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이어도"(으)로 5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1745191

북한의 섬 1: 함경북도, 함경남도, 황해남도

이재언  | 이어도
25,200원  | 20230630  | 9791191745191
문명 혜택 못 받고 평생 근무… 북한의 섬은 어떤 모습일까? 섬 전문가 이재언 ⌜북한의 섬⌟(전 2권) 출간 북한 지역 1,045개 섬 중 128개 유인도 다뤄 섬은 고립되어 있는 지리적 특수성 때문에 민족 문화의 원형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460여 개의 유인도가 있지만 고령화와 이촌향도 등으로 무인도화되고 육지와 가까운 곳은 연륙이 되면서 섬의 문화 원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는 곳이 있다. 바로 북한의 섬이다. 북한에는 1,045개의 섬이 있고, 그중 128개는 유인도다. 이러한 북한의 섬을 조명한 책이 30일 출간됐다. 섬 탐험가 이재언 소장(광운대학교 해양섬정보연구소)이 쓴 ⌜북한의 섬⌟(전 2권) 이다. 이 소장은 우리나라 최고의 섬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1991년, 섬을 연구하는 사람이 거의 없던 시절, 우리나라 446개 유인도를 탐사하고 사회, 문화, 지리, 생태 등을 집대성한 ⌜한국의 섬⌟ 시리즈 (전 13권)을 펴냈다. 그는 북한의 섬에 대해서도 집필해보라는 주변의 권유를 받았지만 북한 지역 섬은 탐사는 물론이고 단순 방문조차 불가능해 포기했었다. 그러던 중 2021년 6월 「한국의 섬⌟ 시리즈 2쇄가 나온 것을 계기로, 우리나라 고구려사 연구의 대가(大家) 서길수 교수의 권유에 힘입어 다시 펜을 들고 자료를 뒤져가며 집필을 시작했다. ⌜북한의 섬⌟은 그렇게 꼬박 2년 가까이 매달린 산물이다. 난관도 많았다. 부족한 정보는 선각자들의 기록을 빌려왔고, 현장 답사의 한계는 국토정보지리원과 구글 위성 사진의 도움을 받았다. 또 북한에서 나온 ‘북한의 지리’와 평화문제연구소의 ‘북한 향토대백과 사전’ 20권과 국방부에서 출간한 ‘한국전쟁의 유격 전사’라는 책도 많은 참고가 됐다. 그리고 통일부 자료센터의 자료를 제공받았다. 북한과 가장 가까운 압록강과 두만강을 유역을 답사하며 자료를 모으고 이북5도 위원회를 통해 실향민들로부터 고향의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그렇게 북한지역 섬의 역사, 문화, 인문, 사회, 생태 등의 자료를 모았다. 이 소장의 눈에 비친 북한의 섬은 어떤 모습일까? 남한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이 소장은 “등대지기나 교사가 평생 한 섬에서 근무하는 것이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전교생이 몇 명뿐인 분교에서 평생을 근무하면서 헌신해온 교사가 있는가 하면, 자녀 2~3명을 데리고 20~30년 동안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작은 섬의 등대지기도 있었다. 문명의 이기에 길들여진 현대 사회에서 찾아보기 힘든 현상이 북한에는 아직 남아 있던 것. 생태와 환경도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는 곳이 많다. 황해남도 룡연군의 몽금도는 서해 최고의 경관을 자랑하는 몽금포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북한의 천연기념물인 오차바위(제141호), 코끼리바위(제143호) 등 절경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퇴적 작용으로 연륙이 돼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섬이다. 이 소장은 “교류가 활성화되고 꼭 가보고 싶은 섬”이라며 이곳을 설명했다. 저자 이재언 연구원은 “직접 모든 섬을 답사한 ⌜한국의 섬⌟시리즈와 달리 답사가 불가능한 ⌜북한의 섬⌟은 문헌 자료에 크게 의존했다”며 한계를 인정하면서 “학문적 연구서가 아닌 서사적인 역사 문화적 사료로 봐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또“최초로 시도되는 북한의 섬 연구를 통해 남북한 공동체에 대한 학술과 문화의 지평이 확대되기를 기대하며, 오늘도 고향 땅을 그리워하고 있을 수많은 실향민에게 작은 위안이 되기를 소망한다”고 바람을 전했다.
9791191745207

북한의 섬 2: 강원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이재언  | 이어도
25,200원  | 20230630  | 9791191745207
문명 혜택 못 받고 평생 근무… 북한의 섬은 어떤 모습일까? 섬 전문가 이재언 ⌜북한의 섬⌟(전 2권) 출간 북한 지역 1,045개 섬 중 128개 유인도 다뤄 섬은 고립되어 있는 지리적 특수성 때문에 민족 문화의 원형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460여 개의 유인도가 있지만 고령화와 이촌향도 등으로 무인도화되고 육지와 가까운 곳은 연륙이 되면서 섬의 문화 원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는 곳이 있다. 바로 북한의 섬이다. 북한에는 1,045개의 섬이 있고, 그중 128개는 유인도다. 이러한 북한의 섬을 조명한 책이 30일 출간됐다. 섬 탐험가 이재언 소장(광운대학교 해양섬정보연구소)이 쓴 ⌜북한의 섬⌟(전 2권) 이다. 이 소장은 우리나라 최고의 섬 전문가로 꼽힌다. 그는 1991년, 섬을 연구하는 사람이 거의 없던 시절, 우리나라 446개 유인도를 탐사하고 사회, 문화, 지리, 생태 등을 집대성한 ⌜한국의 섬⌟ 시리즈 (전 13권)을 펴냈다. 그는 북한의 섬에 대해서도 집필해보라는 주변의 권유를 받았지만 북한 지역 섬은 탐사는 물론이고 단순 방문조차 불가능해 포기했었다. 그러던 중 2021년 6월 「한국의 섬⌟ 시리즈 2쇄가 나온 것을 계기로, 우리나라 고구려사 연구의 대가(大家) 서길수 교수의 권유에 힘입어 다시 펜을 들고 자료를 뒤져가며 집필을 시작했다. ⌜북한의 섬⌟은 그렇게 꼬박 2년 가까이 매달린 산물이다. 난관도 많았다. 부족한 정보는 선각자들의 기록을 빌려왔고, 현장 답사의 한계는 국토정보지리원과 구글 위성 사진의 도움을 받았다. 또 북한에서 나온 ‘북한의 지리’와 평화문제연구소의 ‘북한 향토대백과 사전’ 20권과 국방부에서 출간한 ‘한국전쟁의 유격 전사’라는 책도 많은 참고가 됐다. 그리고 통일부 자료센터의 자료를 제공받았다. 북한과 가장 가까운 압록강과 두만강을 유역을 답사하며 자료를 모으고 이북5도 위원회를 통해 실향민들로부터 고향의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그렇게 북한지역 섬의 역사, 문화, 인문, 사회, 생태 등의 자료를 모았다. 이 소장의 눈에 비친 북한의 섬은 어떤 모습일까? 남한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이 소장은 “등대지기나 교사가 평생 한 섬에서 근무하는 것이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전교생이 몇 명뿐인 분교에서 평생을 근무하면서 헌신해온 교사가 있는가 하면, 자녀 2~3명을 데리고 20~30년 동안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작은 섬의 등대지기도 있었다. 문명의 이기에 길들여진 현대 사회에서 찾아보기 힘든 현상이 북한에는 아직 남아 있던 것. 생태와 환경도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는 곳이 많다. 황해남도 룡연군의 몽금도는 서해 최고의 경관을 자랑하는 몽금포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북한의 천연기념물인 오차바위(제141호), 코끼리바위(제143호) 등 절경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퇴적 작용으로 연륙이 돼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섬이다. 이 소장은 “교류가 활성화되고 꼭 가보고 싶은 섬”이라며 이곳을 설명했다. 저자 이재언 연구원은 “직접 모든 섬을 답사한 ⌜한국의 섬⌟시리즈와 달리 답사가 불가능한 ⌜북한의 섬⌟은 문헌 자료에 크게 의존했다”며 한계를 인정하면서 “학문적 연구서가 아닌 서사적인 역사 문화적 사료로 봐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또“최초로 시도되는 북한의 섬 연구를 통해 남북한 공동체에 대한 학술과 문화의 지평이 확대되기를 기대하며, 오늘도 고향 땅을 그리워하고 있을 수많은 실향민에게 작은 위안이 되기를 소망한다”고 바람을 전했다.
9791197438288

한국의 섬: 전라북도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7438288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71

한국의 섬: 여수시ㆍ광양시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7438271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57

한국의 섬: 진도군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7438257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1745023

한국의 섬: 인천시ㆍ경기도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1745023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1745009

한국의 섬: 경상남도ㆍ부산시ㆍ경상북도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1745009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1745016

한국의 섬: 충청남도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1745016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64

한국의 섬: 완도군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7438264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1745030

한국의 섬: 제주도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1745030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95

한국의 섬: 통영시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615  | 9791197438295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19

한국의 섬: 신안군 1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430  | 9791197438219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거문도, 흑산도, 가거도, 보길도, 청산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26

한국의 섬: 신안군 2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430  | 9791197438226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40

한국의 섬: 강진군ㆍ고흥군ㆍ보성군ㆍ장흥군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430  | 9791197438240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9791197438233

한국의 섬: 목포시ㆍ무안군ㆍ영광군ㆍ해남군ㆍ영암군

이재언  | 이어도
22,500원  | 20210430  | 9791197438233
1. 이 책의 집필 과정 2015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의 섬’ 시리즈 13권이 우여 곡절 끝에 세상에 나왔다. 2021년 6월 2쇄 (13,800권)가 출판되면서 먼저 독자 여러분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한다. 이 책이 만들어지기 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뒤 따랐다. 1990년 여름 등대1호를 타고서 완도군 노화도 주위의 14개 무교회 섬을 다니면서 선교와 복지 사업을 하던 중에 섬의 매력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1992년 12월 국내 최초로 전국 446개 섬을 탐사하기 위하여 진도군 조도군도에서 8일 동안 머물렀다. 그 이후에 3년 동안 등대1호와 객선, 개인배 등을 타고 다니면서 전국 446 개 중에서 400여개 섬을 탐사하고 1996년 2월 ‘낙도선교’란 책을 한 권 출간하였다. 이 책은 그동안 섬에 대해 연구되어 온 일반적인 통계자료와 각 섬의 군지, 마을 유래지, 민속지, 섬 책과 섬과 바다에 대한 논문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그 동안 섬 답사 기록물에 대한 소감과 연구한 기록문화이다. 「낙도선교」라는 책을 출간한 이후, 섬마을과 사람에 대한 일반 인문학적인 내용을 더하고자 등대2호를 매입한 다음 2004년 9월부터 본격적인 제2의 섬 탐사를 시작하였다. 이 때 동행한 분은 안익현 선교사였다. 『한국의 섬』 시리즈는 그런 25년 동안의 현지답사와 섬에서 만난 사람들의 입을 통해 듣고 눈으로 보며 느낀 감상과 행정기관에서 갖고 있던 기존의 자료 등을 정리한 것으로, 각 지역별로 나누어 수필집 형태로 구성하였다. 총 13권으로 출간되었다. 그리고 항해일기를 추가하여 이 책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가 그 과정에 대하여 위험과 모험, 도전 정신 등 흥미로운 대목들이 기록되어 있다. 2. 섬의 중요성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로 3400여개의 섬이 있고 유인도서는 446개이다. 섬은 어업의 전진기지이자 자연생태, 관광자원, 문화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보물로서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가치가 크다. 우리 정부에서도 이러한 가치를 알고 2019년, 8월 8일을 ‘섬의 날’로 제정하고 매년 기리고 있다. 또 2021년 8월에는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섬진흥원을 설립해 섬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도록 했다. 이렇게 섬의 중요성이 나날이 강조되는 데도 국민 대다수는 섬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그 배경에는 조선의 공도 정책과 해금정책에 있으며 섬과 바다의 가치를 몰랐기 때문이다. 지금 국내외적으로 섬의 가치가 그 진가를 드러내고 있다. 콜럼버스는 1492년 8월 범선을 타고 대서양을 건너서 신대륙의 섬들인 산살바도르, 쿠바, 아이티, 트리니다드 섬, 히스파니올라 등 많은 섬을 탐험한 다음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돌아오는 중 폭풍으로 손상된 배를 아조레스 섬에서 급하게 수리하였다. 대항해 시대는 지리상의 발견으로 위대한 탐험가들 덕분에 세상의 역사는 바꾸어 졌고, 지구를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어졌다. 탐험가들이 바다를 항해 할 때 반드시 섬들을 활용하였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아주 중요한 섬들이 많다. 말라카, 마카오, 홍콩, 괌도, 하와이, 몰타, 로도, 시칠리아, 크레타, 필리핀군도 등이며 국내는 제주도, 추자도, 거문도, 금오도, 흑산도, 우이도, 가거도, 조도, 보길도, 청산도, 소안도, 위도, 외연도, 백령도, 연평도, 욕지도, 사량도, 울릉도 등이 매우 중요한 섬이다. 대항해 시대와 동력선이 나오기 전까지 섬은 범선 항해의 중간 기착지로, 배 수리, 물 문제 해결, 먹거리 조달, 정보 수집, 고래잡이, 휴식 등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재는 해군기지, 공군기지, 어항 역할을 한다. 현재의 우리나라 섬은 200해리 기점이며, 지정학적, 전략적, 경제적, 수산자원, 관광자원, 생태학적, 문화 원형, 어업전진기지로 그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