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인보"(으)로 8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90841788

조선서화가인보 (전각. 낙관. 서예. 인장)

한국학자료원 편집부  | 한국학자료원
45,000원  | 20220215  | 9791190841788
印章의 歷史가 시작되는 첫부분은 하늘이 帝王에게 황금인을 전해주었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펼쳐진다. 전설이나 신화가 있었던 사실보다 있을 수 있는 사실에 기초를 두고 전개되는 古代人의 상상력이라면 황금인장의 전설 역시 마찬가지로 동양인의 인장에 대한 관념을 이야기화한 것아라 생각이 된다. 즉 그들은 하늘이 전해준 인장이란 하늘이 그 국가와 제왕을 제가한 것이라고 여긴 것이다. 즉 인장을 하늘의 재가로서 받아들인 것이다. 따라서 인장은 인간의 역사보다도 국가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고, 그런 의미에서 중국의 통일을 이룩하고 절대 권력을 행사하였던 秦시대부터 인장이 쓰였다고 보는 일반적인 견해는 별 무리가 없는 것 같다. 이 견해에 따른다면 중국에서는 BC 300년경에 벌써 인장이 사용되었다는 이야기가 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중기부터 쓰여 졌다고 하니까 우리보다는 약 1∼200년 앞서 사용된 셈이다. 우리나라에서 인장에 대한 기록이 최초로 나타난 것은 「三國史記」로서 그곳에는 국왕이 바뀔 때마다 명당에서 국새인수식이 있었다고 적혀 있다. 또한 「高麗史」 百官志를 보면 印符郞이란 벼슬이 있어、王府의 인장을 맡아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은 기록속에서 우리가 추측할 수 있는 것은 삼국 및 고려기에서의 인장 혹은 국새는 중국에서와 똑같이 왕조의 운명을 상징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장에 대한 인식은 고려중기에 이르면 왕가만이 아니라 개인들에게도 널리 퍼져, 高級官印 이외에도 개인들의 家印, 名人들 의 私印이 많이 있었으며, 인장 재료로서도 木製나 銅製 石製등이 있었고 12,3세기에 이르러 고도로 발달된 청자기술과 함께 청자 인장까지 대두하였다. 이렇게 상류충의 애호속에서 화엄적 요소를 더하여가던 인장은 새로운 사회세력으로 대두한 文人階層의 출현과 더불어 그것의 字刻美와 詩韻을 추구하게 되었다. 특히 書面家들에게서 이 점은 두드러진 현상을 보였다. 書面의 作者를 명시하는 서명구실을 하여오던 인장이 회화의 구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것은 은 일반적으로 11세기의 文人?의 출현으로부터라고 본다. 「面中有詩 詩中有面」라는 蘇東坡의 ?題가 암시하듯이 宋代에는 詩.書.?를 별도의 장르로 이해하기보다는 서로 상보적 관계에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의 보완적 기능이 조화를 이룰 적에 文人들이 추구하는 高孤한 書卷氣가 풍겨나온다고 보았거니와 이러한 문인들의 취향은 書?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인장에도 藝術性의 계발을 요구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紙.筆.墨.現과 함께 文房五友로서 文士들의 귀중한 사랑을 받기에 이른 것이다. 우리가 인장 하면 먼저 東洋?의 여백에 찍혀진 朱印을 떠올리는 것도 거기에 策刻藝術의 진수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며, 그 餘白과 조화를 이루어 東洋精神의 기저인 無의 思想을 잘 드러내 주기 때문이다. 금번에 우리가, 미치지 못하는 힘에도 불구하고 歷代書固家들의 印을 모으려고 기도한 것은 이렇게 民族文化의 흐름 속에서 몸속에서 정기를 뿜고 있는 策刻藝術의 빛을 이어받고, 그것을 올바로 살려나가고자 함에서이다. 어찌 이 어려운 작업에 遺漏가 없을 수 있으랴만, 親刊의 諸印譜들을 底本으로 하고 本社 美術部에서 꾸준히 모은 印들을 보태어 이를 集成한 점만은 작은 意義를 지니리라 믿으며, 그것이 篠刻藝術의 앞날에 한 보탬이 된다 하면 더없는 영광이겠다. 諸賢의 ?正과 親達이 있어서 後日에 이 印集이 보다 完盤을 기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一. 본서(本書)는 시대(時代)순으로 인보(印譜)를 배열하였다 그 방법이 전각예술(篆刻藝術)의 발전과정을 살피고, 독자의 예술양식으로 그 지위를 굳히고 있는 이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높일 수 있으리라는 의도에서였다. 또한 본서(本書)는 전각(篆刻)이 있었던 시간적 위치와 공간적 배경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개개(箇箇) 전각(篆刻)을 사용하였던 서화가(書畵家)의 략(略)전(傳)을 수록하였다. 二. 본서는 필창(筆?) 오세창이 편한 근역인수(槿域印)?) 자하(紫霞) 신위(申緯)와 심암(心庵) 조두순이 모아서 편한 보소당인존 원당인보 등을 저본으로 하고 성지학사에서 오랜 시일에 걸쳐 수집한 인장(印章)들을 보태어 편하였다. 三. 본서는 전각예술의 회화적 기능과 역할(役割)을 아는 보충적 방법으로서 서화사년표를 수록하였다 四. 자호색인과 인명색인을 뒤에 붙였다. 년표순으로 배열된 전각을 찾아보는 데 편리를 돕기 위해서였다. 五 , 본서에는 書名, 引用, 强調, 등을 모두 「 」안에 넣었다. 그것이 혼선을 빚지 않는다면 복잡한 부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리라는 생각에서였다,
9788987095899

조선서화가인보

 | 성지학사
225,000원  | 20110710  | 9788987095899
9788958172109

두문동 칠십이인보

장대열  | 다운샘
8,100원  | 20080429  | 9788958172109
1999년에 시조부문 신인 작가상과 신인상을 수상한 '한가락동인' 장대열의 두 번째 시조집. 첫 번째 작품집 『두문동 문을 열다』의 맥락을 이어, 시인이 그동안 꾸준히 찾아온 고려 말 충신의 흔적들을 자신의 언어 속에서 내비치고 있다. 우리 말에 대한 애착과 소중함을 깨달으며 정통 시조의 형식을 지켜가는 시인의 시조 속에서 사람이 모름지기 지켜야 할 절개와 의리, 그리고 진정한 삶의 방향에 대한 탐구와 깨달음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9788986353662

한국 문학인 인보 (작가및 작품집)

이재인  | 미술문화
0원  | 20010510  | 9788986353662
문인들의 도장을 통해 우리의 전각 예술을 보여준다. 우리가 인장들을 사용해 왔고 이런 예술품이 있었다는 것은 하나의 예술사이며 또한 문화사이기도 하 다. 시인 박목월, 소설가 오영수 등의 인장을 볼 수 있다. 편저자 이재인은 소설 가이자 한국문인 인장박물관장이다. 인간의 속성은 무엇인가 남기고 싶어한다. 그래서 글을 쓰고 글씨를 썼다. 갑골 에 문자를 새겼고 금석에 형상화했다. 나무에다 표현한 것 또한 예외가 아니 다. 이러한 활동이 지속되어 오다가 자연 관직이나 자신의 신표를 증명하는 인 장이 필요했던 ...
6000766563

보인소의궤 寶印所儀軌. 인보. 낙관. 도장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서각  | 학연문화사
0원  | 19940930  | 6000766563
보인소의궤 寶印所儀軌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서각.학연문화사 2004.9.30 크기 21×30㎝ 192페이지 정가 50,000원(희귀본) 책 소 개 1876년(고종 13)에 궁중의 보(寶)와 인(印)을 개주(改鑄)·개조(改造)·수보(修補)하고 후세에 참고하도록 그 일의 경과나 경비 등을 적은 책. 국왕 및 왕세자의 인장을 의미하는 보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보인소의궤의 영인본과 그에 대한 해설 논문을 수록한 책. 보인소의궤는 보인의 제작과정, 제작에 필요한 물품과 경비, 각 부서의 역할, 소요 기간, 제작 인원, 보전에 이르기까지 보인 제작의 시말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조선시대의 중요 역사자료이다. 이 책은 조선말기에 기록된 보인소의궤의 영인본과 함께 보인의 개념과 종류, 조선시대 보인의 제도, 용도, 제작에 대해 분석한 연구 논문을 담았다. 목차 *보인소의궤 영인본 *조선시대의 보인(논문) 1.머리말 2.보인의 개념과 종류 1)개념 2)종류 3.보인의 제도 4.보인의 용도 5.보인의 제작 6.맺음말
9791195260812

허약사의 지구별 아바타 사용설명서 새기기: 도덕경인보 (도덕경 인보, 도와 덕을 찾아 떠난 여행)

허규  | 동서교류
19,800원  | 20141214  | 9791195260812
책의 제목부터가 심상치 않다. 단순해 보이지 않는 이 책의 제목은 저자인 허규, 허약사가 60평생을 살아 오면서 느낀 삶의 여러 모습들을 도덕경이라는 책을 읽으며 그 느낌을 전각으로 새기면서 만들어진 독특한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 복잡다난한 우리 인생살이에서 성공한 여러 사람들을 지구별에서 멋지게 살아 남는 방법을 체득한 사람들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그들이 살아남은 방법, 즉 그들의 사고방식이나 철학, 생활방식, 행동 등을 따라하는 것이 결국은 우리가 이 지구에서 잘 사는 유일한 길 즉 게임규칙을 배워 게임오버를 시키는 길이니 우리 또한 그 길을 걸어가자고 제안한다. 물론 이 지구별에서 놀라운 게임 방법을 개발하고, 게임오버를 시킨 사람들은 많이 있었다. 그 중에서 저자는 도덕경과 저자인 노자를 선택해 읽고 배우며 고심한 흔적을 여기 진열해 놓았다.
6000552693

조선서화가인보 朝鮮書畵家印譜 - 전각. 낙관. 서예. 인장 -

 | 알라딘(디폴트)
0원  | 20110710  | 6000552693
조선서화가인보 朝鮮書畵家印譜  성지학사간 168페이지 2011,7,10. 크기26×38㎝넓은책 정가25만원(희귀본-새책) 주문시 재고 문의 010-5631-0181 본서는 위창 오세창이 편한 「근역인수」, 자하 신위와 심암 조두순이 모아서 편한 「보소당 인존」, 「완당인보」등을 底本으로 하고 성지학 사에서 오랜 시일에 걸쳐 수집한 인장들을 보태어 편하였다. 목 차 1. 조선서화가 인보 2. 조선서화사 연표 3. 서화가 자호 및 인명색인 사진 여러장 보기-위 사진을 클릭하면 바뀐화면 오른쪽 위 미리보기 밑에 이미지뷰어를 클릭하면 여러장의 이미지 를 보실 수 있습니다.      
6000767400

중국새인전각전집 中國璽印篆刻全集(전4권) . 옥새. 인보. 낙관

 | 알라딘
0원  | 19980101  | 6000767400
중국새인전각전집 中國璽印篆刻全集(전4권) 중국상해도서출판 중국새인전각전집 편집위원회 편 크기 22×29㎝ 큰책 1999.1.1 페이지 248, 294, 268, 309 고급 양장본 판매가 400,000원(희귀본) 주문시 재고문의 010-5631-0181 새인 및 전각작품 수록 새인 : 샇,하 권 전각 : 상,하 권 璽印은 戰國時代부터 작품수록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