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소학언해"(으)로 6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74170248

소학언해

경서교정청  | 한국학자료원
225,000원  | 20250720  | 9791174170248
교정청에서 『소학』에 토를 달고 풀이하여 1587년에 간행한 언해서. 중종 때에 『번역소학(飜譯小學)』이 처음 간행되었으나, 번역이 의역(意譯)되어 있어서, 선조 때에 이를 비판하고 직역(直譯)을 원칙으로 간행한 것이 『소학언해』로, 교정청(校正廳)에서 간행하였다. 현재 내사본(內賜本) 완질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 간직되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책 첫머리에 「범례」가 있고, 끝에 이산해(李山海)의 발문과 간행에 관여한 관원의 명단이 붙어 있어 편찬 간행에 관한 자세한 사정을 알 수 있다. 발문은 1587년(선조 20) 4월로 되어 있고, 내사기(內賜記)는 이듬해 1월로 되어 있다. 이 교정청본의 복각본(覆刻本)이 임진 전후에 몇 차례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1985년에 대제각에서 『국어국문학총림 12』로 『노걸대』·『박통사』·『사성통해』와 함께 영인하였고, 1990년 학문사에서 영인한 바 있으며, 도산서원 소장본은 1991년 단국대학교 퇴계학연구소에서 퇴계학연구총서 제1집으로 영인하였다. 서지적 사항 6권 4책. 활자본.
9788982758263

역주 소학언해 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0원  | 20120430  | 9788982758263
『역주 소학언해』제6권. 이 역주는 의 저본으로, 도산서원본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영인하여 부록으로 실었다. 이 책의 편집 내용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 '한자 구결문, 언해 원문, 현대어 풀이, 옛말과 용어 주해'의 차례로 조판하였다. 우리 겨레의 얼이 스며있는 옛 문헌의 접근을 꺼리는 젊은 학도들에게 중세국어 국문학 연구 및 우리말 발달사 연구 등에 관심을 가질 기회를 전해주며 주체성 있는 겨레 문화를 이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
9788982758256

역주 소학언해 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0원  | 20120430  | 9788982758256
『역주 소학언해』제5권. 이 역주는 의 저본으로, 도산서원본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영인하여 부록으로 실었다. 이 책의 편집 내용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 '한자 구결문, 언해 원문, 현대어 풀이, 옛말과 용어 주해'의 차례로 조판하였다. 우리 겨레의 얼이 스며있는 옛 문헌의 접근을 꺼리는 젊은 학도들에게 중세국어 국문학 연구 및 우리말 발달사 연구 등에 관심을 가질 기회를 전해주며 주체성 있는 겨레 문화를 이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
9788982757983

소학 언해 3 4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5,000원  | 20110810  | 9788982757983
이 책은 일반 독자층을 대상으로 한 책으로, 전문적인 내용을 비전공인 일반 독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쓴 교양 도서이다.
9788982757976

소학언해 권1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집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0원  | 20110520  | 9788982757976
역주『소학언해 권1·2』. 이 역주는 의 저본으로 , 도산서원본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영인하여 부록으로 실었다. 이 책의 편집 내용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 '한자 구결문, 언해 원문, 현대어 풀이, 옛말과 용어 주해'의 차례로 조판하였다.
9791186402078

번역소학과 소학언해 연구

조현진  | 박이정
0원  | 20150227  | 9791186402078
이 책은 [번역소학]과 [소학언해]의 현전하는 전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번역 양상에서 대비되는 두 문헌의 모든 자료를 추출하여 집대성한 것이다. 두 문헌의 대비되는 번역 양상의 유형을 의역과 직역, 어휘적 차이, 번역되지 않는 부분, 번역 순서의 차이로 나누어 고찰하였으며, 번역 양상의 자료를 제시할 때는 동일 원문의 한자를 음절 수와 16세기 당시 한자음의 가나다순의 배열을 고려하여 차례대로 제시하였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