에 분쟁, 정보(intelligence), 핵확산과 같은 군사안보와 인도주의적 개입, 범죄, 식량안보, 보건안보, 환경안보과 같은 비군사안보, UN과 NATO와 같은 제도와 안보 분야까지 오늘날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안보 분야를 다각도로 설명하고 있다. 또한, 미국, 중국, 중동, 러시아, 아프리카, 북극, 이스라엘-파키스탄, 유럽 및 라틴 아메리카, 한국과 북한문제까지 안보 영역에서 다양한 사례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의 특징 ㆍ 안보의 전통적인 개념인 군사안보 이슈뿐만 아니라 비군사적 안보 이슈까지 폭넓게 설명 · 안보의 개념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다수의 사례들을 포함 · 각 장별로 개념과 이론, 군사안보, 비군사안보, 국제기구와 안보, 사례연구 부분으로 나누어 글상자, 요점정리, 추천도서 등을 제시 시시각각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안보는 더이상 협소한 정의로 설명할 수 없고, 포괄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전쟁과 평화에 대한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9791167070975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신범식, 전재성, 김한권, 서동주, 이정환  | 사회평론아카데미
25,800원  | 20230215  | 9791167070975
지금 우리는 새로운 안보적 도전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지난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과 지속적인 탄도미사일 개발은 한반도에 긴장과 분쟁의 위험을 고조시키고 있다. 게다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반도의 안보환경은 더욱 불확실하고 불안정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한반도의 안보 조건을 검토하고, 그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유의점들이 무엇인지 새롭게 검토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안보 및 국방의 논리를 넘어 경제안보 논리가 제기하는 산업과 기술이 국방과 연결되는 고리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복합안보센터는 국제 안보환경 변동이 한반도에 제기하는 도전 및 한국의 대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그 연구 성과를 책으로 내놓게 되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주요 질문들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다. ○ 동북아 주요국들은 근래 급변하고 있는 국제정세의 변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그에 따른 대응 전략의 변화는 어떠하며 향후 전망은 어떻게 될 것인가? ○ 그러한 국제정세 인식은 각국의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 평가와 대한반도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전망은 어떠한가? ○ 안보 및 국방 환경의 변화와 강대국 전략의 충돌이 동북아시아 지역안보에 대해 제기하는 중요한 도전은 무엇인가? 한반도를 둘러싸고 증대하는 위협 요인은 무엇이며, 한반도 주변 세력분포 변동의 전망은 어떠한가? ○ 전통안보 및 신흥안보 차원에서 한국은 어떤 불안정의 요인에 노출되어 있는가? 이러한 불안정성은 어떤 대응 전략과 군사적 대비태세를 요청하는가? ○ 심화되는 기술표준경쟁은 한국의 안보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한국에게 어떤 전략적 대응을 요구하는가? 미래전과 관련한 기술적 안보환경은 한국의 항공·우주산업의 과거, 현재, 미래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책의 주요 내용 한국이 직면하고 있는 국제적 및 지역적 안보환경에 대해 진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기획된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한국 주변국들의 안보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전략의 방향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의 안보인식과 정책을 살피고, 2부에서는 이런 주변국들의 안보 관련 인식과 정책에 대하여 한국은 어떤 대응을 준비할 필요가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 있다. 1부의 첫 주제인 2장 “미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에서 전재성은 미국이 중국의 위협으로 인한 미국 이익의 침해를 가장 중요한 국가안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미국의 인식은 그간의 미중 무역 불균형, 코로나사태로 명확해진 공급망 취약성, 우크라이나 사태로 더욱 명확해진 중러 간 전략적 협력, 더 나아가 민주주의 연대에 대항하는 권위주의 연대의 형성 등에 주목하는 정책적 판단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외에도 국내, 국제 문제와 더불어 초국가적 문제 또한 중요한 위협으로 미국이 계속 인식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3장 “중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에서 김한권은 중국의 안보인식과 정책을 검토하였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리더 국가이자 ‘책임대국’으로서 미국과 대등하게 국제규범과 질서를 논의하고, 내부적으로는 타이완과의 통일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필자는 분석하고 있다. 한편 중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에 대한 한반도의 전략적 가치는 상승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애국·민족주의와 사상교육 강화 및 미중 전략적 경쟁의 심화는 한국과 다양한 영역에서 도전요인의 지속적인 발생이 전망되는 만큼, 한국의 정교한 대응이 요청된다는 필자의 제언은 충분히 숙고되어야 할 것이다. 4장 “러시아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에서 서동주는 “국제정세 변동과 안보환경, 한반도 그리고 항공우주산업의 미래”와 연계해 러시아의 국제정세와 대내외 위협인식 그리고 이에 대한 대응을 탐구하였다. 필자는 한국이 유라시아 전략 공간 재편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에 대해 좀더 주의를 기울이고,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군사안보환경 변화에의 조응 및 미래전에 대한 대비 등의 정책 시사점에 주목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의 부정적 파급영향을 제어하는 등 새로운 도전적 외교 과제를 극복해 나갈 것을 주문하고 있다. 5장 “일본 국방정책의 변화와 우주 정책의 안보화”에서 이정환은 2010년 이후 일본이 ‘적극적 평화주의’ 슬로건 하에서 보통군사국가화를 지향하는 국방정책을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일본 국방정책의 변화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그리고 무엇보다 중국의 부상과 연계된 안보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밀접한 상관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냉전기 일본 위협인식의 제약성과는 달리, 탈냉전기에 북한 핵미사일 개발은 일본에 안보 위협인식을 크게 제고시켰고, 국방정책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의 부상이 야기한 일본의 위협인식은 2010년과 2012년 동중국해의 영토분쟁을 계기로 강화되어, 국방정책 변화에 결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필자는 분석하였다. 6장 “북한의 대외 인식과 전략: 김정은의 ‘정면돌파’”에서 박원곤은 북한의 안보인식 변화와 정책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8년 잠시 경험했던 한반도 평화에 대한 기대는 2019년 2월 하노이 정상회담이 결렬되고 그해 말 북한이 ‘정면돌파’를 선포하면서 다시금 대결 국면으로 전환하였다. 그 결과 2022년 6월 현재 북한은 미국과 대결을 고도화하는 양상을 표출한다. 특히 공세적 핵전략, 이중기준 등을 연이어 선포하면서 타협을 위한 공간보다는 일방적 수용을 강압하는 전략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7장 “동북아지역 관련 주변 4강의 전략의 충돌과 한반도 군사안보”에서 부형욱은 이런 한반도 주변 주요국들의 전략이 구성하는 한반도를 둘러싼 갈등적 구조에 집중해 그에 대한 한국의 군사안보 전략의 중요한 요건을 도출하고 있다. 부형욱은 이 같은 안보적 도전 하에서 한국 정부에게는 이러한 안보 상황을 역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과거 냉전기 한반도에서 전면전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처럼 신냉전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군사적 분쟁은 억제하고, 적대적 관계 하에서도 안정을 이룰 수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남북한 간 군비경쟁을 적정 수준에서 잘 관리할 필요가 있다. 남북은 협상을 통해 전쟁 가능성을 한반도에서 낮추고 군사적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 그래야 파괴적인 전쟁과 군비경쟁의 질주를 막을 수 있다. 지금은 적대적 공존이라도 추구해야 하는 엄중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8장 “공격방어균형으로 본 미러 전략무기 경쟁과 한국”에서 조동준은 한반도를 둘러싼 핵 균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핵억지의 지형을 파악하려 한다. 필자는 2022년 현재 세계적으로 전략균형은 어떤 상태에 있는가, 왜 미국과 러시아는 핵 통제에서 벗어나려는 징후를 보이는가, 왜 중국은 핵전략을 강화하려고 하는가라는 세 질문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 있다. 9장 “전통안보 차원에서 본 한국의 군사안보적 대응과 전망”에서 장기영은 ‘전쟁거래이론(bargaining theory of war)’에서 ‘거래결렬(bargaining failure)’의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간주하는 정보 문제(information problem), 약속이행 문제(commitment problem), 이슈 불가분성 문제(issue indivisibility problem)를 중심으로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완화할 수 있는 군사안보적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10장 “복합안보위기 시대 포스트 베스트팔렌 체제 가능성의 모색”에서 조은정은 신흥안보의 도전과 관련하여 한국의 항공우주산업이 지닌 산업적·안보적 함의를 추적하였다. 항공우주산업이 신흥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필자는 전통 안보 위협과 비전통 안보 위협의 경계가 혼재된 복합안보 위협 시대에 안보 위협 성격 변화에 따라 대응 주체, 대응 자원,대응 방법에서 혁신이 요구되며, 그 혁신을 우주항공산업이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9788992803281

국제안보 쟁점과 해결 (쟁점과 해결)

Patrick M. Morgan  | 명인문화사
19,800원  | 20110208  | 9788992803281
국제안보에 관한 다양한 이론과 접근방안을 폭넓게 소개하고 있다. 책의 저자는 국제안보의 실현을 위해 그동안 인류가 생각하고 실천해온 다양한 전략과 방안을 전쟁 및 국제분쟁에 초점을 두고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전쟁방지와 분쟁해소를 위한 다양한 전략과 방안을 거의 총망라하여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 안보연구의 최신 경향을 적극반영하여, 국가 간의 국제전쟁뿐 아니라 최근 그 심각성이 더욱 우려되고 있는 국내분쟁 및 내전의 방지와 분쟁해소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하고 있다.
9788997046607

출구가 없다 (북한과 핵무기 국제 안보)

조나단 폴락  | 아산정책연구원
0원  | 20121210  | 9788997046607
북핵문제 전문가인 저자 조나단 폴락은 이 책을 통해, 북한의 정치적 격변, 소련의 붕괴, 중국의 부상 등의 맥락에서 북한 정권의 핵무기 개발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리고 북한 체제의 성격이 어떤 사건과 사상을 통하여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미국을 비롯한 주변 강대국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한다. 그는 이 책을 쓰기 위해 근 10년에 걸친 시간을 자료조사 및 집필에 집중했으며, 북한 방문을 통해 북한 지도부와도 면담하는 등 보다 정확한 북한핵개발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노력했다. 그런 노력의 산물이 바로 이 책 이다.
9788946054325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제안보 (세종연구소 세종정책총서 2012-3, 이슈와 행위자)

정은숙  | 한울아카데미
17,000원  | 20120315  | 9788946054325
글로벌 거버넌스 차원에서 국제안보의 이슈와 행위자를 다루고 있다. 이제 국경과 영토단위의 전통적인 군사안보 개념만으로는 글로벌 안보에 대한 도전과 위협을 다루기가 어렵게 되었다. 글로벌 평화와 분쟁, 테러리즘,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등 좀 더 포괄적이고 좀 더 상호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국제안보를 꾀해야 하는 것이다. 이 책은 국제안보에 초점을 두고 이슈와 행위자 측면에서 글로벌 거버넌스를 논한다. 제1부는 총론으로서 글로벌 거버넌스를 다룬 뒤, 제2부부터 마지막 제5부까지는 글로벌 분쟁 거버넌스, 글로벌 테러리즘 거버넌스, 글로벌 핵무기 거버넌스, 강대국 역학과 지역안보 거버넌스의 차원으로 구분해, 국제안보에 초점을 두고 이슈와 행위자 측면에서 글로벌 거버넌스를 다루었다.
9788946045279

안보란 무엇인가 (반양장) (21세기 국제안보 그리고 한반도)

김병남  | 한울아카데미
11,700원  | 20111216  | 9788946045279
탈냉전 시대, 새롭게 이해하는 안보의 의미 우리는 정치적·군사적 위협은 물론 경제·사회·문화 그리고 테러와 마약·해적 등의 조직범죄, 환경보건에 이르기까지 한 국가나 몇몇 국가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초국가적인 위협에 포위된 안보환경에 놓여 있다. 현재 지구촌에서는 빈곤·기아·차별·학대·박해 등으로 인간안보가 위협받는 경우가 허다한 실정이며, 내전이나 전쟁은 이러한 위협을 더욱 부채질한다. 그뿐만 아니라 신종플루나 방사능비에 노출되거나 테러와 국제범죄의 대상이 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크다. 이 책은 냉전 시기에 권력이나 힘과 같은 의미로 간주되고, 특히 정치가들이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용하려고 했으며, 이에 따라 올바른 의미가 밝혀지지 않고 모호하게 유지되어온 ‘안보’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국제관계의 이해를 도모한다.
9788946053915

안보란 무엇인가 (양장) (21세기 국제안보 그리고 한반도)

김병남  | 한울아카데미
18,000원  | 20111216  | 9788946053915
우리는 정치적·군사적 위협은 물론 경제·사회·문화 그리고 테러와 마약·해적 등의 조직범죄, 환경보건에 이르기까지 한 국가나 몇몇 국가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초국가적인 위협에 포위된 안보환경에 놓여 있다. 현재 지구촌에서는 빈곤·기아·차별·학대·박해 등으로 인간안보가 위협받는 경우가 허다한 실정이며, 내전이나 전쟁은 이러한 위협을 더욱 부채질한다. 그뿐만 아니라 신종플루나 방사능비에 노출되거나 테러와 국제범죄의 대상이 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크다. 이 책은 냉전 시기에 권력이나 힘과 같은 의미로 간주되고, 특히 정치가들이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용하려고 했으며, 이에 따라 올바른 의미가 밝혀지지 않고 모호하게 유지되어온 ‘안보’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국제관계의 이해를 도모한다.
9788964354964

21세기 국제안보의 도전과 과제

박영준, 인남식, 고봉준, 이동선  | 사회평론
25,000원  | 20111130  | 9788964354964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가 기획·발간한 연구총서 3권. 안보문제와 국제정치이론 등의 분야에서 정력적인 연구를 수행중인 학자 8명이 참여했다. 21세기 국제질서와 안보문제의 새로운 국면들을 검토함으로써 앞으로의 국제안보환경이 어떻게 변화해갈 것인지 조망해보고 있다. 이 책은 크게 두 파트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21세기 국제질서에 새롭게 대두되는 위협요인과 쟁점들을 다루고 있다. 제2부에서는 이러한 국제안보위협요인들과 쟁점에 대해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그리고 나토 등이 어떠한 전략 방침하에 대응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9788946050518

국제안보 환경변화와 한미동맹 재조정 (양장) (세종연구소 세종정책총서 2008-3호)

이대우  | 한울아카데미
24,500원  | 20080811  | 9788946050518
세종연구소 세종정책총서 2008-3호. 국제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의 안보정책 변화, 이에 따른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 변화, 그리고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안보정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1990년대 초 소련 체제 붕괴 이후 국제안보환경의 변화, 미국 주도의 국제정세가 안정적으로 되어가는 사실에 기초하고, 미국의 해외 주둔군 재배치 문제에 주한미군 감축이 어떻게 포함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이어서 1990년대 이후 한미관계관의 변화를 살펴본 후, 한미동맹 강화 및 한국의 ‘자주국방’ 추진에의 전망을 알아본다.
9788946041660

국제안보 환경변화와 한미동맹 재조정 (반양장) (2008-3호)

이대우  | 한울아카데미
16,650원  | 20090930  | 9788946041660
국제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의 안보정책 변화, 이에 따른 미국의 대아시아 정책 변화, 그리고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안보정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2000년 6월 남북 정상회담 이후 전통적인 한미관계에 균열이 일어나기 시작했으며 참여정부에서는 미국에 불필요한 한국은 더 얻어낼 수 있는 실이익을 획득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주한미군 감축 등으로 인하여 앞으로 한미동맹이 어떻게 변화해갈 것이며 한국의 국방은 어떻게 강화해야 하는지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중요한 화두 중 하나가 되었다. 이에 이 책에서는 1990년대 초 소련 체제 붕괴 이후 국제안보환경의 변화, 미국 주도의 국제정세가 안정적으로 되어가는 사실에 기초하고, 미국의 해외 주둔군 재배치 문제에 주한미군 감축이 어떻게 포함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이어서 1990년대 이후 한미관계관의 변화를 살펴본 후, 한미동맹 강화 및 한국의 ‘자주국방’ 추진에의 전망을 알아보고 있다.
9788946075443

우주안보의 국제정치학 (복합지정학의 시각)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김상배, 차정미, 윤대엽, 알리나 쉬만스카  | 한울아카데미
34,200원  | 20241031  | 9788946075443
우주지정학의 변환, 뉴스페이스의 부상, 우주신흥안보의 창발, 세 가지 차원에서 우주안보의 국제정치학적 논제들을 짚어보다 이 책은 최근 전개되고 있는 우주경쟁의 복합지정학을 ‘우주안보’ 개념에 초점을 두어 살펴본다. 복합지정학의 시각에서 본 우주안보는 전통적인 의미의 군사안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냉전 시대의 우주안보가 과학기술의 관점과 군사안보의 관점이 직접 연계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면, 뉴스페이스의 부상을 거론하는 오늘날에는 기술 변수나 전쟁 변수 이외에도 경제, 산업, 데이터, 사이버, 환경, 외교, 동맹, 규범 등과 같은 다양한 이슈들이 연계되며 우주 관련 위협을 제기하고 있다. 미시적 안전의 문제가 양적으로 늘어나고 다양한 이슈들과 연계되며 집단보안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좀 더 거시적인 차원에서 국가안보의 문제로 창발(emergence)하는 ‘신흥안보(emerging security)’의 전형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책은 우주지정학의 변환과 뉴스페이스의 부상, 우주신흥안보의 창발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우주안보의 국제정치학적 논제들을 짚어본다.
9791167071538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기본 개념의 탐구)

김상배, 윤민우, 이중구, 손한별, 오일석  | 사회평론아카데미
29,700원  | 20240529  | 9791167071538
〇 사이버 안보는 국제정치 전반의 이슈로 확장중 〇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살펴보아야 할 사이버 안보 관련 12개의 논제를 검토 사이버 안보는 이제 명실상부하게 국제정치학의 독자적인 일 분야로 자리 잡았다. 사이버 안보 이슈가 국제정치의 다양한 이슈와 접맥되면서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적 논제들을 탐구하는 개념적·실천적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사이버 안보와 관련된 이슈들은 과거 전통안보를 이해하는 개념적 분석틀로는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위협이다. 특히 최근 발생하는 사이버 공격은 일상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기술, 경제, 사회, 문화의 문제인 것 같지만, 어느 순간엔가 양질전화와 복잡한 이슈연계의 과정을 거쳐서 지정학적 논제로 창발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이버 안보는 좁은 의미의 사이버 안보를 넘어서 국제정치 전반의 이슈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책은 국제정치학의 시각에서 살펴보아야 할 사이버 안보 관련 12개의 논제를 검토하여 향후 연구와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서 기획·집필되었다.
9788975994098

국제정치와 안보

신진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3,160원  | 20110920  | 9788975994098
『국제정치와 안보』는 국제정치와 한국의 안보 확보전략을 분석한 책이다.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한의 2차 핵실험과 미국의 정책변화, 북한 핵과 동북아 안보협력균열, 천암함사태 이후 동맹체제 대립과 안보 등에 대해 다루었다.
9788918031583

정치학이해의 길잡이 (국제정치와 안보)

한국정치학회  | 법문사
0원  | 20080315  | 9788918031583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