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소비의 역사"(으)로 10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0809589

소비의 역사 (지금껏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

설혜심  | 휴머니스트
24,300원  | 20230227  | 9791160809589
지금껏 이런 역사는 없었다 익숙한 물건과 공간에서 역사의 퍼즐을 맞추다!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 혁명, 전쟁, 노동만이 세상을 바꾸었는가? 너무 일상적이어서 하찮고 자질구레해 보이는 ‘소비’를 통해 역사를 읽으면 무엇이 보일까? 일상의 모든 것을 역사학의 주제로 재탄생시키는 설혜심 교수가 지금껏 어떤 역사가도 주목하지 않았던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를 국내에 처음 선보인다. 익숙한 물건과 공간, 그리고 소비라는 행위를 통해 근대 이후 인간의 역사를 가장 내밀하고 다층적으로 분석하며 ‘사람’과 ‘일상’이 생생하게 드러나는 역사를 맛보게 한다.
9791160807165

소비의 역사 (개정판, 리커버:K)

설혜심  | 휴머니스트
0원  | 20211025  | 9791160807165
지금껏 이런 역사는 없었다 익숙한 물건과 공간에서 역사의 퍼즐을 맞추다!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 혁명, 전쟁, 노동만이 세상을 바꾸었는가? 너무 일상적이어서 하찮고 자질구레해 보이는 ‘소비’를 통해 역사를 읽으면 무엇이 보일까? 일상의 모든 것을 역사학의 주제로 재탄생시키는 설혜심 교수가 지금껏 어떤 역사가도 주목하지 않았던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를 국내에 처음 선보인다. 익숙한 물건과 공간, 그리고 소비라는 행위를 통해 근대 이후 인간의 역사를 가장 내밀하고 다층적으로 분석하며 ‘사람’과 ‘일상’이 생생하게 드러나는 역사를 맛보게 한다. 『소비의 역사』는 지금껏 어떤 역사가도 주목하지 않은 익숙한 물건과 공간, 그리고 ‘소비’라는 인간의 행위와 동기를 통해 인간의 역사를 내밀하고 다층적으로 살피며, ‘사람’과 ‘생활’이 생생하게 살아 있는 역사를 들려준다. 근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기본적인 삶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준 상품의 역사는 물론, 약장수와 방문판매, 백화점과 쇼핑몰 같은 근대적 판매 방식과 공간의 역사도 함께 살피며, 제국주의의 영향을 받은 상품이나 불매운동 같은 행위를 통해 ‘소비’의 이면에 숨겨진 저항과 해방, 연대의 장구한 역사를 마주한다. 이 책에 실린 눈을 사로잡는 200여 컷의 그림과 사진들은 근현대 소비문화의 현장을 더울 실감나게 보여줄 것이다.
9791160800722

소비의 역사 (지금껏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

설혜심  | 휴머니스트
0원  | 20170828  | 9791160800722
지금껏 이런 역사는 없었다 익숙한 물건과 공간에서 역사의 퍼즐을 맞추다!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 혁명, 전쟁, 노동만이 세상을 바꾸었는가? 너무 일상적이어서 하찮고 자질구레해 보이는 ‘소비’를 통해 역사를 읽으면 무엇이 보일까? 일상의 모든 것을 역사학의 주제로 재탄생시키는 설혜심 교수가 지금껏 어떤 역사가도 주목하지 않았던 ‘소비하는 인간’의 역사를 국내에 처음 선보인다. 익숙한 물건과 공간, 그리고 소비라는 행위를 통해 근대 이후 인간의 역사를 가장 내밀하고 다층적으로 분석하며 ‘사람’과 ‘일상’이 생생하게 드러나는 역사를 맛보게 한다.
9788999734922

신라시대 불교교육사 (불교적 지(知)의 유통과 변용, 그리고 소비의 역사)

안경식  | 학지사
20,700원  | 20250820  | 9788999734922
신라시대를 ‘불교적 지식의 유통·변용·소비’라는 렌즈로 새롭게 읽어내는 불교교육사 탐구서이다. 대만 정토불교 문화 체험에서 출발해, 귀국 후 30년간 축적한 신라 불교교육 연구를 한 권에 응축했다. 『삼국유사』를 구술문명의 관점으로 재해석하며, “교육사가 학교사”라는 통념을 뒤집는다. 붓다를 ‘최초의 교육자’로 보고, 번역·강설·독송·필사로 이어진 지식 유통의 거대한 흐름을 추적한다. 원효와 학승, 왕실의 강회 문화까지—신라의 ‘현지화’ 성공이 오늘 우리의 배움과 문화에 남긴 의미를 밝혀내고 있다.
9788942390434

설탕, 근대의 혁명 (한국 설탕산업과 소비의 역사)

이은희  | 지식산업사
21,600원  | 20180416  | 9788942390434
‘설탕’으로 풀어낸 최초의 한국 식생활문화사 한국의 설탕산업과 소비 문화를 근대화, 세계화, 자본주의화 과정 속에서 고찰한 최초의 연구가 출간되었다. 한국은 개항한 지 고작 130여 년 만에 세계적인 설탕 소비국이 되었으며, 특히 한국 제당업은 기간산업으로서 해방 뒤 한국 경제발전을 이끈 산업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설탕을 주제로 삼아 한국 근현대사를 본격적으로 파고든 연구는 거의 없고, 부분적으로 다룰 때도 생산, 유통, 소비를 따로따로 살폈다. 지은이는 전근대 관찬자료와 시대별 공문서, 통계자료, 신문·잡지, 교과서와 개별 기업의 사사(社史)까지 아우르며 설탕을 매개로 삼아 무역구조와 국가정책, 소비자의 입맛이 어떻게 긴밀하게 연관되면서 우리 식생활양식 전반을 바꾸어 놓았는지 총체적으로 조명했다. 설탕에 녹아 있는 근대사의 씁쓸함 지은이는 시대상황에 따라 모순되게 변해 온 설탕의 사회적 위상이 민족·지역·빈부·계급·성차별 등의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일례로 일본 제당자본의 조선 진출 시기 상류 식자층이 무분별하게 설탕 문명화담론을 수용하면서 정제당(백설탕)은 문명·위생의 상징이자 “영양의 보고”로서 소비가 적극 권장되었고, 설탕이 들어간 과자·아이스케키 같은 식품이 대유행했다. 그러나 물자 부족으로 설탕 소비를 줄이고자 한 전시 통제경제정책 아래에서는 “혈액을 산독화(散毒化)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을 감퇴시키며… 뼈가 가늘어져 부러지기 쉽고, 충치를 생기게 하는” 해로운 식품이라고 가르쳤다는 것이다. 정부, 제당업자, 소비자의 입맛이 견인한 설탕산업 해방 직전 일제가 설탕 소비를 거의 금지하다시피 했음에도 한번 단맛을 선호하도록 바뀐 입맛은 쉽게 변하지 않았다. 지은이에 따르면 해방 이후 설탕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이끈 주요인은 다름아닌 해방 이전 이미 형성되어 있던 ‘단맛에 대한 수요’다. 기존의 학설처럼 원조된 잉여농산물을 기반으로 삼백산업이 성장한 것이 아니라, 증가한 설탕 소비로 인한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자 정부가 국내 제당업을 우선적으로 육성했다는 것이다(수입대체화). 또한 해방 이후 한국 시장이 미국(쿠바산) 설탕 시장으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정부가 한국 제당업자들에게 배타적 수입자격을 부여하고 환율을 우대하는 특혜(“은폐보조”)를 주었음을 날카롭게 짚어 낸다. 일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설탕의 흔적 우리 식생활문화는 ‘설탕을 먹게/먹지 않게 만들어진 역사’로 말미암아 완전히 뒤바뀐 채 남아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센베이 같은 ‘옛날과자’나 옥춘당도 전통식품이 아니고, 번데기·정어리 등도 원래 거의 먹지 않던 것을 달게 조리하여 대중적인 식재료로 개발한 것이다. 설탕이 가미된 신식 요리법을 익힌 여성은 가정에서 ‘근대 주부’라는 독립된 정체성을 확보하였다. 반면에 이로 인해 구세대와 마찰이 발생하며 ‘신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기도 했다. 이 책은 이처럼 한국인이 언제부터, 어떻게, 왜 설탕을 먹게 되었는지를 통해 근대 한국인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구현해 낸다. 따라서 독자들은 세계사적 흐름 속에서 우리의 일상이 바뀌어 온 과정을 흥미롭고도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9788977237858

관광자원 소비 트렌드의 역사문화적 변화 (시공간 소비의 관광학적 이해)

민웅기  | 기문사
12,870원  | 20180226  | 9788977237858
▶ 이 책은 관광자원 소비 트렌드의 역사문화적 변화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관광자원 소비 트렌드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91192988900

소비의 한국사 (우리는 무엇을 먹고 마시고 탐닉했나)

김동주, 김재원, 박우현, 이휘현, 주동빈  | 서해문집
18,900원  | 20240920  | 9791192988900
일상을 지탱하는 생필품 구매에서 욕망을 파고드는 중독적 소비까지 근현대사 속에서 살펴본 소비하는 한국인의 일상과 욕망 젊은 역사학들이 보여 주는 색다른 한국사! 쌀·물·라면·커피·부동산·가전제품·술 생존에 꼭 필요한 생필품부터 사회 변화에 따라 일상적 소비재가 된 것들까지 오늘날엔 쌀밥을 먹지 못해 굶주리는 사람이 거의 없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밥 굶던 시절을 이야기한다. 책의 첫 장〈밥 없이는 못 살아, 정말 못 살아〉에선 ‘밥 없이 살 수 없는’ 한국인들의 쌀밥을 향한 유별난 애정을 살피고, ‘가족과 함께 흰 쌀밥을 먹고 싶다’는 열망이 한 시대를 이끈 동력이었다고 말한다. 쌀에 이어 〈물의 무게와 소비, 물장수부터 생수 배달까지〉에서는 물장수에게 물을 사 먹던 시절부터, 수돗물을 처음 이용하게 된 일제시기를 거쳐, 생수를 집 앞까지 배송해 먹는 현재까지 한국인의 물 이용 역사를 들여다보며 ‘물장수’와 ‘생수 배송’ 사이, 세기를 넘어서는 기시감을 이야기한다. 〈라면 시장의 맞수, 삼양식품과 농심의 혈투〉는 탄생 이후부터 현재까지 각광받는 음식인 라면의 역사를 다룬다. 특히 라면 산업의 양대 산맥인 삼양식품과 농심의 라면 개발부터, 라면으로 인한 기업의 흥망성쇠까지를 아우르며 한국 현대사를 살펴본다. 밥과 물, 그리고 라면을 먹은 뒤 누구나 손쉽게 접하는 커피를 현대사 속에서 살펴본〈‘누구나’를 위한 ‘같은 맛’의 한 잔〉이 이어진다. 미군 부대에서 몰래 빼돌려 먹던 커피가 커피믹스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통해 커피가 어떻게 현대 한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먹거리가 되었는지를 흥미롭게 보여 준다. ‘주소를 소비하는 사람들’이라는 부제가 붙은 〈당신이 꿈꿔 온 강남의 탄생〉은 중요한 소비재이자 투자처가 된 ‘집’ 소비의 역사를 정리해 본다. 그중에서도 강남으로 대표되는 신도시 개발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현대 한국인의 욕망을 파헤친다. 집을 소유하게 되면 가장 먼저 소비하게 되는 물건이 가전제품일 것이다. 〈마, 느그 집에 냉장고 있나?〉는 냉장고, TV, 세탁기, 청소기 등 현대인의 필수 가전제품이 어떤 과정과 욕망을 배경 삼아 소비되었는지를 이야기한다. 〈우리는 취하고 싶다〉는 밥과 물, 라면과 커피에 이어서 또 다른 먹을거리로서 술을 다룬다. 일반적이지 않은 소비재로서 술이 어떤 이유로 한국인들의 정서적 목마름을 해소해 주고, 현대사와 함께해 왔는지를 뜯어본다.
9791194413028

소비의 한국사(큰글자도서) (우리는 무엇을 먹고 마시고 탐닉했나)

김동주, 김재원, 박우현, 이휘현, 주동빈  | 서해문집
38,000원  | 20241110  | 9791194413028
일상을 지탱하는 생필품 구매에서 욕망을 파고드는 중독적 소비까지 근현대사 속에서 살펴본 소비하는 한국인의 일상과 욕망 젊은 역사학들이 보여 주는 색다른 한국사!
9788949967936

동유라시아 물품 생산, 유통, 소비의 궤적

이승호, 김현선, 권기석(權奇奭), 김병모, 이완석(李琓碩)  | 경인문화사
22,500원  | 20240325  | 9788949967936
동유라시아 물품학의 ‘국제성’ 본서는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이 주관하는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의 세 번째 연구총서이다. 동유라시아 세계에 속한 어느 국가나 지역에서도 보편적인 사용 가치를 갖는 물품이 우선적으로 국제적인 관점에서 고찰할 만한 대상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본서는 그런 물품들에 대한 협동 연구를 추진한 결과물이다. 1부는 ‘생산과 소비’에 대해서, 2부는 ‘교류와 유통’에 대해서 다루었다. 동유라시아에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은 여러 물품의 생산과 소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먼저 살펴본 뒤, 국제 교역의 대상이 된 물품의 유통을 놓고 벌어진 다양한 교류의 역사를 검토하는 기획이다. 그런 가운데 물품을 생산·유통·소비하는 주체들 사이의 정치사회적 관계, 물품 수급에 대한 국가권력의 통제, 국제정세 변화에 따른 교역로의 변천, 과도한 물품 추구로 인한 환경적 재난 등, 물품의 역사에서 꼭 짚어야 할 여러 문제를 함께 제시한다.
9788956689685

일본 문화 소비의 이중성 (일본 사회의 한류 문화)

김채현  | 제이앤씨
9,000원  | 20130724  | 9788956689685
본서는 한국 문화산업 중 하나인 ‘한류’를 소비하는 일본 소비자의 입장에 주목하여, 왜 ‘한류’ 현상이 일어났는지, 그들이 ‘한류’를 접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난공불락이라고 생각해 왔던 일본 사회에서 ‘한류’ 현상을 만들어 낸 중장년 여성들에게 대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이와 같은 관점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사회현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