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두창"(으)로 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57076505

동아시아, 두창에 맞서다 (두창 유행과 백신 개발의 역사)

신규환, 조정은, 김영수, 양지향  | 역사공간
25,200원  | 20250305  | 9791157076505
동아시아에서는 두창이라는 감염병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방역했을까 두창은 기원전 1157년 람세스 5세의 미라에서 흔적을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인류 사회에 오랫동안 고통을 안겨주었다. 1520년 에르난 코르테스(Hernan Cortes)가 이끄는 스페인 함대가 신대륙에 상륙하여 전멸 위기에 놓였을 때 테노치티틀란(현 멕시코시티)에서 발생한 두창은 이에 대한 면역력이 없었던 아즈텍 문명의 몰락을 가져올 정도로 파괴력을 가진 질병이었다. 이처럼 두창은 두려운 질병 중 하나였기 때문에 두창의 유행, 그것을 예방하기 위한 예방 접종의 전파와 확산에 대해서 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쏟아왔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육로로 연결되어 있고, 일본과도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여 인적·물적 교류의 중심지였으며, 의학 지식과 기술의 통로가 될 수 있었다. 한국에서 종두법 연구는 서양의학 도입사의 시각에서 동아시아의 근대화와 관련된 핵심적인 주제 중의 하나였다. 특히 우두법은 서양의학과 동일시되었으며 일본은 식민 통치의 우수성을 보여 주는 사례로서 우두법을 선전하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인두법은 감염 위험이 크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접종법으로 간주되었으며, 지석영의 우두법 보급을 위한 노력과 일제의 두창 방역의 성과가 주목받기도 하였다. 이 책은 동아시아에서의 우두법 도입과 확산에서 한·중·일의 차이가 생긴 배경과 의료 환경의 차이가 한·중·일 우두법 보급과 확산에서 차이를 가져온 과정을 분석한다. 한·중·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종두법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동아시아에서 두창과 종두법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다룬다. 이 책은 총 13편의 글을 실었다. 제1부에서는 동서양의 인두법에 대해 다룬다. 제2부에서는 동아시아에서의 우두법의 보급과 관련된 도전과 한계 그리고 성공적인 백신 접종 과정을 살펴본다. 제3부에서는 한·중·일의 두창 유행과 관민의 대응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 책은 동아시아에서 우두법의 보급과 확산이 진행되던 시기의 다른 지역에서 진행된 우두법 역사의 전개를 정리하고 있어 동아시아 우두법의 역사를 보다 거시적으로 지리적·시대적 맥락 속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동아시아 우두법의 역사를 글로벌 관점에서 생각해 보고, 추후 우두법 연구사 발전의 향방을 고민해 보는 기회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9788982757556

역주 언해두창집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5,000원  | 20090930  | 9788982757556
『역주 언해두창집요』은 천여두를 치료하기 위한 의서이다. 조선왕조 세조 때 내의 임원준이 지은 을 다시 고쳐서 선조 41년에 어의 허준이 선조 임금의 명을 받아 천연두의 치료를 목적으로 명나라의 방문을 당시의 우리말로 번역하여 내의원에서 간행한 책이다.
9791162470275

언해두창집요 / 언해태산집요 / 언해납약중치방

허준  | 학자원
69,300원  | 20180410  | 9791162470275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는 어의御醫 허준許浚이 선조宣祖의 명에 의하여 1601년(선조 34)에 편찬하여 1608년(선조 41)에 내의원에서 간행하였다. 2권 2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한 두역痘疫 처방에 관한 의서醫書다.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는 어의御醫 허준許浚이 선조宣祖의 명에 의하여 1608년(선조 41)에 내의원內醫院에서 1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한 의서의서다. 임신姙娠에서 해산解産에 이르기까지에 필요한 약의 처방과 병의 치료법 및 여러 가지 요령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언해납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은 납약의 증상에 따른 사용방법과 그 약을 사용할때 금禁해야 하는 음식물을 기록하고 언해하여 1680년~1700년 사이에 간행한 책으로, 한의학의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옛날의 한글을 연구하는 데에도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