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발굴조사"(으)로 2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9589103

수혈주거지 조사방법 (발굴조사 길라잡이)

김권중, 박경신, 황대일, 공봉석  | 백두문화재연구원출판부
19,800원  | 20190815  | 9791189589103
이 책은 한국의 문화재 발굴조사 현장에서 옛 무덤과 함께 가장 많이 접하는 수혈주거지(움집)의 조사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으로, 각 시대별 전문가 4인이 공동집필하였다. 기존의 수혈주거지 관련 도서들은 그 연구자료가 많이 축적되지 않았기 때문에 주로 일본의 조사방법과 자료에 의존하였다. 이 책은 일제 해방이후 최초로, 축적된 국내 수혈주거지 자료를 집대성하여 현재의 고고학 현장 실정에 맞는 조사방법을 제시하였다. 저자들은 그간의 풍부한 현장조사 경험에서 체득한 사실을 정리하고, 최근 조사된 사례들을 풍부히 소개하여 보다 생동감 있는 고고학 현장을 보여주었다. ○ 대상 - 고고학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에게는 교양서 - 대학에서는 고고학 전공 학생들의 수업교재 및 교육서 - 고고학 현장의 연구원에게는 입문서 및 실무 지침서 ○ 특징 -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200여 장이 넘는 도면과 사진을 게재(풀컬러) - 최초로 책 전개 과정의 모든 근거는 국내 유적의 실제 사례들을 제시
9788936907877

한국 고고학 저널 창간기념 논문집(2005) (동북아시아 발굴조사 성과)

국립문화재연구소  | 대원사
16,200원  | 20061215  | 9788936907877
이 책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국내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를 국민들과 학계에 적기에 전달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매장문화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자 정기간행물로 기획한 것이다. 이번 창간호에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뿐만 아니라 발굴전문기관, 대학박물관 등에서 실시한 2005년도 발굴조사 중에서 학술적으로 중요한 29개소의 유적을 선별하여 간략한 설명과 함께 관련 도면과 사진을 수록하였다. 아울러 일본, 중국, 러시아의 최근 발굴조사 현황 및 성과를 중심으로 한 특별논문집도 별책으로 발간하였다....
9791186324561

서울지역 유적 발굴조사 총서 2 (2000~2006)

 | 서울책방
21,000원  | 20171201  | 9791186324561
9791186324448

서울지역 유적 발굴조사 총서 1 (1946~1999)

 | 서울책방
21,000원  | 20161230  | 9791186324448
서울역사박물관은 발굴조사기관으로 지정된 2005년부터 서울지역의 주요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해왔다. 수행되었던 발굴조사를 시기별 지역별로 정리한 ‘서울지역 유적발굴조사 총서’를 기획하였다. ‘서울지역 유적발굴조사 총서1’은 해방 이후 2000년 이전에 수행되었던 유적발굴조사를 정리하여 담아냈다.
9791191175745

천마총 발굴조사보고서 1974년 영인본 (1974년 영인본)

문화재관리국  | 한국학자료원
72,000원  | 20220115  | 9791191175745
本 報?書는 西紀 1973年 4月 6 日부터 同年 12月 4 日까지 滿 8個月間 發掘調? 된 慶州市 皇南洞 所在 天馬塚 (舊名 第155號墳)의 發掘調? 報?書이다. 이 報?書에는 天馬塚의 發掘着手 前에 古墳 周邊에 實施된 地下遺構調?의 發掘 內 容도 簡單히 包含시키었다.
9791168870376

분황사 발굴조사보고서 1(2005년 영인본) (2005년 영인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한국학자료원
207,000원  | 20220415  | 9791168870376
분황사는 신라 초기가람으로 창간되어 지금가지 법당을 이어오고 있는 역사적 전통사찰임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사격과 가람배치 양상을 파악하지 못한 채 단편적인 조사만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우리 연구소에서는 1990년부터 전면적인 발굴조사를 시작하였다. 7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서 신라 최초의 ‘品’자형 일탑삼금당식 창건가람을 확인하였으며, 금당은 이후 3차례의 중건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밖에 추정 강당지, 동회랑지, 석등지를 비롯하여 건물지. 담장, 배수로, 우물 등의 생활유구와 청동노지, 와요지 등의 생산유구도 다수 확인하였다. 출토유물은 암·수막새, 치미, 귀면화, 전돌 등의 와전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토기와 자기 등 생활용기도 다수 출토되었다. 각종 장식용 금동제품은 그 정교함과 화려함에서 사료에 나타나는 왕실원사설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현재 우리 연구소에서 진행 중인 발굴조사를 완료하면, 분황사 가람의 전모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90~2003까지 7차 발굴조사 수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지난 15년간의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황사 발굴조사보고서 Ⅰ』을 발간했다. 발굴조사보고서는 본문과 유물도판 2권으로 구성돼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1990년부터 분황사 발굴조사를 시작했으며, 현재 8차년도 조사를 진행중이다. 이번에 발간된 조사보고서Ⅰ은 1990년부터 2003년까지 진행된 7차까지의 발굴 조사 내용을 수록했다. 분황사는 전불시대 7대가람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전성기에 비해 사세가 크게 줄어든데다 창건부터 1400여년이라는 시간이 흐르기까지 사찰이 한번도 폐사되지 않고 지속돼왔기 때문에 수차례 가람배치의 변형이 있었다. 문화재연구소는 지금까지 품(品)자형 창건 3금당의 존재를 비롯하여 이후 3차에 걸친 금당의 변천과정을 확인했으며, 현존 석탑은 창건시의 원위치를 그대로 지키고 있음을 밝혔다. 또 현재 사역의 남북 외곽에서 당간지주·담장·축대·건물지·배수로 등의 위치를 확보했다. 미조사 지역으로 남아있는 분황사 주차장과 원효탑 부분은 중문지와 남회랑지를 비롯하여 동서 회랑지 남단 일부가 잔존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문화재연구소는 향후 이 지역을 포함한 미조사 지역에 대한 조사를 빠른 시일내에 마무리하여 분황사 전성기의 가람배치와 사역범위를 밝히겠다고 전했다. 분황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사기에 수록된 “선덕왕 3년(634) 정월 연호를 인평(仁平)으로 고치고 분황사를 완성했다”는 기록이다. 초기에는 자장·원효를 비롯한 고승들이 주석하면서 왕실원찰로서 역할했으며, 8세기 중엽에는 대형 약사동상을 세우고 1차중건 금당을 건립하면서 전성기를 누렸다. 몽골의 침입이 있었던 13세기 이후에는 쇠락의 길을 걸었으며, 지금은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초에 건립한 보광전과 일제강점기(1915년)에 수리한 모전석탑 등과 함께 사역이 대폭 축소된 상태로 남아있다.
9788995733530

신라숨결 1천년 발굴조사 32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그라픽네트
18,000원  | 20071114  | 978899573353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경주출토유물보관동 집들이(2005.5.11)를 기념하여 개최한 특별전 [신라숨결 1천년 발굴조사 32년]의 도록.
9791191175738

전곡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1983년 영인본 (1983년 영인본)

문화재관리국  | 한국학자료원
67,500원  | 20220115  | 9791191175738
이 간행물은 1978년 우연히 한 미군 병사가 발견하여 그 존재가 알려지면서 문화재관리국의 지원으로 조사가 진행된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구석기 유적의 발굴 조사 내용을 수록한 보고서이다. 발굴조사는 1979년부터 1983년까지 5개년 동안 6차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서울대·경희대·건국대·영남대 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 및 국립중앙박물관이 조사에 참여했다. 수록 내용은 참가 대학별로 독립하여 ① 발굴 조사 경과, ② 유적의 환경, ③ 유적의 층위, ④ 유물 설명 또는 유물 분류 및 분석 내용 등을 담아 집필하였다. 그리고 자연과학자들을 통하여 ⑤ 고환경 및 지형 조사, ⑥ 지질 조사, ⑦ 생물 환경 조사, ⑧ 지질 고고학의 성격, ⑨ 현무암 연대 측정 등의 자연과학 분야의 조사·연구 내용도 함께 실었으며, 또한 외국 고고학자의 참관 보고서도 싣고 있다.
9791191175981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세트(1978년 영인본) (1978년 영인본)

문화재관리국  | 한국학자료원
135,000원  | 20220110  | 9791191175981
2007년부터 조사를 진행 중인 유적으로 1975년부터 2년간 경주문화재연구소의 전신인 경주고적조사발굴단에 의해 조사된 안압지(月池)의 동편에 해당한다. 문헌기록에 따르면 경주 안압지와 그 주변은 세자가 거주하던 동궁을 비롯한 주요 중앙 관청이 있던 곳으로 추정된다. 조사결과 안압지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대형 건물지군, 부석(敷石)시설, 담장지 등과 도로유구가 확인되었다. 확인된 대형 건물지는 황룡사 동편(S1E1~S0E1지구)에서 확인된 방(坊) 내부의 가옥에 비해 훨씬 큰 규모로서 이 가운데 1호 건물지는 길이가 30m 이상으로 안압지의 전각 건물지와 비슷한 규모이다. 따라서 안압지의 동편은 일반 방(坊)과는 구분되는 지역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4호 건물지군 내부에서는 수로로 둘러싸인 1칸 규모의 건물지가 확인되었는데, 이 건물지는 당시의 놀이문화와도 연관지어 생각해볼 수 있다. 동일 건물지군 안에 위치한 우물 내부에서 출토된 주사위는 이러한 추정에 도움을 준다. 한편, 일부 구간에 대한 시굴조사 결과 안압지 동남편에 인접하여 천석(川石)을 깔아 시설한 구간(남북 62m×동서 80m)이 확인되어 임해전지의 경역이 현재 사적으로 정비된 지역보다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밖에 건물지군 하층에서는 동서방향의 도로유구가 일부 확인되었는데, 위치상 S1E1지구와 황룡사 남문을 지나는 방의 구획도로와 연결되는 것으로 보이나 상부 유실이 심해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출토유물은 주로 통일신라시대의 각종 기와들이 출토되었으며, 4호 건물지군 안에 위치한 우물 내부에서 골제 주사위와 각종 명문 토기(丙一升, 文生, ?(中)上 등)가 출토되어 당시의 놀이문화와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9791191175141

황룡사 발굴조사보고서 세트(1984년 영인본) (1984년 영인본)

문화재관리국  | 한국학자료원
135,000원  | 20220110  | 9791191175141
凡例 I . 本報告書는 1976年 4月부터 1983年 12月末까지 8個年동안에 걸쳐 慶州市 普黃洞所在 皇龍寺址 發堀調査內容中 塔, 金堂 및 廻廊을 포함한 中心廊調査內容을 收錄한 發堀 報告書로서 皇龍寺址 發堀調査 報告書(I)로 하였다. Il. 다만 報告書 內容中 發堀經過 및 遺構調査槪要는 '83年 完了年度까지의 內容을 모두 收 錄하여 年度別調査 經過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III. 報告書에 있어서 發堀調査와는 無關하냐 親調査되었던 木塔址의 舍利具와 利柱本記 內容을 함께 收錄하여 皇龍寺全般에 對한 理解를 돕게 했다. Ⅳ. 報告書 執筆陣은 다음과 같다. 1. 序文 2. 創建과 沿革 3. 遺構\ 調査槪要 4. 遺構\ 調査 5. 出土遺物狀態槪要 6. 出土遺物解說 7. 心礎石下部調査 8. 木塔址利柱本記 및 그舍利具 9. 伽藍變遷에 關한 考察 v . 本報告書는 上, 下 二冊으로 區分發刊하여 上卷은 發堀調査內容을 收錄한 本文編으로 하고 下卷은 圖版, 圖面만을 收錄하여 圖版編으로 하였다. VI. 皇龍寺全體에 關한 考察은 報告書(II) 에 실리기 위해 다음으로 미루었다.
9788993719222

부안 유천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0원  | 20111130  | 9788993719222
『부안 유천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는 부안 유천리 도요지에 대한 1966년 발굴조사 결과를 수록한 책이다. 조사 개요와 함께 출토 유물의 현황과 특징, 유천리 도자의 과학적 분석을 담았으며, 출토 유물의 특징과 편년을 알아본다.
9788961874878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7년도 발굴조사

김은국  | 동북아역사재단
45,000원  | 20211030  | 9788961874878
동북아역사재단은 출범 이후 과거 발해의 영역이었던 곳에 남아있는 발해유적의 조사와 발굴을 진행해왔습니다. 그 중 연해주 크라스키노성은 현재까지 재단이 직접 발굴한 대표적인 발해유적입니다. 이번에 출간한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7년도 발굴조사』는 성의 중심 건물을 확인해 나가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중심 건물군의 기초 부분을 발굴하였고, 성의 서쪽 성벽 안쪽으로 지다는 도로 유구를 발굴하여 크라스키노 성이 정연한 도로 구획을 갖추었다는 사실을 재확인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공동발굴조사의 성과를 높게 평가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중세 역사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얻고 양국의 우호와 상호이해의 발전을 위한 러시아와 대한민국의 고고학자들 및 역사학자들의 협력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을 기대합니다.
9788961873666

회령 일대의 발해유적 (2012~2013년 발굴조사 보고서)

동북아역사재단  | 동북아역사재단
38,000원  | 20150815  | 9788961873666
『회령 일대의 발해유적』은 2012년-2013년도의 발굴조사 보고서다. 15만 6,000여 자의 문자 설명과 함께 151폭의 실측도와 766폭의 사진을 첨부하여 전면적으로 2년 사이의 발굴조사 성과를 학계에 공개하여 발해사의 심층연구에 중요한 실물자료를 제공한다.
9791186012321

석촌동 고분군 집중토론집 (’70~’80년대 발굴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성백제박물관  | 한성백제박물관
10,000원  | 20170831  | 9791186012321
▶ 이 책은 석촌동 고분군 집중토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6000751756

천마총 天馬塚 . 천마총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 문화재관리국
0원  | 99991230  | 6000751756
천마총 天馬塚 천마총 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저 |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 출판년도(1974) 천마총 발굴조사보고서 크기 27x38㎝ 총 468페이지  정가 180,000원(희귀본)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