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도시소멸"(으)로 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73181900

소멸시대의 지역활성화와 도시사랑법 (내발적 발전과 탐구적 도시 걷기가 답이다)

이도형  | 한국학술정보
21,600원  | 20250227  | 9791173181900
힘내자 지역, 사랑한다 도시! 지방대학에 몸 담고 있는 학자로서 날로 쇠퇴해가는 지방의 회생을 위해, 지역들 고유의 자산과 특장을 한껏 살려 공동체 정신으로 자생력을 키워나가는 ‘내발적 맞춤형 지역활성화’의 길을 안내하고 싶었다. 한편으론 신도시에 거주하는 생활인으로서 거주지에 대한 한 시민의 관심과 애정이 ‘탐구적 도시걷기’라는 도시사랑의 방법을 통해 도시발전의 작은 디딤돌로 연결됐으면 하는 작은 소망을 책에 담고 싶었다. 미약하나마 필자의 생각과 공부가 지방소멸의 우려가 크고 도시적 삶에 피로감을 느끼는 우리 지역들의 현실을 이해하고 타개해 나가는 데 있어 작으나마 밀알이 되었으면 한다.
9791169833936

지방도시 도시공감 (소멸과 재생의 갈림길, 위기의 지방도시 읽기)

김주일  | 한국학술정보
15,300원  | 20230531  | 9791169833936
지방도시의 회복과 재생을 위한 첫걸음, 공감 사람의 인생이 그렇다지만, 지역과 도시도 남들이 알 수 없는, 각자만의 답답하고 속상한 사정이 있다. 같은 나라라도 사는 도시에 따라 여건과 사람들의 생각도 너무나 달라지고 있다. 지역의 사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라는 바탕이 없이 그저 법조문과 계획도면만으로 제대로 된 정책을 만들 수 있을까? 이런 점에서 여기서 공감이란 표현은 단지 정서적인 의미만은 아닐 것이다. 정책적이고 실무적이며 학문적인 함의도 포함하는 것이다. 위기의 지방도시를 일거에 살려버리는 비법은 애초에 있을 리 없다. 중앙과 변방으로 나눠진 이분법의 골을 갑자기 메꿔 버릴 수 있는 묘수도 없다. 하지만 그 골을 넘어 이쪽과 저쪽을 오갈 수 있는 공감의 분위기가 있다면 지방도시의 그 어떤 위기라도 회복 가능한 범위를 넘어갈 수는 없을 것이다.
9791192151137

소멸 위기의 지방도시는 어떻게 명품도시가 되었나? (지역과 미래를 되살린 일본 마을의 변신 스토리)

전영수, 김혜숙, 조인숙, 김미숙, 이은정  | 라의눈
22,500원  | 20220520  | 9791192151137
대한민국은 전 세계에서 전례를 찾을 수 없을 정도의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로 달려가고 있다. 고령화 사회의 교과서격인 일본의 추세는 이미 가뿐히 제쳤다. 저출산 고령화와 수도권 집중이라는 두 축이 만들어낸 지방 소멸은 이제 되돌릴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지방 소멸 경고를 받은 지자체는 다수이고 이런 추세라면 오래지 않아 소멸지역 1호가 출현하는 것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지방 소멸 문제는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많은 방법을 강구했지만 효과는 적었다. 이제 그 방법 자체가 아니라 과정과 사정을 들여다봐야 할 때다. 우리에게 소중한 선행사례인 일본을 예로 들면, 지역 소멸의 만병통치약처럼 인용되는 ‘콤팩트시티’를 지향한 지역들이 정반대의 결과를 낳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책은 소멸 위기에서 부활한 일본의 명품도시 8곳을 선정해, 지역활성화의 씨앗이 어떻게 뿌려지고 어떤 노력으로 열매를 맺는지를 현장 중심, 인간 중심으로 탐색한다. 전 세계가 벤치마킹하는 명품도시의 생존전략을 통해 지역 소멸을 극복할 새로운 희망과 단초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9791163841166

소멸위기 지방도시의 지역 유형별 이동권 확보방안 연구 (기본 RR 19-4)

임서현  | 한국교통연구원
9,500원  | 20191130  | 9791163841166
▶ 이 책은 한국교통연구원의 소멸위기 지방도시의 지역 유형별 이동권 확보방안 연구를 다룬 정부간행물입니다.
9791139219975

지속 가능한 도시의 성공 전략 (인구 소멸과 지역 소멸의 해법 탐색)

이두현, 류주현  | 지식과감성
9,900원  | 20240726  | 9791139219975
대다수의 지방 중소 도시는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특히 생산 가능인구의 감소는 도시의 활력을 떨어뜨리고 도시의 미래를 예측할 수 없게 만들고 있습니다. 여기 우리가 궁금해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그 성공 모델 다섯 개가 있습니다. 대한민국 생태수도 ‘순천시’, 유네스코 공예 및 민속예술 창의도시 ‘이천시’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광주광역시’ 한국형 첨단산업 클러스터 ‘성남시’ 첨단산업 기반의 지방 도시 성공 모델 ‘아산시’ 많은 도시가 경제, 사회, 문화, 예술, 환경,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존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에 옮기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성공적인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지속 가능성이 높은 도시들을 모델로 선정해 이 도시들이 과연 어떤 도시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해 왔는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갔으며, 결과는 어떠했는지, 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더불어 도시가 가진 다양한 창조적 자원을 활용하여 도시 경제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고, 어떻게 변화시켜 나가고 있는지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도 함께 필요한 시점입니다.
9791192151557

인구소멸과 로컬리즘 (대한민국 지방도시를 살리는 전략과 아이디어)

전영수  | 라의눈
22,500원  | 20230512  | 9791192151557
★ 인구 충격을 혁신의 기회로 바꿀 새로운 로컬리즘 제안! ★ 대한민국은 지금 세계 그 어느 나라도 가 보지 못한 길을 가고 있다. 인구소멸의 정도와 속도는 가히 충격적이어서 낭떠러지로 폭주 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에게는 상식을 초월한 상상력과 고정관념을 깬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문제가 충격적이면 대응도 그에 준하는 깊이와 범위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생사의 기로에 선 대한민국 지방도시를 위한 다양한 전략과 아이디어로 채워졌다. 우리는 최신 이론과 선진 사례를 등대 삼아 우리만의 항해법으로 깜깜한 바다를 헤쳐 나가야 한다. 지난 20년간 380조를 퍼부어도 별무효과였다면 이제 생각도 방법도 바꿔야 한다. 새로운 ‘로컬리즘’이란 관성과 보신주의를 버릴 용기와 한계와 고정관념을 돌파할 대담함까지 포함된 개념이다. 뉴 로컬리즘의 길을 차근차근 가다 보면, 어느 순간 절망의 공간이 희망의 현장으로 바뀌어 있을 것이다.
9791165672263

중소도시 브랜딩 전략 (지방소멸시대 관광활성화를 위한)

오익근  | 백산출판사
16,200원  | 20210120  | 9791165672263
이 책은 중소도시의 비전과 브랜딩 전략은 국내사례와 해외사례를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국내외 사례분석에서 성공요인뿐만 아니라 문제점도 파악된 것이므로 이런 점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전략이 제시된다. 국내외 도시의 브랜딩 사례와 필자가 사례로 제시한 아이디어가 지방 중소도시의 브랜딩 전략에 일부나마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9788937837685

지방 소멸 (인구감소로 연쇄붕괴하는 도시와 지방의 생존전략)

마스다 히로야  | 와이즈베리
12,600원  | 20150905  | 9788937837685
현재의 인구감소 추세대로라면 일본의 절반, 896개 지방자치단체가 소멸한다는 연구 결과로 일본 전역을 충격에 빠뜨리며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책. 저출산과 고령화, 그에 따른 인구감소는 서구와 동아시아 공통의 문제지만, 저자는 미국이나 유럽과는 달리 인구가 도쿄 한 곳으로만 집중하는 ‘극점사회’를, 인구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지적한다. 젊은이들을 “저임금으로 쓰고 버리는” 도쿄에서 그들은 결혼도 출산도 포기한다. 그 결과 지방은 공동화하고, 도쿄는 초고령화하고 있다. 2012년 일본 평균 출산율은 1.41이지만, 도쿄는 1.09다.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은 일본보다 더 심하고, 2014년 평균 출산율은 1.205, 서울의 출산율은 0.98명으로 훨씬 더 심각한 상황이다. 저자는 도쿄가 지방의 인구를 빨아들여 재생산은 못하는 인구의 블랙홀이며, 지방에서 유입되는 인구도 감소하여 “결국 도쿄도 축소되고, 일본은 파멸한다”고 경고한다. 그러면서 일본의 미래전략을 연구하는 일본 창성회의의 연구 결과를 집대성, 기존 저출산 대책의 수준을 한참 뛰어넘어 국가와 지자체가 총력전을 펼쳐 지방과 도시의 연쇄붕괴를 막고, 인구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장기적으로 인구감소를 멈출 수 있는 강력한 해법들을 제시한다. 이 책은 2014년 8월 출간, 20만 부 이상 판매되며 최대 베스트셀러 경제서가 되었고, 서점 직원과 도서 평론가, 각 출판사의 신서 편집부, 신문 기자들을 대상으로 가장 추천하고 싶은 책을 설문조사하여 선정하는 2015 신서대상을 수상했다. 동아시아 삼국의 심각한 초고령화 문제를 다룬 KBS 다큐 <100세 사회의 경고>에서는 일본의 사례로 저자의 인터뷰를 방영하기도 했다. 부록으로 적극적인 저출산, 고령화 대책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지자체의 사례로 경기도 성남시의 정책들을 소개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