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상례"(으)로 2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97970216

국역의례 : 상례편 (상례편)

이상아  | 한국인문고전연구소
54,000원  | 20151031  | 9788997970216
<의례> 국내최초 완역본. <의례>는 6경의 하나로, 주나라 때 공자에 의해 처음 정립되었다고 일컫는다. 학자들은 조선시대 후기를 예학의 전성시대라고도 부른다. 성리학과 더불어 조선시대 유학을 특징지을 수 있는 두 개의 큰 물줄기 중 하나인 예학의 출발점은 <의례>·<예기>·<주례>로 대표되는 삼례이며, 이 삼례 중에서도 <의례>는 가장 근본이 되는 경전이다. <의례>는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신분과 등급에 따라 만든 일종의 제도이다. 즉 신분과 등급이 다르면 동일한 상황의 예라 할지라도 사용하는 기물이나 입는 의복, 행하는 의식 등을 다르게 하였다. 그 중에서 사람이 죽으면 살아있는 사람들이 행하는 예를 기록한 상례편인 이 책은 크게 상복, 사상례, 기석례, 사우례 4부분으로 나뉜다. 상례에 대한 기록 외에 이해를 돕기 위해 장혜언의 <의례도>의 궁실도, 상례도, 황이주의 <예서통고>상례도를 부록으로 실었다.
9788955269109

상례정해 (전통상례의 이해)

이종오  | 북스힐
12,000원  | 20140415  | 9788955269109
『상례정해』는 《가례》, 《증보사례편람》, 《상례비요》 외에 《예기》와 《의례》 및 그 주와 소의 원문을 모두 확인하였고, 기타 원문을 확인한 서적과 함께 참고문헌에 수록하였다.
9788991881952

정본 여유당전서 : 상례사전 1~5 세트 - 전5권 (상례사전)

정약용  | 사암
9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52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발간하는 교감ㆍ표점 《정본 여유당전서》는 기존 《여유당전서》의 오자와 탈자를 바로잡고, 다산의 저작이 아닌 것을 제외하였다. 또한 새로 발굴된 다산의 저작을 포함시키고 교감과 표점을 거쳐 새로운 편집체재로 재정립한 것이다. 여유당전서가 이제 비로소 종합적이고 비판적 정본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9788956389783

국역 가례증해 4 (상례 4~6)

한국고전의례연구회  | 민속원
56,700원  | 20110630  | 9788956389783
조선조 가례학의 대체적인 체계와 중요한 학설을 개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국역 가례증해』 제4권. 조선조에 널리 강구되었던 에 대한 학설의 창고로 일컬어질 만큼 '가례'에 대한 풍부한 주석을 담고 정밀하게 완비된 조선후기 최고의 가례주석서인 를 번역한 것이다. 시대를 넘어서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예의 규범의 근원과 그 본질을 찾을 수 있다.
9788956389790

국역 가례증해 5: 상례 7 8 (상례 7~8)

한국고전의례연구회  | 민속원
44,500원  | 20110630  | 9788956389790
18세기 후반에 편찬된 [주자가례] 주석서로서, 사계 김장생의 [가례집람]과 시남 유계의 [가례원류], 도암 이재의 [사례편람]의 전통을 계승하여 [주자가례]의 충실한 주석을 통하여 주자학에 입각한 사대부의 예제禮制를 강구하여 준행하려 하였던 노론의 예설을 널리 수집하여 절충한 조선후기 대표적인 예서의 하나이다. 이 책은 [가례집람]을 토대로 송준길, 송시열을 거쳐 권상하, 이희조, 김창협, 이재, 한원진, 이간, 윤봉구, 김원행, 송능상, 박성원에 이르기까지 노론 계열의 중요한 학자들의 예설禮說을 절충하여 집대성함으로써, 이 계열 예설의 대체를 파악하는데 요긴하다.
9788956389776

국역 가례증해 3 (상례 1~3)

한국고전의례연구회  | 민속원
45,900원  | 20110630  | 9788956389776
조선조 가례학의 대체적인 체계와 중요한 학설을 개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국역 가례증해』 제3권. 조선조에 널리 강구되었던 에 대한 학설의 창고로 일컬어질 만큼 '가례'에 대한 풍부한 주석을 담고 정밀하게 완비된 조선후기 최고의 가례주석서인 를 번역한 것이다. 시대를 넘어서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도 적용되고 있는 예의 규범의 근원과 그 본질을 찾을 수 있다.
9788936900168

전통상례

임재해  | 대원사
11,700원  | 20091020  | 9788936900168
출생에 비해 죽음의 의례가 더욱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장례 의식은 매우 독특하다. 그만큼 죽음의 의미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상례는 산 자와 죽은 자의 관계 뿐만 아니라 산 자와 산 자의 관계에서도 형성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상례의 의례적 특징과 무덤의 문제, 죽음의 의례와 출산의 의례 등 존재와 세계에 대한 우리 민족의 인식에 초점을 맞춰 죽음의 의미를 조명해 본다.
9791197004421

한국의 불교상례

정오, 이성운  | 정우북스
18,000원  | 20220831  | 9791197004421
불교의 상례는 전통적으로 불교의 문화를 벗어나지 않는다. 불교의 문화는 불교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죽은 이의 몸을 처리하면서 죽음을 끝으로 보지 않고 더 나은 세계로 떠날 수 있게 도와주는 의례행위가 상례에 담겨 있다. 본서가 불교 전토으이 ‘다비작법’이라는 표현보다 상례라는 일반의 용어를 채택하게 된 것은 이렇다. 서품에서도 밝혔지만 다비에는 죽은 이의 몸을 처리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지만 상례에는 죽은 이의 몸을 처리한 다음에 기일 이전에도 살아남은 유족들이 공덕을 닥아주는 칠칠재 등을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해주고자 하기 때문이다. 현재 설행되는 한국의 불교상례는 1935년 편집된 『석문의범』이 그 중심의 역할을 한다. 본서 또한 그것을 바탕으로 하되 이전의 불교의 상례를 다루는 다비작법을 참고로 설명하였다. 19세기 초 백파긍선의 『다비설』과 『작법귀감』, 19세기 후반 해인사 『다비작법』의 이해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였다.
9788975930461

상례와 제례 (현대인이 꼭 알아두어야 할)

전통예절연구회 편  | 신나라
6,750원  | 20001031  | 9788975930461
상례와 제례만 집중적으로 다루어 각각 전통적인 예식과 현대적인 예식을 자세히 수록하였다. 용어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도 덧붙여 놓았다. 상례와 제례의 각종 축문과 고사도 함께 수록하였으며, 실제 제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방을 함께 담고 있다.
9791197008214

유교상례의 이해

이철영  | 해조음
26,100원  | 20200408  | 9791197008214
▶ 유교상례의 이해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28502974

한국의 상례문화 (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

김시덕  | 민속원
36,900원  | 20120803  | 9788928502974
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한국의 상례문화』. 이 책은 《한국 유교식 상례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저자 김시덕이 박사학위논문에서 수용하지 못했던 한국의 상례문화 이야기를 모아 재구성한 것이다. 상례를 중심으로 유교식 의례의 문화적 전통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 의례의 문화적 전통으로서 유교식 상례를 다루기 위해 유교식 상례의 유입과 공인, 정착 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유교식 상례가 어떤 것인지 예서와 관행을 통해 개념화하였다.
9791187806417

상례언해 이본 5종

학자원 편집부  | 학자원
59,400원  | 20170725  | 9791187806417
종실인 덕신정 이문수가 김장생이 편찬한 《가례》 중에서 상례의 초종지예를 집록하고 언해하여 이문수의 아들인 이홍오가 같은 동네에 살던 사계 김장생에게 부탁하여 그 서문을 써서 편찬한 책을 돈촌 김만증이 고치고 더하고 빼어서 1716년에 다시 편찬한 책으로 2권 1책의 필사본이다.
9788928507900

상례놀이의 문화사 밤다래하는 사람들 (상례놀이의 문화사)

이경엽  | 민속원
25,200원  | 20160301  | 9788928507900
송별축제는 오래된 전통이면서 현행되는 공동체 민속이다. 노래와 춤으로 죽은 이를 떠나보내는 송별축제에는 죽음을 대하는 각별하고 애틋한 심성과 민속철학이 담겨 있다. 이 책에서 그 연원과 내력, 다채로운 장면과 신명풀이의 세계를 탐색했다.
9788960713475

예기 상례의 인문관

공병석  | 학고방
19,400원  | 20131210  | 9788960713475
『예기 상례의 인문관』는 ‘삼례’ 중 예사상의 본질에 대해 논술한 《예기》의 예의 근간을 논한 자료이다. 《예기》를 연구범위로 하여 상례이론의 기원과 상장 풍속의 발전추세를 통하여 상례의 인문적 의의를 논하고 아울러 상복 제도의 기원과 내용을 통해 그 인문의식을 살펴보고 있다.
9788956386478

국역 국조상례보편

국립문화재연구소  | 민속원
49,500원  | 20080630  | 9788956386478
궁중의 상례에 관한 기록으로, 영조의 명을 받아 홍계희가 1758년 완성하여 간행된 것이다. 그 당시 『국조오례의』나 『속오례의』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례들이 발생하여, 따로이 상례만을 규정하는 기준이 필요하였고, 이러한 취지 아래 나온 것이 바로 『국조상례보편』이다. 초종장례 때 쓰이는 기구, 제복 및 그 부속물부터 각종 상황별 절차와 의식 등을 담고 있는 이 책은 영조 이후 왕실 상례의 준칙으로 활용되었기 떄문에 조선후기 상례에 관한 전반적인 것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