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북한군"(으)로 1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87861676

북한 정권과 북한군

변상문  | 청미디어
17,820원  | 20240105  | 9791187861676
북한은 국가가 아니다. 정권이다. 대한민국과 대등한 위치에서 통일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북한 주민과 분리하여 솎아 내 제거해야 할 대상이다. 북한 정권을 관통하는 단어는 〈허위(虛僞)〉이다. 모든 것을 거짓으로 꾸민 체제다. 이 ‘허위’는, 허업(虛業), 허망(虛妄), 망망(亡望)이라는 말을 낳았다. 북한 여군은 수시로 성폭행당하고 있다. 임신하면 불법 의료시설에서 잘못된 낙태 시술로 목숨을 잃기도 한다. 북한 인구는 2,500만여 명이다. 이 중, 900만 명에 가까운 수가 북한군이다. GOP 지역에 4개 군단 70만여 명이 전진 배치돼 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한민국 속 북한 정권이라는 관점에서 썼다. 북한 정권을 대한민국과 대등한 위치에서 통일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북한 주민들로부터 분리하여 솎아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둘째, 북한 정권 태동기였던 1945년 8월 15일(수요일)부터 1949년 6월30일(목요일)까지의 역사와 사건을 박헌영 서열 1위, 김일성 서열 2위라는 관점으로 평가했다. 조선공산당은 1925년 4월 설립되었다. 코민테른 지시에 의거해 1928년 12월 해체되었다가, 1945년 9월 재건되었다. 당 책임비서는 박헌영이었다. 재건된 조선공산당은 1946년 11월 서울에서 허헌의 조선신민당, 여운형의 조선인민당과 합당하여 남조선로동당으로 규모를 키웠다. 셋째, 북한군 생활 실상과 인권 실태를 북한군 출신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내용으로 구성했다. 특히 북한군 인권에 대한 신뢰도 제고를 위해 통일부 발간 〈2023 북한 인권〉 문서를 바탕으로, 북한인권정보센터에서 출판한 북한군 인권 실태 보고서인 〈군복 입은 수감자〉에서 인용했다. 넷째, 북한군 도발 사례를 북한 정권 내부 동향과 연계하여 분석했다. 북한군은 ① 위장평화 공세 시 도발했다. 6·25전쟁, 청와대 기습 미수 사건, 울진 삼척지구 무장 공비 침투 사건, 땅굴 침투, 제1·2연평해전 등이 대표적 사례다. ② 권력 공고화를 위한 새로운 통치이념 등장 시 도발했다. 김정일 시기 강릉 잠수함 무장 공비 침투 사건, 김정은 시기 지뢰 도발 등이 대표적 사건이다. ③ 백두혈통으로의 권력 세습 시 도발했다. 김정일은 공식 후계자로 등장하면서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을, 김정은은 후계자로 등극하면서 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전을 도발했다. 김정은 딸 김주애가 2022년에 등장했다. 김주애가 시사하는 것은 또 다른 고강도 도발일 것이다. 다섯째, 북한군 군사 위협을 미래에 초점을 맞추었다. 북한군이 2022년 42회에 걸쳐 72발의 미사일을 발사하고, 우리 군이 설정한 전술조치선 이남으로 북한 공군기가 집단으로 도발한 사례를 분석했다. 여섯째, 북한 교육과 문화 분야에서 지금까지 선행연구에 없는 내용을 발굴하여 썼다는 점이다. 먼저 교육 분야에서는 북한 고급중학교 역사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3·1운동과 임시정부, 이순신과 안중근을 철저하게 혁명적 수령관으로 폄훼한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문화 분야에서는 ‘북한에는 국악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것을 밝혔다. 북한에 국악이 없다는 것은 최초의 학술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일곱째, 강연에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 10개를 소개한다. ① 죽은 김일성이 지금도 북한을 통치하는지 여부 ② 쿠데타 가능성 ③ 최고사령관 국무위원장 당 중앙군사위원장의 관계 ④ 건군절과 선군절 차이 ⑤ 뇌물 등 부조리 실태 ⑥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 차이 ⑦ 장마당과 장마당 세대의 특징 ⑧ 북한군 수뇌부 인사 분석 ⑨ 김정은 사망 시 권력 세습 문제 ⑩이승만 대통령과 김일성의 친일파 청산 실상 등이다.
9788995696781

북한군의 불편한 진실 (탈북 군인들의 이야기)

편집부  | 한국군사문제연구원
0원  | 20131201  | 9788995696781
『북한군의 불편한 진실』은 다양한 계급의 탈북군인을 만나 그들이 겪은 여러 가지 경험과증언을 들으며 북한이 달성하였다고 주장하는 ‘사상 강국’의 허와 실에 대하여 밝혔다. 국방정책과 전략을 다루는 정책 부서뿐만 아니라 교리발전 부서, 전투작전을 수행하는 야전부대 장병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9788997094424

북한군 시크릿 리포트 (김정은의 북한 군부와 무기체계 공개)

유용원, 신범철, 김진아  | 플래닛미디어
0원  | 20130830  | 9788997094424
군사전문기자와 북한군사연구 및 안보전략 최고 전문가들이 공개한 북한군 최신정보 김정은 시대 북한군 변화 코드를 읽어보는『북한군 시크릿 리포트』. 이 책은 국내 최초 군사전문기자인《조선일보》 유용원 기자와 한국국방연구원(KIDA) 북한군사연구 및 국방 안보 정책 최고 전문가들이 베일에 싸인 김정은의 북한 군부, 군사전략, 육ㆍ해ㆍ공군 무기체계, 사이버전 전력 등을 공개하고 있다. 북한의 군사적 위협과 최근 몇 년간 북한의 세 차례의 핵실험과 장거리 마사일 발사 실험 등 한반도 긴장감을 북한에 대비하기 위한 한국의 안보와 국방 기획을 위해 북한군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올바른 대북 정책수립과 국방정책 수립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2013년 7월 27일 논란을 불러 일으킨 북한군 ‘핵배낭’과 진위 여부, 2012년 4월 15일 ICBM이 등장 가능성과 이 미사일이 발견되었다는 점, 탈북자들이 증언하는 북한 신형 방사포의 정체 등 북한 비밀 정보들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북한군의 역사와 군사전략, 재래식 군사력과 비대칭 군사력, 그리고 국방경제와 군수 능력 등을 살펴보며 북한군의 군방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고 있으며 국내 공개 서적으로는 처음으로 북한 미사일, 전차, 전투기, 함정 등 북한의 육ㆍ해ㆍ공의 무기체계를 컬러 도판과 함께 생생히 전달해 북한의 현재 상황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다.
9791160684056

북한 군 권력기관과 엘리트 (김정일·김정은 시대)

이동찬  | 선인
24,300원  | 20200918  | 9791160684056
분단이 지속된 지 75여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북한은 우리에게 어려운 실체이다. 한반도의 밝은 미래와 우리의 평화를 위해 우리는 북한의 실체를 이해하고 연구하며 궁구해야 한다. 북한은 사실상 군사화된 국가라고도 할 수 있다. 북한군은 정권 탄생은 물론 체제의 위기관리 수단으로 지속 기여하고 있다. 체제 유지와 수령의 유일지배체제 공고화의 기본 무장세력은 인민군이다. 북한을 좀 더 이해하고 천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북한군의 질적, 양적 규모와 속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이를 작동시키는 조직과 인적 메카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라고 할 수 있다. 북한군은 간부라고 불리는 군부 엘리트에 의해 지휘되고 작동된다. 그중에서도 소수의 권력기관과 엘리트에 의해 군의 군사력 건설방향과 군사정책 및 전략 노선이 결정된다. 이 책에서는 김정일 시대와 김정은 시대의 주요 군 권력기관과 군부 엘리트들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김일성 시대처럼 여전히 김정일과 김정은 시대에도 다소 부침이 있지만 군부의 영향력은 지속되고 있다. 북한의 경제건설 인프라와 외교적 협상수단인 핵무력이 사실상 군부에 의해 운용되기 때문이다. 책 구성은, 먼저 권력엘리트에 대한 기본개념을 살펴보고, 대중주의를 표방하는 사회주의 국가에서 엘리트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적용되는지를 고찰한다. 이어서 선군체제로 대변되는 김정일 시대와 당-정-군 체제로 전환한 김정은 시대의 군 권력기관과 엘리트에 대한 변화와 특징을 분석한 후, 양 시대에 표출되는 공통적 특징과 상반된 속성을 비교하면서 북한에서 군 권력기관과 엘리트의 위상과 역할, 한계 등 총제적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머리말 中)
9788996539414

김정일 체제의 북한군 연구

고재홍  | 국가안보전략연구소
0원  | 20111230  | 9788996539414
9788993739640

군복 입은 수감자(북한군 인권 실태 보고서) (북한군 인권 실태 보고서)

김인성  | 북한인권정보센터
35,000원  | 20180228  | 9788993739640
▶ 이 책은 군복 입은 수감자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북한군 인권 실태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84796089

북한군의 기강 해이에 관한 연구

이교덕  | 통일연구원
11,000원  | 20111101  | 9788984796089
9791195207459

5.18 때 북한군이 광주에 왔다고?

안종철  | 아시아문화커뮤니티
13,500원  | 20160125  | 9791195207459
『5.18 때 북한군이 광주에 왔다고?』는 '북한군이 광주에 왔다고?' , ' 5·18 때 대학생은 없었고 북한군만 있었다? ', '북한 특수군이 교도소를 공격했다고?', '5·18사진첩, 북한과 공모해 발간했다고?', '복면한 사람들은 북한 특수군이었다고?' 등 으로 구성된 책이다.
9788974297350

북한군 최고사령관의 위상과 역할 연구 (세종정책연구 2015-4)

정성장  | 세종연구소
0원  | 20150210  | 9788974297350
▶ 이 책은 북한군 최고사령관의 위상과 역할을 연구한 세종연구소의 정부간행물입니다.
9788959337439

남북한 군사통합과 북한군 안정화전략

김의식  | 선인
0원  | 20140825  | 9788959337439
이 책에서 저자는 남북한 간에 통일분위기가 조성되면 군사통합은 한국군이 주도권을 가지고 북한군을 흡수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북한 내부에 심각한 불안정 상황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통일분위기가 조성되거나, 남북한 정치지도자와 주민들의 합의에 의해 통일분위기가 조성되는 경우에도 통일비용 지불능력을 갖춘 남한이 주도권을 가지고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체제로 통일을 추진해야 한다. 따라서 군사통합도 한국군이 주도권을 가지고 북한군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것이다.
9791164400300

히드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 북한군 개입설의 음모)

송용만  | 하움출판사
12,600원  | 20190510  | 9791164400300
5.18 민주화운동의 북한군개입설, 그 실체는 무엇일까? 숨 가쁘게 펼쳐지는 이 소설은 5.18민주화운동을 현대로 끌고 와, 북한군개입설의 실체를 찾아 나선다. 실체를 찾아 ?기는 두 남녀의 장대한 서사시가 숨 쉴 틈을 주지 않는다.
9791187822387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북한군, 주변 4강, 한미관계, 한국군, 방위산업 관련 핫이슈 리포트)

유용원  | 플래닛미디어
19,800원  | 20200115  | 9791187822387
“좌표 잃은 우리나라의 군사, 국방, 외교, 안보, 방위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을 알고 싶다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라!” YS 이후 6개 정권 27년간 창군 이래 최장수 국방부 출입기자 국내 최대 군사 웹사이트(누적 방문자 3억9,600만명), 유튜브(누적 조회수 1억뷰), 페이스북(팔로워 5만2,000명) 등 7개 개인 채널 운영 중인 대한민국 밀리터리계의 ‘핵인싸’ 유용원의 북한군, 주변 4강, 한미관계, 한국군, 방위산업 관련 최신 핫이슈 리포트
9788974292829

북한군 총정치국의 위상 및 역할과 권력승계 문제

정성장  | 세종연구소
0원  | 20130210  | 9788974292829
9788996947646

광주 5·18 민주 항쟁인가 악의뿌리인가 (5.18 광주사태 당시 남파되었던 북한군특전사의 증언[나는 광주에 왔었다!])

이주성  | 반누문화기획사
0원  | 20180415  | 9788996947646
▶ 광주5.18 민주 항쟁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74292980

북한 군수산업의 민수전환 방안 연구 : 체제전환국의 경험을중심으로 (세종정책연구 2013-24)

양운철  | 세종연구소
0원  | 20130830  | 9788974292980
『북한 군수산업의 민수전환 방안 연구』은 누적된 경제침체의 여파로 몰락의 기로에 있는 북한의 군수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 통일 후 예상되는 북한 군수산업의 민수전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에서 과거 롤 모델이었던 사회주의국가들의 민수전환 경험을 통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