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별신굿"(으)로 9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28519118

하회별신굿탈놀이 (800년을 이어 온 해학과 신명)

손상락  | 민속원
10,800원  | 20231215  | 9788928519118
하회탈은 하회마을의 ‘탈’이며 하회마을 사람들의 ‘얼굴’이자 하회마을 문화의 ‘상징’이다. 800년의 긴 세월을 이어오면서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갈등을 보듬어내고 소통을 통해 건강한 삶을 지켜냈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지배층의 위선을 탈 잡아 드러내고, 종교의 허구성을 비판하며, 민중들의 삶의 애환을 풍자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너와 나의 벽을 허물고, 갈등과 반목의 고리를 풀어 우리로 하나 되는 해학과 신명이 넘쳐나는 대동축제였다.
9788978781831

남해안 별신굿

김선풍 편  | 박이정
19,500원  | 19970805  | 9788978781831
남해안 별신굿의 신가,가면극,인형극을 역사적 자료 고찰과 현장답사로 복원한 연구서. 경삼남도 거제도를중심으로 이 지역 어촌 마을의 공동제의인 남해안 별신굿의 구전신가와 문헌신가,해미광대탈놀이,심청굿선왕풀이 등을 수록했다.
9788978782920

동해안 별신굿

이균옥  | 박이정
12,000원  | 19981015  | 9788978782920
9788986277623

동해안 별신굿

박경신  | 화산문화
15,300원  | 20021226  | 9788986277623
9788997631001

동해안 별신 굿 여정

방승환  | 지성인
16,200원  | 20131230  | 9788997631001
▶ 이 책은 동해안 별신 굿에 대해 다룬 이론서입니다. 동해안 별신 굿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28508525

동해안별신굿의 현장

조정현  | 민속원
54,000원  | 20170430  | 9788928508525
[동해안별신굿의 현장]은 동해안별신굿에 대해 다룬 책으로 준비과장에서부터 별신굿의 연행, 그리고 그 전승과 변화까지 총망라해 다루고 있다.
9788928508532

동해안별신굿의 굿춤

전성희, 한양명  | 민속원
57,600원  | 20170430  | 9788928508532
『 동해안별신굿의 굿춤』은 별신굿 첫날, 무녀가 굿당을 정화시키기 위해 신칼춤을 추는 '부정굿'으로부터 시작해 잡귀잡신을 풀어먹여 보냄으로써 굿의 대미를 장식하는 '거리굿'에 이르기까지 무녀와 화랭이들이 춘 굿춤을 제시한 것이다. 지금까지 동해안별신굿의 굿춤을 살펴본 조사연구는 꽤 있지만 하나의 굿판에서 연행된 모든 춤을 연행의 흐름과 장단에 따라 제시한 경우는 없다는 점에서, 이작업은 일정한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9788982063930

한국의 별신굿 무가

박경신  | 국학자료원
630,000원  | 19990715  | 9788982063930
이 자료집은 1991년 음력 10월 1일부터 1991년 10월 3일[양력 11월6일~11월8일]까지 3일간에 걸쳐서 진행된 별신굿의 전과정을 자연상태에서 녹음하여 그대로 채록·정리하고 주석한 것이다. 한국의 별신굿은 그 굿을 주관하는 세습무집단의 구성원만 해도 80명에 달하고, 정기적으로 굿을 행하는 마을만도 150여 곳에 이른다. 본문은 창(唱)과 말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신굿의 내용은 민속학·고전문학·방언·역사학·국악(國樂)·고전무용·연극 등을 연구하는 연구자분들과 별신굿에 관심을 가지는 일반인과 무속인, 외국인들도 쉽게 우리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주석에 충실하였다. 누가 보아도 이해할 수 있도록 주석에는 원전(原典), 방언연구와 해설을 첨가하였다. 총 26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2권에는 각주색인과 본문색인으로 나누어 정리하고 있다.
9788927900023

한국의 별신굿 무가 세트

박경신  | 국학자료원
630,000원  | 20120315  | 9788927900023
이 자료집은 1991년 음력 10월 1일부터 1991년 10월 3일[양력 11월6일~11월8일]까지 3일간에 걸쳐서 진행된 별신굿의 전과정을 자연상태에서 녹음하여 그대로 채록?정리하고 주석한 것이다. 한국의 별신굿은 그 굿을 주관하는 세습무집단의 구성원만 해도 80명에 달하고, 정기적으로 굿을 행하는 마을만도 150여 곳에 이른다. 이 책에 실린 총 26거리의 굿거리 중 1987년에도 동일한 제보자가 굿거리를 맡아 진행했던 것은 단 두 가지뿐이다. 실제적으로 이 책에 실린 자료들은 『동해안 별신굿 무가』에 실린 자료들과는 거의 다른 자료들이며, 별신굿 무가의 자료 확충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크다. 동해안 지방의 별신굿 무가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2호로 지정되었고, 이 굿을 주관하는 세습무 집단은 현재 국내에 남아 있는 유일의 세습무 집단으로서, 학계의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자료는 한국 민속학과 역사 민속학, 그리고 국악과 한국고전무용 등 다방면에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