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부부ㆍ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김지영, 박선영 | 양성원
20,790원 | 20220225 | 9791161264332
최근의 가족상담의 관점과 기법은 다양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한국의 가족상담과 가족치료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1970년대 말 국내 대학에서 가족상담 과목이 개설된 이래로 다양한 교재와 자료들이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대학에서 가족상담을 가르치고 임상 현장에서 가족상담을 담당하면서 전문성을 키워온 교육자이자 상담자들로서, 독자들이 가족치료의 핵심이론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재가 필요하다는데 뜻을 함께해 책을 쓰게 되었고, 2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부부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는 가족과 부부상담 분야의 가장 중요한 내용을 간추려서 이해하기 쉽도록 썼다. 또한 각 장이 끝날 때마다 각장에 대한 핵심개념 체크, 평가문제를 소개하였다. 이 책의 편집체계는 대학에서 한 학기 교재로 가족상담과 가족치료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이해하는데 적절하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에서 사용한 가족상담(가족치료) 용어는 가족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와 교육, 문제의 예방 및 성장 그리고 심리, 정서적인 어려움과 이상행동의 교정적 접근을 포괄하고 있다.
이 책은 총 4부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부 부부 가족상담의 이해에서는 가족상담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용과 개념들을 다루며, 1장과 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가족상담의 발달과 개인상담과의 차이점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2장에서는 가족상담의 기본 개념이 되는 초기 가족상담 모델의 이론적 기초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2부 전기 부부 가족상담 모델과 실제에서는 대표적인 가족상담 모델 6개를 선정하여 이 모델들의 이론적 배경, 상담목표, 주요개념, 상담기법 및 사례를 설명하고 있고, 3, 4, 5, 6, 7,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3장은 대상관계 가족상담, 4장은 보웬의 다세대 가족상담, 5장은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상담, 6장은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상담, 7장은 전략적 가족상담, 8장은 인지행동 가족상담에 관해 다루고 있다.
3부 후기 부부 가족상담 모델과 실제에서는 후기 가족상담의 기본 이론과 개념들을 다루고, 대표적인 가족상담 모델 2개와 부부상담 모델 1개를 선정하여 이 모델들의 이론적 배경, 상담목표, 상담과정 및 상담기법과 사례를 소개하고 있고, 9, 10, 11,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9장은 후기 가족상담의 배경이 된 이론을 살펴보고, 10장은 해결중심 단기 기족상담, 11장은 이야기치료 그리고 12장은 가트맨 부부상담에 관해 다루고 있다.
4부 가족 사정과 평가에서는 가족상담의 실제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다루고 있고, 13, 14,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3장에서는 가족생활주기별 발달과제와 한국의 가족문제 및 가족상담의 쟁점을 살피고, 14장에서는 가족평가의 개념과 여러 평가도구를 고찰하였다. 마지막 15장에서는 가족상담에서의 윤리적 딜레마와 윤리원칙에 대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