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자본주의 모델"(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70138756

한국 자본주의 모델 (이승만에서 박근혜까지, 자학과 자만을 넘어)

이병천  | 책세상
0원  | 20140725  | 9788970138756
무책임자본주의를 넘어 사람이 먼저인 세상을 위해 『한국 자본주의 모델』은 저자 이병천 교수가 8.15 광복 이후 박근혜 정부에 이르는 70년 동안의 대한민국의 경제, 자본주의 모델을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한국 모델을 평가하는 두 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나라 안으로는 국가와 재벌의 동맹, 밖으로는 세계 자본주의 체제에 편입되는 방식의 두 축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중심으로 본다. 저자는 국가와 재벌 동맹이 지배하는 무책임 자본주의를 넘어 성장과 분배, 혁신 경제와 사회 통합이 선순환하는 한국형 책임자본주의와 민주적 조정 시장 모델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한다.
9788990369185

한국 자본주의 발전모델의 역사와 위기 (한국사회 재인식 시리즈 5)

유철규 편  | 함께읽는책
18,000원  | 20030830  | 9788990369185
'자본주의' '민주주의' '시민사회'라는 세 영역에서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우리 사회의 반세기를 재평가하고, 다가오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민중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전망해보는 일은 사회과학계의 지속적인 과제였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대안을 꿈꾸는 사회를 위해 '한국자본주의 발전과 사회구성의 변화'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한국자본주의에 대한 담론을 깊이 있게 통찰하여 담았다.
9788988662465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모델의 형성과 해체 (한국사회 재인식 시리즈 1)

김진업  | 나눔의집
10,800원  | 20010825  | 9788988662465
성공회대학교를 중심으로 진행중인 학제간 통합 연구 '한국 사회 재인식' 시리즈의 제1권이다. 이 책은 '한국 자본주의 역사와 구조'라는 주제로 산업화 과정의 역사적 검토를 통해 한국자본주의의 연구방법과 관점을 세우고자 한다. 이 책은 여러 국제적, 국내적 논쟁을 통해 새로 얻어진 방법론을 잠정적으로 '역사제도주의(historical institutionalism)'이라 명명하고, 이것으로 발전의 동학과 모순의 동학을 함께 설명하려 시도한다. 역사 제도주의 방법론은 그간 경제학에서 간과되어온 '공통의지(Common will)'와 경제체제의 내적 동학에서 나오는 모순을 중요시 여긴다. 또한 한국의 자본주의를 국가동원체제의 형성기(1945~1972), 국가동원체제의 성숙기(1972~1987), 그리고 국가동원체제의 해체기(1987~ 현재)로 나누고 있다.
9788985022651

마르크스 경제학 (최적 성장모델을 이용한 자본주의 생성 발전 사멸의 증명)

오니시 히로시  | 박종철출판사
18,000원  | 20130917  | 9788985022651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론, 잉여가치론, 착취론, 축적론 등이 근대경제학, 특히 신고전파의 이론과 교류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말하자면 저자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생성, 발전, 사멸에 대해 주장한 바를 근대경제학에서 자주 그렇듯이 수학을 이용해 증명한다. 그렇다고 이 책 전체가 수학적 증명은 아니다. 기본적으로는 사적 유물론, 사회구성체론, 노동가치론, 재생산표식, 축적론 등 마르크스의 주요한 이론이 무엇인지를 설명한다. 그런 뒤에 저자는 그러한 주장이 수학으로도 입증됨을 밝힌다. 저자는 강단의 경제학자일 뿐만 아니라 교토건축노동조합의 활동에도 간여했고 국립대학노동조합의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이 곳곳에서 묻어나는 이 책은 그런 점에서도 ‘마르크스경제학’이다.
9788987480916

건강한 경제모델 프라우트가 온다 (글로벌 자본주의 붕괴 이후)

다다 마헤시와라난다  | 물병자리
9,000원  | 20081110  | 9788987480916
글로벌 자본주의의 폐단을 지적하고, 앞으로 다가올 이상사회의 모델, 프라우트를 제시한다. 인도의 철학자이자 경제사회 이론가인 P.R. 사카르에 의해 계발된 프라우트 모델은 환경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개발이 가능한 비전, 자급자족경제, 협동조합, 환경보존, 보편적인 영적인 가치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회적·경제적 모델이다. 저자는 '지구촌의 경기침체는 부자들 때문에 발생한다. 일확천금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런 투기적 투자는 사회의 부를 소수에게 집중시키고 있다'며 자본주의의 이면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프라우트'를 소개한다. 환경 보전형 개발, 자급자족 경제, 협동조합 등 다양한 형태의 대안을 제시한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기고가들의 글을 각 장의 마지막에 수록하였다. 다국적 제약회사에 반기를 든 인도와 브라질의 의약품 특허 금지, 무하마드 유누스의 그라민 은행 등 프라우트에서 제시하는 제안들은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현재 세계 전역에서 수많은 사람과 지역사회에서 활용되고 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