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론
이형석, 이종모 | 공동체
18,400원 | 20231215 | 9791167255259
장애인복지는 장애인을 인간으로서 존중하고, 더불어 살며, 장애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UN의 인권선언과 우리나라의 인권헌장에도, 장애인은 어떤 심신의 상태에서도 인간으로서 존중되어야 할 자유권과 사회권의 주체임을 인정하고 있다. 즉, 국가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 장애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이루어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여건과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제1장에서는 장애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개념으로서 대표적인 ICID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ICIDH-2, IFC, 장애 이론에 대하여 다루었다.
제2장에서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간장애, 호흡기장애, 장루ㆍ요루장애, 뇌전증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정신장애를 유형별로 정의하고 특성을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사회복지정책에 있어서 장애인복지정책을 다루었으며, 장애인복지정책으로서는 소득보장, 고용보장, 의료보장, 교육보장을 중점적으로 설명하였고, 선진복지국가의 정책을 예로 들었다.
제4장에서는 장애인복지 관련 법률에 대하여 장애인복지법,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장애인연금법, 장애인ㆍ고령자 등 주거약자 지원에 관한 법률,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외국의 장애인복지 관련 법령도 같이 다루었다.
제5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장애정도 판정제도를 설명하였으며, 외국의 장애평가에 대하여서도 다루었다.
제6장의 장애인복지시설은 장애인 거주시설과 장애인 이용시설,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제7장에서는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직업재활 과정, 시설, 시설의 역할과 기능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선진 외국의 직업재활에 대하여서도 설명하였다.
제8장에서는 장애인의 의료재활을 재활서비스의 내용과 전문인력, 의료재활 시설을 중점적으로 다루었으며, 제9장에서는 장애인 교육재활을 특수교육에 중점을 두고 다루었다.
제10장에서는 장애인의 심리사회재활을, 제11장에서는 장애인의 지역사회중심재활을, 제12장에서는 해외의 장애인복지서비스를 다루었다.
본서가 장애에 대한 이해와 장애인복지의 이해를 통해, 더 나아가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