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으)로 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2446935

용성씨ㆍ항선ㆍ팽조ㆍ석자군로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7)

최남규  | 역락
40,500원  | 20210129  | 9791162446935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용성씨≫는 고대 용성씨부터 요순우堯舜禹 삼대 왕의 선양제도와 계啓 이후 문ㆍ무왕에 이르기까지 교만하고 방자한 제왕을 혁명적으로 타도하고 나라를 창건한 내용들을 언급하였다. ≪항선≫은 지하 출토 문헌 자료 중 드물게 보이는 도가道家 문헌 중 하나이다. ‘항선’이란 곧 ‘도’를 말한다. 하늘과 땅이 생겨나기 전, 천지만물을 창조하게 된 창조의 근원과 근본이 되는 본질이다. ≪팽조≫는 구노?老(늙은 어른)라는 자가 팽조에게 사람의 도리와 됨됨이에 대하여 묻는 내용이다. 팽조는 교만하지 않고 자신의 욕망을 자제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석자군노≫는 나라의 군주가 연로하게 되어 곧 세상을 뜨게 될 때 태자가 행해야 할 행동규범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9791162446881

주역: 고석편(상)(제1간~제29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2)

최남규  | 역락
27,000원  | 20210129  | 9791162446881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박초간≫의 ≪주역周易≫은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三)≫ 중의 한 편이다. 이는 ≪주역≫ 중 가장 이른 판본이기 때문에 ≪주역≫의 문자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역서는 ‘해제편’ㆍ‘고석편(상하)’ㆍ‘전적편’ㆍ‘색인편’과 ‘종합편’ 등 다섯 편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해제편〉에서는 ‘상해박물관 소장 전국초죽서’의 가치와 내용 혹은 초죽서 ≪주역≫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적편〉은 ‘역’이 선진 양한 시기의 전적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대 선인들의 ‘역’에 사상과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색인편〉에서는 초죽서 ≪주역≫의 어휘를 색인식으로 풀이하고, 문자를 전체적으로 색인하였다. 〈종합편〉에서는 앞의 연구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역주의 석문釋文과 우리말 해석’의 내용은 본 역주의 주요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 또한 마지막에 ‘문자 임모’를 추가하여, 전국 초죽가 지니고 있는 자형의 특징 중의 하나인 붓을 사용함으로써 서체 전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동기적 발생요인이 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9791162446898

주역: 고석편(하)(제30간~제58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3)

최남규  | 역락
31,500원  | 20210129  | 9791162446898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박초간≫의 ≪주역周易≫은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三)≫ 중의 한 편이다. 이는 ≪주역≫ 중 가장 이른 판본이기 때문에 ≪주역≫의 문자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역서는 ‘해제편’ㆍ‘고석편(상하)’ㆍ‘전적편’ㆍ‘색인편’과 ‘종합편’ 등 다섯 편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해제편〉에서는 ‘상해박물관 소장 전국초죽서’의 가치와 내용 혹은 초죽서 ≪주역≫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적편〉은 ‘역’이 선진 양한 시기의 전적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대 선인들의 ‘역’에 사상과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색인편〉에서는 초죽서 ≪주역≫의 어휘를 색인식으로 풀이하고, 문자를 전체적으로 색인하였다. 〈종합편〉에서는 앞의 연구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역주의 석문釋文과 우리말 해석’의 내용은 본 역주의 주요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 또한 마지막에 ‘문자 임모’를 추가하여, 전국 초죽가 지니고 있는 자형의 특징 중의 하나인 붓을 사용함으로써 서체 전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동기적 발생요인이 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9791162446911

주역: 색인편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5)

최남규  | 역락
31,500원  | 20210129  | 9791162446911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박초간≫의 ≪주역周易≫은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三)≫ 중의 한 편이다. 이는 ≪주역≫ 중 가장 이른 판본이기 때문에 ≪주역≫의 문자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역서는 ‘해제편’ㆍ‘고석편(상하)’ㆍ‘전적편’ㆍ‘색인편’과 ‘종합편’ 등 다섯 편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해제편〉에서는 ‘상해박물관 소장 전국초죽서’의 가치와 내용 혹은 초죽서 ≪주역≫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적편〉은 ‘역’이 선진 양한 시기의 전적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대 선인들의 ‘역’에 사상과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색인편〉에서는 초죽서 ≪주역≫의 어휘를 색인식으로 풀이하고, 문자를 전체적으로 색인하였다. 〈종합편〉에서는 앞의 연구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역주의 석문釋文과 우리말 해석’의 내용은 본 역주의 주요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 또한 마지막에 ‘문자 임모’를 추가하여, 전국 초죽가 지니고 있는 자형의 특징 중의 하나인 붓을 사용함으로써 서체 전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동기적 발생요인이 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9791162446904

주역: 전적편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4)

최남규  | 역락
54,000원  | 20210129  | 9791162446904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박초간≫의 ≪주역周易≫은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三)≫ 중의 한 편이다. 이는 ≪주역≫ 중 가장 이른 판본이기 때문에 ≪주역≫의 문자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역서는 ‘해제편’ㆍ‘고석편(상하)’ㆍ‘전적편’ㆍ‘색인편’과 ‘종합편’ 등 다섯 편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해제편〉에서는 ‘상해박물관 소장 전국초죽서’의 가치와 내용 혹은 초죽서 ≪주역≫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적편〉은 ‘역’이 선진 양한 시기의 전적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대 선인들의 ‘역’에 사상과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색인편〉에서는 초죽서 ≪주역≫의 어휘를 색인식으로 풀이하고, 문자를 전체적으로 색인하였다. 〈종합편〉에서는 앞의 연구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역주의 석문釋文과 우리말 해석’의 내용은 본 역주의 주요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 또한 마지막에 ‘문자 임모’를 추가하여, 전국 초죽가 지니고 있는 자형의 특징 중의 하나인 붓을 사용함으로써 서체 전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동기적 발생요인이 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9791162446928

주역: 종합편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6)

최남규  | 역락
18,000원  | 20210129  | 9791162446928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박초간≫의 ≪주역周易≫은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三)≫ 중의 한 편이다. 이는 ≪주역≫ 중 가장 이른 판본이기 때문에 ≪주역≫의 문자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역서는 ‘해제편’ㆍ‘고석편(상하)’ㆍ‘전적편’ㆍ‘색인편’과 ‘종합편’ 등 다섯 편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해제편〉에서는 ‘상해박물관 소장 전국초죽서’의 가치와 내용 혹은 초죽서 ≪주역≫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적편〉은 ‘역’이 선진 양한 시기의 전적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대 선인들의 ‘역’에 사상과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색인편〉에서는 초죽서 ≪주역≫의 어휘를 색인식으로 풀이하고, 문자를 전체적으로 색인하였다. 〈종합편〉에서는 앞의 연구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역주의 석문釋文과 우리말 해석’의 내용은 본 역주의 주요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 또한 마지막에 ‘문자 임모’를 추가하여, 전국 초죽가 지니고 있는 자형의 특징 중의 하나인 붓을 사용함으로써 서체 전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동기적 발생요인이 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9791162446874

주역: 해제편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1)

최남규  | 역락
22,500원  | 20210129  | 9791162446874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박초간≫의 ≪주역周易≫은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三)≫ 중의 한 편이다. 이는 ≪주역≫ 중 가장 이른 판본이기 때문에 ≪주역≫의 문자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역서는 ‘해제편’ㆍ‘고석편(상하)’ㆍ‘전적편’ㆍ‘색인편’과 ‘종합편’ 등 다섯 편으로 나누어 소개한다. 〈해제편〉에서는 ‘상해박물관 소장 전국초죽서’의 가치와 내용 혹은 초죽서 ≪주역≫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전적편〉은 ‘역’이 선진 양한 시기의 전적에서 어떻게 묘사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고대 선인들의 ‘역’에 사상과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색인편〉에서는 초죽서 ≪주역≫의 어휘를 색인식으로 풀이하고, 문자를 전체적으로 색인하였다. 〈종합편〉에서는 앞의 연구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역주의 석문釋文과 우리말 해석’의 내용은 본 역주의 주요 연구 성과이기도 하다. 또한 마지막에 ‘문자 임모’를 추가하여, 전국 초죽가 지니고 있는 자형의 특징 중의 하나인 붓을 사용함으로써 서체 전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동기적 발생요인이 된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9791162446805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역주 세트

최남규  | 역락
225,000원  | 20210305  | 9791162446805
2001년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소개된 이후부터 ≪곽점초간≫ㆍ≪청화간≫과 함께 학계가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당시 상해박물관장이었던 마승원馬承源이 주편하여 2001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모두 아홉 권의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가 세상에 발표되었다. 죽간의 내용은 모두 80여 종에 달하며, 전국戰國 시기의 고적으로 유가儒家ㆍ도가道家ㆍ병가兵家ㆍ잡가雜家 등을 포함하고 있다. 1~6권 ≪상박초간≫ ≪주역周易≫은 ≪상해박물관장전국초죽서(三)≫ 중의 한 편이다. 이는 ≪주역≫ 중 가장 이른 판본이기 때문에 ≪주역≫의 문자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7권은 ≪용성씨容成氏≫, ≪항선恒先≫, ≪팽조彭祖≫, ≪석자군노昔者君老≫를 주역한 것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