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실담"(으)로 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62471685

실담범자반야심경

법헌  | 학자원
22,500원  | 20200331  | 9791162471685
『실담범자반야심경』은 〈실담범자 반야심경 원서〉, 〈실담범자 반야심경 한글〉, 〈실담범자 반야심경 원서ㆍ한글ㆍ로마자〉, 〈실담범자반야심경 범본 문장〉 등 수록되어 있다.
9788957466209

광명진언 범어 실담자 사경

법헌  | 운주사
8,100원  | 20201005  | 9788957466209
‘광명진언’은 오랜 세월 신구의身口意로 지어온 업장을 소멸하는 공덕을 지닌 진언으로, 원효대사도 그 공덕을 찬탄하여 이 진언이 귀에 스치기만 하여도 ‘모든 죄의 장애가 소멸된다’고 하였다. 이로 인해 예로부터 많은 불자들이 이 광명진언을 독송하거나 사경해 왔는데, 이번에 오랫동안 실담자 연구와 복원에 힘쓰고 있는 법헌 스님이 이를 베껴 사경할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 범어梵語는 고대 인도의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를 지칭하는 한자어로, 범천이 만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혹은 브라만이 사용하는 말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실담悉曇은 범어를 표기하는 인도 고전 문자 중 하나로, 불교 경전과 함께 중국에 전해지면서 실담자라 불리게 되었다. 중국, 한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에서 주로 의식, 진언(다라니) 등에 쓰이고 있으며, 당시의 원형 그대로 전해지고 있어서 그 의미가 크다.
9791187806790

연경재 성해응의 난실담총

성해응  | 학자원
37,600원  | 20171020  | 9791187806790
연경재 성해응의 《난실담총》은 조선후기 실학파 계열의 문인이자 학자인 성해응(成海應, 1760~1839)이 편찬하였다. ‘난실(蘭室)’은 성해응의 호(號)이고, 담총(譚叢)이란 이야기를 모아놓았다는 의미이다. 이 저작은 박문(博文)을 추구한 성해응의 학문 성향과 일맥 통하는 면이 있다. 《난실담총》은 문인학자들이 가볍게 쓴 문인적 산필(散筆)로 여겨지기 쉽다. 하지만 그 안에는 현재의 연구자들이 학술적으로 가치 있다고 판단하는 중요한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게다가 기이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심심치 않게 수록되어 있어 읽는 재미를 느끼게 해준다. 또한 역사적인 사실이나 비하인드 스토리 등을 쉽게 알 수 있는 이야기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장점도 있다.
9788998938215

실담자기역해 중국 당대 실담자모의 음운론 (중국 당대 실담자모의 음운론)

지광  | 올리브그린
16,200원  | 20171206  | 9788998938215
▶ 실담자기역해 중국 당대 실담자모의 음운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91160160048

광명진언 범어 실담자 사경집 (절대긍정의 묘약 비로자나불 광명진언)

법헌스님  | 비움과소통
15,000원  | 20160826  | 9791160160048
『광명진언 범어 실담자 사경집』은 범어 실담자로 된 광명진언을 100일 동안 두 페이지씩 사경할 수 있도록 편집이 되어 있다. 이 범어 실담자는 인도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처 중국에 경전 및 진언, 다라니, 주 등이 전파되면서도 글자의 형태가 크게 변형되지 않고 원형에 가깝게 보존되면서 전하여지므로 원음대로 독송만 하여도 부처님의 가피가 있다고 하는데, 사경까지 한다면 그 가피력은 대단히 크다고 전하여지고 있다.
9791160160055

신묘장구대다라니 범어 실담자 사경집

법헌스님  | 비움과소통
0원  | 20160826  | 9791160160055
『신묘장구대다라니 범어 실담자 사경집』은 대비주 수행자를 위한 신묘장구대다라니 사경집이다. 일반 불자나 대비주수행 초보자들이 사경을 하며 다라니를 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경의 공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모두 100회를 사경하도록 해서 100일 기도를 봉행하는 불자들이 매일 1회씩 대비주를 사경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9788957466193

신묘장구대다라니: 범어 실담자 사경 1

법헌  | 운주사
8,100원  | 20201005  | 9788957466193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의식에서 필수적으로 염송하는 ?천수경?의 핵심이 되는 진언으로, 관세음보살에 귀의하고 찬탄, 기원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천수다라니’, ‘대비주’라고도 한다. 이 다라니를 독송하거나 사경하면 관세음보살의 가피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예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들이 독송, 사경해 왔다. 이 책은 오랫동안 실담자 연구와 복원에 힘쓰고 있는 법헌 스님이 신묘장구대다라니를 범어 실담자로 베껴 사경할 수 있도록 편집한 것으로, 망월사본 ?진언집?을 저본으로 하였으며, 띄어쓰기는 현재 독송, 유통되는 것들을 참조하였다. 범어梵語는 고대 인도의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를 지칭하는 한자어로, 범천이 만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혹은 브라만이 사용하는 말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실담悉曇은 범어를 표기하는 인도 고전 문자 중 하나로, 불교 경전과 함께 중국에 전해지면서 실담자라 불리게 되었다. 중국, 한국, 일본 등의 동아시아에서 주로 의식, 진언(다라니) 등에 쓰이고 있으며, 당시의 원형 그대로 전해지고 있어서 그 의미가 크다. 또한 이렇게 실담자(범어)로 전해지는 진언(다라니)은 예로부터 오종불번五種不飜, 즉 그 의미를 번역하지 않는 다섯 가지 중의 하나로 여겨 번역하지 않았다. 실담자 쓰는 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하여 「범어 실담자 쓰는 법」을 수록하였으며, 미리 연습한 후에 사경에 임한다면 보다 수월하게 쓸 수 있을 것이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