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대방광불화엄경 담앤북스"(으)로 219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2019535

대방광불화엄경 61: 입법계품(2) (독송본 한문 · 한글역)

수미해주  | 담앤북스
13,500원  | 20251024  | 9791162019535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61권 39. 입법계품(入法界品) [2]가 발간되었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 책 소개 『화엄경』 제61권에는 39. 입법계품(入法界品) [2]가 수록되었다. 입법계품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마지막 품으로 총 21권으로 이루어진 화엄경 39품 중 가장 방대한 품이다. 이 중 한 권 반은 근본법회(根本法會)이고 나머지는 지말법회(枝末法會)로 구성되었는데 근본법회는 법계에 들어간 상태에서의 결과적인 내용을 밝혔고, 지말법회는 법계에 들어가는 과정으로서의 원인을 밝힌 것으로 근본법회가 전체적인 내용이라면 지말법회는 개별적인 내용이다. 선재동자가 53명의 선지식을 차례로 찾아다니며 보살행을 배우고 부처의 법계에 들어가는 구도 과정을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는데 총 110개의 성을 여행하며 53명의 선지식을 만나 각각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 등 단계별 수행법을 배우는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흥미진진한 품이다. 입법계품(入法界品) [2] 는 입법계품 [1] 에 이어 근본법회가 이어진다. 먼저 보현보살이 열 가지 법의 글귀로 삼매를 설하고 이를 게송으로 다시 설하자 부처님께서 여래의 사자 기운을 뻗는 광대한 삼매에 머물하게 하려고 미간의 백호상으로부터 큰 광명을 놓아 모든 부처님 국토를 두루 비추었다. 이어 문수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시방을 관찰하고 서다림의 일을 거듭 펴려고 게송으로 찬탄하였다. 이것으로 근본법회는 끝이 나고 지말법회로 이어지는데 드디어 선재동자가 53 선지식을 찾아 남쪽으로 구법 여행을 시작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여행을 시작하며 첫 번째로 만난 선지식은 바로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이다. 문수사리동자가 여러 도반들과 남쪽으로 향하자 사리불존자가 육천 비구와 함께 문수보살을 따르고 이어 사리불존자가 문수보살의 공덕을 찬탄한다. 이어 비구들이 문수보살을 친견하자 문수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설하여 비구들에게 권하여 보현의 행에 머물게 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9791162015704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61: 입법계품(2) (39. 입법계품 [2] 入法界品 第三十九之二)

수미해주  | 담앤북스
9,000원  | 20251024  | 9791162015704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61권 39. 입법계품(入法界品) [2]가 발간됐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 책 소개 『화엄경』 제61권에는 39. 입법계품(入法界品) [2]가 수록되었다. 입법계품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마지막 품으로 총 21권으로 이루어진 화엄경 39품 중 가장 방대한 품이다. 이 중 한 권 반은 근본법회(根本法會)이고 나머지는 지말법회(枝末法會)로 구성되었는데 근본법회는 법계에 들어간 상태에서의 결과적인 내용을 밝혔고, 지말법회는 법계에 들어가는 과정으로서의 원인을 밝힌 것으로 근본법회가 전체적인 내용이라면 지말법회는 개별적인 내용이다. 선재동자가 53명의 선지식을 차례로 찾아다니며 보살행을 배우고 부처의 법계에 들어가는 구도 과정을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는데 총 110개의 성을 여행하며 53명의 선지식을 만나 각각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 등 단계별 수행법을 배우는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흥미진진한 품이다. 입법계품(入法界品) [2] 는 입법계품 [1] 에 이어 근본법회가 이어진다. 먼저 보현보살이 열 가지 법의 글귀로 삼매를 설하고 이를 게송으로 다시 설하자 부처님께서 여래의 사자 기운을 뻗는 광대한 삼매에 머물하게 하려고 미간의 백호상으로부터 큰 광명을 놓아 모든 부처님 국토를 두루 비추었다. 이어 문수보살이 부처님의 위신력을 받들어 시방을 관찰하고 서다림의 일을 거듭 펴려고 게송으로 찬탄하였다. 이것으로 근본법회는 끝이 나고 지말법회로 이어지는데 드디어 선재동자가 53 선지식을 찾아 남쪽으로 구법 여행을 시작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 여행을 시작하며 첫 번째로 만난 선지식은 바로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이다. 문수사리동자가 여러 도반들과 남쪽으로 향하자 사리불존자가 육천 비구와 함께 문수보살을 따르고 이어 사리불존자가 문수보살의 공덕을 찬탄한다. 이어 비구들이 문수보살을 친견하자 문수보살이 열 가지 법을 설하여 비구들에게 권하여 보현의 행에 머물게 한다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9791162015575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60: 39 입법계품(1) (39. 입법계품 [1])

수미해주  | 담앤북스
9,000원  | 20250924  | 9791162015575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60권 39. 입법계품(入法界品) [1]이 발간됐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 제60권에는 39. 입법계품(入法界品) [1]이 수록되었다. 입법계품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마지막 품으로 총 21권으로 이루어진 화엄경 39품 중 가장 방대한 품이다. 이 중 한 권 반은 근본법회(根本法會)이고 나머지는 지말법회(枝末法會)로 구성되었는데 근본법회는 법계에 들어간 상태에서의 결과적인 내용을 밝혔고, 지말법회는 법계에 들어가는 과정으로서의 원인을 밝힌 것으로 근본법회가 전체적인 내용이라면 지말법회는 개별적인 내용이다. 선재동자가 53명의 선지식을 차례로 찾아다니며 보살행을 배우고 부처의 법계에 들어가는 구도 과정을 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는데 총 110개의 성을 여행하며 53명의 선지식을 만나 각각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 등 단계별 수행법을 배우는 비교적 이해하기 쉽고 흥미진진한 품이다. 입법계품(入法界品) [1] 은 근본법회로서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을 상수로 하는 오백 명의 대중들이 부처님께 법을 설할 것을 청하자, 부처님께서 모든 보살들의 마음에 생각한 바를 아시고 대비로 몸을 삼고, 대비로 문을 삼고, 대비로 머리를 삼고, 대비의 법으로 방편을 삼아 허공에 두루 충만하여 사자빈신삼매에 들어 일체 세간이 널리 모두 깨끗하게 장엄되었다. 그러자 새로운 대중들이 시방에서 모여들어 부처님의 덕을 칭송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9791162019122

독송본 한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60: 39 입법계품(1) (39. 입법계품 [1])

수미해주  | 담앤북스
13,500원  | 20250924  | 9791162019122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9791162019115

독송본 한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9: 38 이세간품(7) (38. 이세간품 [7])

수미해주  | 담앤북스
13,500원  | 20250824  | 9791162019115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9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7]이 발간되었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제59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7]이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80권 〈화엄경〉에서 여덟 번째 법회이자 보광명전에서 3차 법회인 ‘이세간품(離世間品)’의 마지막 설법이 제59권이다. 제59권에는 58권의 묘각위의 19문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묘각위의 세 번째부터 열 번째까지의 내용이 나오는데 먼저 보살이 태중에 머무는 열 가지 일, 보살은 대중에게 매우 미세한 내용이 있음, 보살이 처음 태어남, 보살이 집에 머묾, 보살이 출가를 보임, 보살이 도를 이룸, 여래가 법륜을 굴림, 불사를 짓고 나서 열 가지 뜻을 관찰하고 열반을 보임에 대해 답하는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어 이세간품을 마무리하면서 법문의 명칭을 말하고, 모두 이 법을 배우기를 권하였다. 이세간품을 설할 때에 부처님의 위신력과 이 법문의 법이 이와 같은 까닭으로, 시방의 한량없고 가없는 아승지 세계가 모두 크게 진동하며 큰 광명이 널리 비치는 상서(祥瑞)가 나타나났으며 그때에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다 보현보살 앞에 나타나서 칭찬하여 말씀하시기를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불자여, 이에 능히 이 모든 보살마하살의 공덕행의 처소와 결정한 뜻의 꽃과 일체 부처님 법에 널리 들어감과 세간을 벗어나는 법문의 품을 말하였도다.”라며 이를 증명하셨다. 이어 다시 한번 보해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 답을 하는 내용을 게송으로 설하면서 스스로 수행과 부처님의 정법으로부터 다시 태어나고 한량없는 중생을 깨달음의 경지에 안주하게 하는 가르침을 설할 테니 잘 들으라고 당부하며 총 일곱 권에 달하는 방대한 이세간품 법문을 설해 마쳤다.
9791162015582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9: 38 이세간품(7) (38. 이세간품 [7])

수미해주  | 담앤북스
9,000원  | 20250824  | 9791162015582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9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7]이 발간됐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제59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7]이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80권 〈화엄경〉에서 여덟 번째 법회이자 보광명전에서 3차 법회인 ‘이세간품(離世間品)’의 마지막 설법이 제59권이다. 제59권에는 58권의 묘각위의 19문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묘각위의 세 번째부터 열 번째까지의 내용이 나오는데 먼저 보살이 태중에 머무는 열 가지 일, 보살은 대중에게 매우 미세한 내용이 있음, 보살이 처음 태어남, 보살이 집에 머묾, 보살이 출가를 보임, 보살이 도를 이룸, 여래가 법륜을 굴림, 불사를 짓고 나서 열 가지 뜻을 관찰하고 열반을 보임에 대해 답하는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어 이세간품을 마무리하면서 법문의 명칭을 말하고, 모두 이 법을 배우기를 권하였다. 이세간품을 설할 때에 부처님의 위신력과 이 법문의 법이 이와 같은 까닭으로, 시방의 한량없고 가없는 아승지 세계가 모두 크게 진동하며 큰 광명이 널리 비치는 상서(祥瑞)가 나타나났으며 그때에 시방의 모든 부처님께서 다 보현보살 앞에 나타나서 칭찬하여 말씀하시기를 “훌륭하고 훌륭하도다! 불자여, 이에 능히 이 모든 보살마하살의 공덕행의 처소와 결정한 뜻의 꽃과 일체 부처님 법에 널리 들어감과 세간을 벗어나는 법문의 품을 말하였도다.”라며 이를 증명하셨다. 이어 다시 한번 보해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 답을 하는 내용을 게송으로 설하면서 스스로 수행과 부처님의 정법으로부터 다시 태어나고 한량없는 중생을 깨달음의 경지에 안주하게 하는 가르침을 설할 테니 잘 들으라고 당부하며 총 일곱 권에 달하는 방대한 이세간품 법문을 설해 마쳤다.
9791162019092

독송본 한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8: 38 이세간품(6) (38. 이세간품 [6])

해주 옮김  | 담앤북스
13,500원  | 20250724  | 9791162019092
『화엄경』제58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6]이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8권에는 57권의 등각위의 32문 네 번째, 보살은 열 가지 사자후가 있다고 답하는 내용에 이어 다섯 번째부터 서른두 번째까지의 물음에 답하는 내용과 묘각위의 19문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등각위의 다섯 번째부터 서른두 번째까지의 물음에 답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보살은 열 가지의 청정한 보시, 청정한 계율, 청정한 참음, 청정한 정진, 청정한 선정, 청정한 지혜, 청정한 인자함, 청정한 가엾이 여김, 청정한 기쁨, 청정한 버림, 청정한 뜻, 청정한 법, 청정한 복덕의 도를 돕는 도구, 청정한 지혜의 도를 돕는 도구, 청정한 밝고 만족함, 청정한 법을 구함, 청정한 밝게 아는 법, 청정한 수행 법, 마, 청정한 마의 업, 청정한 마의 업을 버림, 청정한 부처님에 대해 봄, 청정한 부처님의 업, 청정한 교만한 업, 청정한 지혜의 업, 청정한 마에 붙들림, 청정한 부처님이 붙들어 주심을 얻음, 청정한 법에 붙들림이 있음에 대해 보혜보살이 묻고 보현보살이 각각 열 가지로 답했다. 위와 같이 등각위의 32문에 답하는 내용을 모두 설하여 마치고 이어 묘각위의 열아홉 가지 물음 중 첫째, 보살이 도솔천에 머물 때 짓는 열 가지의 업과 둘째, 보살이 도솔천에서 내려올 때 열 가지 일을 나타내는 내용을 설하여 마쳤다.
9791162015520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8권 (38. 이세간품 [6])

해주 옮김  | 담앤북스
9,000원  | 20250724  | 9791162015520
『화엄경』제58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6]이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8권에는 57권의 등각위의 32문 네 번째, 보살은 열 가지 사자후가 있다고 답하는 내용에 이어 다섯 번째부터 서른두 번째까지의 물음에 답하는 내용과 묘각위의 19문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등각위의 다섯 번째부터 서른두 번째까지의 물음에 답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보살은 열 가지의 청정한 보시, 청정한 계율, 청정한 참음, 청정한 정진, 청정한 선정, 청정한 지혜, 청정한 인자함, 청정한 가엾이 여김, 청정한 기쁨, 청정한 버림, 청정한 뜻, 청정한 법, 청정한 복덕의 도를 돕는 도구, 청정한 지혜의 도를 돕는 도구, 청정한 밝고 만족함, 청정한 법을 구함, 청정한 밝게 아는 법, 청정한 수행 법, 마, 청정한 마의 업, 청정한 마의 업을 버림, 청정한 부처님에 대해 봄, 청정한 부처님의 업, 청정한 교만한 업, 청정한 지혜의 업, 청정한 마에 붙들림, 청정한 부처님이 붙들어 주심을 얻음, 청정한 법에 붙들림이 있음에 대해 보혜보살이 묻고 보현보살이 각각 열 가지로 답했다. 위와 같이 등각위의 32문에 답하는 내용을 모두 설하여 마치고 이어 묘각위의 열아홉 가지 물음 중 첫째, 보살이 도솔천에 머물 때 짓는 열 가지의 업과 둘째, 보살이 도솔천에서 내려올 때 열 가지 일을 나타내는 내용을 설하여 마쳤다.
9791162019085

독송본 한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7: 38 이세간품(5) (38. 이세간품 [5])

수미해주  | 담앤북스
13,500원  | 20250624  | 9791162019085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제57권 38. 이세간품 [5] 離世閒品 第三十八之五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7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5]가 발간되었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제57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5]가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7권에는 보혜보살의 이백 가지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답하는 내용 중 십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보살의 열 가지 습기와 열 가지 취함, 열 가지 닦음, 열 가지 부처님 법을 성취함, 열 가지 부처님 법에서 물러남, 열 가지 생을 여의는 길, 열 가지 결정한 법, 열 가지 법을 출생하는 길, 열 가지 대장부의 명호, 열 가지의 도, 열 가지의 한량없는 도, 열 가지 한량없는 도를 닦음, 열 가지 장엄하는 도, 열 가지 발, 열 가지 손, 열 가지 배, 열 가지 장, 열 가지 마음, 열 가지 갑옷 입음, 열 가지 무기, 열 가지 머리, 열 가지 귀, 열 가지 코, 열 가지 혀, 열 가지 몸, 열 가지 뜻, 열 가지 행, 열 가지 머무름, 열 가지 앉음, 열 가지 누움, 열 가지 머무를 곳, 열 가지 행할 곳에 대해 각각 묻고 이에 대해 열 가지로 대답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이 십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을 모두 설해 마치고 이어 등각위의 32문에 답하는 내용으로 보살은 열 가지 관찰함이 있고, 열 가지 널리 관찰함이 있고, 열 가지 떨쳐 일어남이 있고, 열 가지 사자후가 있음을 자세하게 설했다.
9791162015506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7권 (38. 이세간품 [5])

수미해주  | 담앤북스
9,000원  | 20250624  | 9791162015506
화엄의 대해를 유영하는 수행자를 위한 신행의 길잡이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제57권 38. 이세간품 [5] 離世閒品 第三十八之五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7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5]가 발간됐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제57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5]가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7권에는 보혜보살의 이백 가지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답하는 내용 중 십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보살의 열 가지 습기와 열 가지 취함, 열 가지 닦음, 열 가지 부처님 법을 성취함, 열 가지 부처님 법에서 물러남, 열 가지 생을 여의는 길, 열 가지 결정한 법, 열 가지 법을 출생하는 길, 열 가지 대장부의 명호, 열 가지의 도, 열 가지의 한량없는 도, 열 가지 한량없는 도를 닦음, 열 가지 장엄하는 도, 열 가지 발, 열 가지 손, 열 가지 배, 열 가지 장, 열 가지 마음, 열 가지 갑옷 입음, 열 가지 무기, 열 가지 머리, 열 가지 귀, 열 가지 코, 열 가지 혀, 열 가지 몸, 열 가지 뜻, 열 가지 행, 열 가지 머무름, 열 가지 앉음, 열 가지 누움, 열 가지 머무를 곳, 열 가지 행할 곳에 대해 각각 묻고 이에 대해 열 가지로 대답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이 십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을 모두 설해 마치고 이어 등각위의 32문에 답하는 내용으로 보살은 열 가지 관찰함이 있고, 열 가지 널리 관찰함이 있고, 열 가지 떨쳐 일어남이 있고, 열 가지 사자후가 있음을 자세하게 설했다.
9791162019078

독송본 한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6: 38 이세간품(4) (38. 이세간품 [4])

수미해주  | 담앤북스
13,500원  | 20250524  | 9791162019078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6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4]가 발간되었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제56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4]가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6권에는 보혜보살의 이백 가지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답하는 내용 중 제55권의 십회향의 29가지 물음에 답하는 내용 중 등수순일체중생회향에 이어 진여상회향에 답하는 내용 열한 가지, 무박무착해탈회향에 답하는 내용 세 가지, 등법계무량회향에 답하는 내용 네 가지를 설했다. 이어 다섯 번째 십지(환희지, 이구지, 발광지, 염혜지, 난승지, 현전지, 원행지, 부동지, 선혜지, 법운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 중 환희지에 대해 답하는 내용 열 가지와 이구지에 대해 답하는 내용 여섯 가지를 설하고 있는데, 먼저 환희지에 대해 답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보살은 열 가지 몸의 업이 있고, 열 가지 몸이 있고, 열 가지 말이 있고, 열 가지 깨끗이 닦는 말의 업이 있고, 열 가지 수호함을 얻음이 있고, 열 가지 큰 일을 성취함이 있고, 열 가지 마음이 있고, 열 가지 마음을 냄이 있고, 열 가지 두루하는 마음이 있고, 열 가지 뿌리가 있음을 설하였다. 다음으로 이구지에 답하는 내용으로 열 가지 깊은 마음이 있고, 열 가지 올라가는 깊은 마음이 있고, 열 가지 부지런히 닦음이 있고, 열 가지 결정한 지혜가 있고, 열 가지 결정한 지혜로 모든 세계를 앎이 있고, 열 가지 결정한 지혜로 중생계를 안다고 설했다.
9791162015353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6 (38. 이세간품)

수미해주  | 담앤북스
9,000원  | 20250524  | 9791162015353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6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4]가 발간됐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제56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4]가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제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6권에는 보혜보살의 이백 가지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답하는 내용 중 제55권의 십회향의 29가지 물음에 답하는 내용 중 등수순일체중생회향에 이어 진여상회향에 답하는 내용 열한 가지, 무박무착해탈회향에 답하는 내용 세 가지, 등법계무량회향에 답하는 내용 네 가지를 설했다. 이어 다섯 번째 십지(환희지, 이구지, 발광지, 염혜지, 난승지, 현전지, 원행지, 부동지, 선혜지, 법운지)의 50문에 답하는 내용 중 환희지에 대해 답하는 내용 열 가지와 이구지에 대해 답하는 내용 여섯 가지를 설하고 있는데, 먼저 환희지에 대해 답하는 내용을 살펴보면, 보살은 열 가지 몸의 업이 있고, 열 가지 몸이 있고, 열 가지 말이 있고, 열 가지 깨끗이 닦는 말의 업이 있고, 열 가지 수호함을 얻음이 있고, 열 가지 큰 일을 성취함이 있고, 열 가지 마음이 있고, 열 가지 마음을 냄이 있고, 열 가지 두루하는 마음이 있고, 열 가지 뿌리가 있음을 설하였다. 다음으로 이구지에 답하는 내용으로 열 가지 깊은 마음이 있고, 열 가지 올라가는 깊은 마음이 있고, 열 가지 부지런히 닦음이 있고, 열 가지 결정한 지혜가 있고, 열 가지 결정한 지혜로 모든 세계를 앎이 있고, 열 가지 결정한 지혜로 중생계를 안다고 설했다.
9791162019061

독송본 한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5: 38 이세간품(3) (38. 이세간품 [3])

수미해주  | 담앤북스
13,500원  | 20250424  | 9791162019061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5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3]이 발간됐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9791162015322

사경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5: 38 이세간품(3) (38. 이세간품 [3])

수미해주  | 담앤북스
9,000원  | 20250424  | 9791162015322
『화엄경』제55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3]이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5권에는 54권의 세 번째 십행의 30문 중 진실행에 답하는 내용 열 가지 중 여섯째 ‘보살은 열 가지 같을 이 없는 머무름이 있다.’에 이어 일곱 번째 ‘보살은 열 가지 하열하지 않은 마음이 있다.’의 내용부터 네 번째 십회향의 29가지 물음에 답하는 내용이 이어진다. 십회향이란, 구호일체중생이중생상회향, 불괴회향, 등일체불회향, 지일체처회향, 무진공덕장회향, 수순견고일체선근회향, 등수순일체중생회향, 진여상회향, 무박무착해탈회향, 등법계무량회향을 말한다. 55권에서는 구호일체중생이중생상회향부터 등수순일체중생회향에 답하는 내용이 수록되었다. 보살은 보리에 열 가지 보배와 같이 머무름이 있고, 열 가지 금강과 같은 대승의 서원하는 마음을 내며, 열 가지 크게 일으킴이 있고, 열 가지 구경의 큰 일이 있으며, 열 가지 무너지지 않는 믿음이 있고, 열 가지 수기를 얻음이 있다. 또 열 가지 선근으로 회향함이 있으며, 열 가지 지혜를 얻음이 있고, 열 가지 한량없고 그지없는 광대한 마음을 내며, 열 가지 묻힌 갈무리가 있고, 열 가지 계율과 열 가지 자재함이 있음 등의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9791162019054

독송본 한문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54: 38 이세간품(2) (38. 이세간품 [2])

수미해주  | 담앤북스
13,500원  | 20250324  | 9791162019054
화엄학의 대가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해주 스님(서울 수미정사 주지)이 불자들의 신행을 돕기 위해 엮어낸 화엄경 수행서 『독송본 한문 · 한글역 대방광불화엄경』 제54권 38. 이세간품(離世閒品) [2]가 발간됐다. 수미정사 불전연구원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출·재가자가 함께 수행해 오던 독송 · 사경본을 더 많은 불자들과 일반 대중들에게도 소개하여 생사에 자재하고 해탈열반으로 이르는 화엄의 바다로 안내하기 위해 정식으로 출간했다. 해주 스님의 역경 불사는 각 권 순서대로 독송본과 사경본을 동시 제작 · 발간하며 80권 『화엄경』 전권을 출간할 예정이다. 『화엄경』제54권에는 38. 이세간품(離世閒品) [2]가 수록되었다. 이세간품(離世閒品)은 화엄경 7처 9회 39품 중 제8회 삼회보광명전법회로서 제53권부터 59권까지 총 7권에 달하는 비교적 방대한 품이다. 이세간(離世閒)이란 ‘세간을 떠났다’는 의미이지만, 부처를 이루어 세간을 완전히 떠난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처님으로 출현하여 세간과 출세간에 얽매이지 않는 경계를 보인다는 의미로서의 ‘이(離)’를 나타낸 것이다. 마갈제국 아란야 법 보리도량의 보광명전에서 설한 이 품은 십신, 십주, 십행, 십회향, 십지, 등각, 묘각의 법에 관해 보혜보살이 이백 가지 질문을 하고 그 하나하나의 질문에 보현보살이 이천 가지로 대답을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54권에는 53권의 내용 중 세 번째 십행의 30문에 답하는 내용에서 환희행에 답하는 내용 중 두 번째 ‘보살이 열 가지 크게 기쁘고 편안함이 있다’와 세 번째 보살이 열 가지 부처님 법에 들어감이 있다’는 내용을 마저 설하고 이어, 의지가 있어 보살이 이를 의지하여 보살행을 행함, 두려움 없는 마음을 냄, 일체 부처님 법에 마음이 의혹이 없음, 불가사의, 교묘하고 비밀한 말, 교묘하게 분별하는 지혜, 삼매에 들어감, 두루 들어감, 해탈문, 신통, 밝음, 해탈, 동산 숲, 궁전, 좋아함, 장엄, 움직이지 않는 마음, 버리지 않는 깊고 큰 마음, 지혜의 관찰, 법을 설함, 청정, 도장 찍음, 지혜 광명의 비춤, 같음이 없는 머무름이 있어 일체 중생과 성문과 독각이 모두 더불어 같을 이 없음 등에 대한 내용이 각각 열 가지의 문답으로 이어진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