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전공자율선택제의 이해와 실천
이석열, 최현준, 김누리, 신재영, 오세원 | 학지사
21,600원 | 20250305 | 9788999733819
가능성을 설계하다, 전공 선택의 새로운 기준!
10인의 전문가가 만든 전공자율선택제 안내서
대학 입시 제도와 고등교육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전공자율선택제’가 대학 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 떠오르고 있다. 입학과 동시에 전공을 정하던 기존 방식과는 달리 전공자율선택제는 새로운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기술 발전과 산업 구조 재편이 가속화되는 시대에, 학생이 다양한 분야를 경험한 뒤 스스로 전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유연한 교육 방식이다.
『대학 전공자율선택제의 이해와 실천』은 이런 변화 속에서 대학들이 나아갈 길을 함께 고민하고 설계해 볼 수 있도록 돕는 책이다. 전공자율선택제를 준비하거나 운영 중인 대학 관계자에게 실질적인 내용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제도가 낯설게 느껴지는 학부모와 학생들도 그 취지와 방식,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실제 사례와 함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학생은 다양한 전공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역량을 발견하고, 실습 중심 수업과 진로 상담을 통해 스스로 진로를 그려갈 수 있다. 학부모는 이 제도가 단순히 전공 결정을 늦추는 것이 아니라, 자녀가 더욱 넓은 가능성 속에서 방향을 찾아갈 수 있게 돕는 기회임을 확인하게 된다.
책에서는 제도의 배경과 추진 이유는 물론, 각 대학에서 실제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학생들을 어떤 방식으로 지원하고 성과를 어떻게 점검하고 있는지를 폭넓게 다룬다. 특히 전공 선택을 뒤로 미루는 것이 ‘시간 끌기’가 아니라, 학생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나아갈 길을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게 하는 교육적 장치임을 다양한 사례와 수치를 통해 설명한다.
이 책의 가장 큰 강점은 대학 현장의 경험이 녹아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전공자율선택제를 도입하고 운영해 온 교수들과 행정 실무자들이 참여해, 제도를 적용하면서 마주쳤던 어려움과 그에 대한 해결책을 생생하게 담았다.
참여한 집필진으로는 고등교육 정책과 학사 운영에 정통한 전문가 10인 이석열 교수(남서울대), 김누리 교수(목포대), 신재영 센터장(중앙대), 오세원 센터장(숭실대), 육진경 교수(루터대), 이영학 교수(동의대), 이인서 교수(한라대), 이종일 학사지원팀장(서울여대), 이훈병 교수(안양대), 최현준 교수(목포해양대)가 이름을 올렸다.
『대학 전공자율선택제의 이해와 실천』은 전공자율선택제를 새로 도입하려는 대학에는 준비 과정과 운영 방향을, 이미 시행 중인 대학에는 점검과 개선에 도움이 될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전공 선택 방식의 전환을 고민하는 모든 대학 관계자와 교육자, 그리고 자녀의 진로를 함께 걱정하는 부모에게도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