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임웅 형법"(으)로 23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18916194

형법총론 (제15정판)

임웅, 김성규, 박성민  | 법문사
43,200원  | 20250830  | 9788918916194
머리말 본서는 매년 증보(增補)를 원칙으로 개정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제15정판이 나오기까지는 1년 6개월이 걸렸다. 낡고 허물어진 집을 보수하는 심정으로 매년 공을 들이고 있고 저자들이 들이는 품에도 해마다 차이는 없다. 그런데도 약속한 공기(工期)를 맞추지 못하는 데는 나름의 부득이한 사정이 있음을 독자들께서 이해해 주셨으면 한다. 이번 개정작업에서도 법률의 제ㆍ개정사항을 반영하고 법원의 주요 판례를 보완하는 데 집중하였다. 2024. 6. 27. 친족간 재산범죄에 대해 형을 면제하는 형법 제328조 제1항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이 있었다. 인적처벌조각사유의 주요 예시로 거론되던 본 규정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위헌취지의 결정을 함에 따라 본문에서도 이를 반영하였다. 또한 형벌론을 중심으로 해외 입법례에 대한 보완작업을 진행하였다. 외국 형법의 제ㆍ개정 상황을 확인하는 데 공을 들이는 것은, 그 과정에서 우리 형법의 과거를 반추(反芻)하고 현재를 통찰한 다음 미래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2025. 6. 시행된 일본 형법은 징역형과 금고형을 구금형으로 통일함에 따라 자유형의 단일화에 접근하고 있는데, 최근 우리 형법학계에서도 이에 대한 노력이 있어 그 귀추가 주목된다. 그 밖에도 2025년에는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범을 부정하는 취지의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이 있었다. 종전 우리 법원의 태도를 유지하는 취지의 판결임에도 서경환, 권영준 두 대법관의 반대의견이 주목할 만하여 이를 본문에 소개하였다. 소소한 개정작업을 모두 반영하는 것은 어렵지만, 저자들이 본서의 행간을 꼼꼼하게 살피면서 그 흠을 메꾸어 나가고 있음을 독자들께서 알아주셨으면 하는 바람뿐이다. 마지막으로 20여 년 동안 한결같이 본서의 편집작업에 정성을 들이고 있는 법문사 편집부의 김용석 차장과 출간작업에 힘써 주고 있는 기획영업부의 유진걸 과장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9788918915883

형법각론 (제15정판)

임웅, 이현정, 박성민  | 법문사
48,600원  | 20250225  | 9788918915883
이번 개정 작업에서는 주로 법률의 제·개정사항을 반영하고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의 주요 판례를 보완하는 데 집중하였다. 2024. 10. 26. 성폭력처벌법이 개정되었는데, 개정법에서는 허위영상물의 편집·반포 등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고(제14조의 2 제1항), 허위영상물을 소지·구입·저장 또는 시청하는 행위(동조 제4항)와 편집물 등을 이용하여 사람을 협박하는 행위(제14조의 3 제1항)에 대한 처벌규정이 신설되었다. 디지털기기 및 영상편집기술에 대한 사회일반인의 접근성이 확대되면서 허위영상물의 제작 및 유통으로 인한 사회적 폐해가 급증함에 따른 입법적 대응으로 풀이된다. 그 밖에도 ‘특정중대범죄 피의자 등 신상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그 내용을 본문에 반영하고, 스토킹처벌법 및 소송사기 관련 대법원 판례 등 본문 구석구석 개정법률 및 판례의 내용을 충실히 보완하였다.
9788918914800

형법총론 (제14정판)

임웅, 김성규, 박성민  | 법문사
40,480원  | 20240225  | 9788918914800
저자가 교단에서 정년퇴임을 한 지 꼭 10년이 되었다. 그동안 형법총론과 각론의 개정작업을 혼자서 해오다가, 이제는 제자들과 공동작업으로 하는 것이 저자의 나이에 걸맞는다고 판단되어, 14정판부터는 공저로 출간하기로 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김성규 교수와 경상대학교 법과대학의 박성민 교수 등 2인의 제자가 총론의 개정작업에 합류하였다. 실력있는 학자들이니만큼, 앞으로의 개정판이 ‘靑出於藍而靑於藍’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형법총칙에 있어서는 제77조 ‘형의 시효’가 적용되는 형벌 중에서 ‘사형’을 제외시킨 2023. 12. 22.의 형법개정(2024. 2. 9. 시행)이 의미가 있다. 형사판례에 있어서는 한시법의 추급효 인정여부에 관하여 이른바 ‘동기설’을 채택하고 있었던 종전의 판례를 변경한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대판 2022. 12. 22, 2020 도 16420)이 주목된다.
9788918911748

형법총론 (제12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210210  | 9788918911748
『형법총론』은 〈형법과 형법학〉, 〈형법의 역사〉, 〈죄형법정주의〉, 〈형법사상과 형법학파〉, 〈형법의 적용범위(효력)〉, 〈범죄의 개념ㆍ주체ㆍ객체ㆍ종류〉 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9788918911311

형법각론 (제11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200820  | 9788918911311
『형법각론』은 〈인격적 법익에 대한 범죄〉, 〈재산적 법익에 대한 범죄〉, 〈사회적 법익에 대한 범죄〉, 〈국가적 법익에 대한 범죄〉 등 형법각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9788918910253

형법각론 (제10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90731  | 9788918910253
▶ 이 책은 형법각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형법각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88918092140

형법총론 (18절)

임웅  | 법문사
0원  | 20190510  | 9788918092140
▶ 형법총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18091716

형법각론 (제9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80825  | 9788918091716
▶형법각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18091709

형법총론 (제10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80815  | 9788918091709
▶ 형법총론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9788918091150

형법총론 (제9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70830  | 9788918091150
▶ 이 책은 형법총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형법총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88918024516

형법각론 (제7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60825  | 9788918024516
형법을 다룬 이론서 『형법각론』. 형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2015. 2. 26, 2009 헌바 17; 2011 헌가 31 등)을 받은 제241조(간통죄)가 형법에서 삭제된 개정, 특별형법상의 상당수의 가중처벌규정들을 형법에 체계적으로 통합한 개정 등의 내용을 반영하였다.
9788918090566

형법총론 (제8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60815  | 9788918090566
▶ 이 책은 형법총론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형법총론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9788918090023

형법총론 (제7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50815  | 9788918090023
▶ 이 책은 형법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형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88918084930

형법각론

임웅  | 법문사
0원  | 20150725  | 9788918084930
▶ 이 책은 형법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형법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9788918084404

형법총론 (제6정판)

임웅  | 법문사
0원  | 20140630  | 9788918084404
2014년 5월 14일의 형법개정에서 형법 제70조(노역장유치)와 제79조(시효의 정지)의 두 개 조문에 대하여 각각 제2항이 ‘신설’되었다. 전자의 신설은 이른바 ‘황제노역’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액’벌금형에 대한 환형유치로서의 노역장유치의 ‘최소기간’을 법률에 명시한 것이고, 후자의 신설은 형이 확정된 후 형의 집행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체류하는 동안 형의 시효가 진행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양자는 형벌의 공평과 형집행의 확실성을 보장하기 위한 개정으로서 우리 형법이 조금씩 진일보하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응당 본서 제6정판에 반영하였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