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적품질관리 (최신 ISO.KS 기반, 개정판)
유춘번, 정수일, 이명주, 전영호, 김태규 | 민영사
33,120원 | 20210825 | 9791186378403
‘SPC-SQC’를 절판하고 신판으로 출간하는 이 교재는 품질관련 전공자뿐만 아니라 산업체 및 연구기관에 종사하는 분들, 그리고 기술사 및 기사 자격 취득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통계적 품질관리의 방법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계속 제정, 개정, 보완되고 있는 ISO, IEC, KS 등의 최신판에서의 통계적 품질관리와 공정관리의 요체를 수용하였고, 예제 및 연습문제의 내용도 가능한 한 현장실무를 염두에 두고 작성하였으며, 향후 국제표준의 변화에 따라 개정을 통하여 꾸준히 그 의도를 보완, 달성하여 나갈 것이다.
신규 국제표준의 제정에는 ISO의 경우 PWI(Preliminary Work Item) - NWI(NewWork Item) - WD(Working Draft) - CD(Committee Draft) - DIS(Draft InternationalStandards) - FDIS(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s) - IS(International Standards) 순으로 승인, 배포되는 과정에서 최대 84 개월(7 년)이 소요되고, 개정에서도 PWI,NWI가 생략될 뿐 거의 동일한 과정을 밟고 있어, 표준을 필요로 하는 현장의 요구에 시의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국제표준을 국가표준으로 채택하는 과정에서도 입법예고 등의 절차 때문에 국제표준이 KS로 발행되기까지는 1 년∼3 년이 추가로 소요되고 있다.
이 교재에서는 KS 및 KS화된 국제표준에 더하여, 위의 현실을 감안하여, 현재 제ㆍ개정이 진행되고 있는 국제표준에 대한 정보도 포함시키려고 시도하였으며, 자주 출제되는 품질경영기사, 품질경영기술사 등의 시험문제도 연습문제에 싣도록 노력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따라 통계적품질관리의 접근법도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활용 등 다소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통계적품질관리의 기법은 이들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추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도 우리 산업사회에서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국제표준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개정판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새롭게 편집 발간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