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번구운 적천수천미 1
무각 | 부크크(bookk)
17,500원 | 20221024 | 9791137298989
** 대세운 분석론 **
1. 세운(歲運)
1) 木운으로 행하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에는 甲寅·乙卯운으로 행해야 하고 甲辰·甲子·乙亥·壬寅·癸卯운이며,
2) 火운으로 행하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에는 丙午·丁未운으로 행해야 하고 丙寅·丁卯·丙戌·丁巳운이며,
3) 土운으로 행하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에는 戊午·己未·戊戌·己巳운으로 행해야 하고 戊辰·己丑운이며,
4) 金운으로 행하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에는 庚申·辛酉운으로 행해야 하고 戊申·己酉·庚辰·辛巳운이며,
5) 水운으로 행하는 것을 좋아하는 경우에는 壬子·癸亥운으로 행해야 하고 壬申·癸酉·辛亥·庚子운이다.
2. 개두(머리가 잘린 것이니 천간에서 돕지 않음)
1) 木운을 좋아하는 경우 庚寅·辛卯를 만나거나,
2) 火운을 좋아하는 경우 壬午·癸巳를 만나거나,
3) 土운을 좋아하는 경우 甲戌·甲辰·乙丑·乙未를 만나거나,
4) 金운을 좋아하는 경우 丙申·丁酉를 만나거나,
5) 水운을 좋아하는 경우 戊子·己亥를 만나는 것이다.
3. 절각(다리가 잘린 것이니 지지에서 돕지 않음)
1) 木운을 좋아하는 경우 甲申·乙酉·乙丑·乙巳를 만나거나,
2) 火운을 좋아하는 경우 丙子·丁丑·丙申·丁亥를 만나거나,
3) 土운을 좋아하는 경우 戊寅·己卯·戊子·己酉·戊申를 만나며,
4) 金운을 좋아하는 경우 庚午·辛亥·庚寅·辛卯·庚子를 만나며,
5) 水운을 좋아하는 경우 癸卯·壬午·癸未·壬戌·癸巳 것등이다.
* 무엇을 충(沖)이라 하는가,
子대운의 午년일 경우에는 그것을 대운이 세운을 충하는 것이라 하는데, 일주가 子를 좋아할 때는 子를 도와야 하며, 또 월간에서 午를 제압하는 수를 만나면 길하니, 혹 午의 무리가 많거나 월간에서 戊나 甲을 만나 길신인 子를 극설하면 흉하다.
가령 午대운의 子년일 경우에는 그것을 세운이 대운을 충하는 것이라 하는데, 일주가 午를 좋아할 때, 子의 무리가 많고 월간에서 기신인 子를 도우면 흉하고, 일주가 子를 좋아할 때, 午의 무리가 적고, 월간에서 길신인 子를 도우면 길하다.
월지는 부모궁이며 월간은 부모궁의 길흉을 나타내는 상징이므로 월간에 흉신은 부모덕이 박하며, 월간에 길신은 부모덕이 길하니 월주에 모두 길신이면 부모의 음덕이 크니 태어날 때부터 복록을 받은 것이다.
충은 파괴하는 것이니, 가령 子대운의 午년일 경우에는 대운이 세운을 충하는 것이라 하는데, 일주가 길신인 子를 좋아할 때는 동주한 천간에 庚이나 壬을 만나 子를 생조하면 길하고, 기신인 午의 동주천간에는 극설하는 수를 만나면 길하니 동주한 간지는 한 몸과 같아서 길신은 서로 생조하고 기신은 서로 극설함이 길하다.
고로 일주가 午를 좋아할 때 충하는 기신인 子의 간두에 戊토나 甲목을 만나고, 午의 간두에 甲이나 丙을 만나면 길하다. 그러나 기신인 子의 간두에 庚이나 壬을 만나고 길신인 午의 간두에 壬이나 庚을 만나면 흉하다.
가령 午대운 子년일 경우에는 그것을 세운이 대운을 충하는 것이라 하는데, 일주가 午를 좋아할 때는 午의 간두에 丙이나 戊를 만나면 戊토가 능히 子를 억제하니 길하고, 기신인 子의 간두에는 甲이나 丙을 만나면 길하다.
반면에 기신인 午의 간두에 丙이나 甲목을 만나고, 길신인 子의 간두에 丙이나 戊를 만나면 흉한 것이니, 나머지도 이처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또한 목화는 단짝이고 금수도 같은 짝을 이루니, 화가 길신일 때 목화가 간지로 동주하거나 수가 길신일 때 금수가 간지로 동주하면 더욱 단결하니 길하다.
* 대운·세운에서 전(戰)이란,
가령 丙대운의 庚년일 경우에는 그것을 대운이 세운을 공격(극)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일주가 庚을 좋아할 때는 丙이 항복해야 하니 원국에 戊토가 있어 통관시키거나, 辛이 원국에 있어 병신합거 시키거나 壬수로 억제시켜 庚을 보호하면 길하다.
대운은 십 년을 관장하고 세운은 일 년을 관장하니 한 해의 길흉은 세운의 영향력이 가장 크다. 그러므로 세운을 한 해의 왕이라 하고 대운을 신하라고 하는 것이니, 원국의 길흉 결과는 왕이 주관하니 세운은 원국과 가깝고 대운은 멀다.
왕이 신하의 의견을 참고하여 원국에 길흉을 결정하는 것이니, 점하는 위치는 원국 ←세운 ←대운의 순서로 점한다.
그러므로 일주가 庚을 좋아할 경우는 세운과 대운이 토금이면 길하지만, 대운이 丙이면 庚을 극하니 기신대운이다. 그러나 세운이 戊己토라면 화생토, 토생금으로 살인상생시키니 그 해는 흉이 크게 감소하는데, 吉이 70%이고 凶은 30%이다. 즉 원국용신 庚 ←세운 戊己 ←대운 丙의 순서이다.
만일 용신 庚 ←세운 壬 ←대운 丙의 순서라면, 세운이 대운의 흉함을 임병충으로 억제하니 반길반흉하다. 그러나 동주한 간지의 상태를 살펴야 하는데, 만약 庚이 寅이나 午에 앉았다면 丙의 역량이 크고, 세운이 壬寅이나 壬午로 앉았다면 세운이 대운의 흉함을 완전히 억제할 수 없으니 凶이 70%이고 吉은 30%이다.
용신 庚 ← 세운 壬 ← 대운 丙
寅 午 寅
▴위와 같다면 壬수는 무력하여 기신 丙을 억제할 수 없으니 거의 흉함으로 나타난다.
용신 庚 ← 세운 丙 ←대운 戊己
▴또한 庚 용신이고 丙년일 경우는 세운이 용신을 극하는 것이며, 일주가 庚을 용신할 때 세운 丙화는 용신을 극하는 흉한 왕인데, 대운이 戊己토라면 신하가 왕을 설득하여 선정을 베풀도록 권하니 凶이 70%이고 吉은 30%이다. 그러나 간지 형태에 따라 길흉의 차이가 나타난다. 그것을 개두와 절각이라 한다.
가령 丙대운의 庚년일 경우에는 그것을 대운이 세운을 극하는 것이라 하는데, 신하가 왕을 극하니 역모가 일어나 흉하다. 만일 일주가 庚을 좋아할 때 세운 戊토는 길한 왕인데 신하가 甲목으로 선왕을 극하니 반길반흉으로 나타나거나, 凶이 70%이고 吉은 30%이다. 그것은 역모의 흉작용 때문이다.
임철초님 이르되, 부귀는 격국에서 정해지지만, 궁통(곤궁과 영달)은 운로에 관계되는 것이니, 이른바 명(命) 좋은 것이 운(運) 좋은 것만 못하다는 것이다.
일주는 내 몸과 같고 원국의 희용신은 내가 쓰는 바의 사람이며, 운로는 곧 내가 임하는 자리이므로, 지지를 중하게 여기되 천간이 등지지 않고 상생상부해야 길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운을 10년으로 간주하되 상하를 끊어 보더라도 간지는 팔과 다리와 같아 별개로 존재함이 아니므로 개두(蓋頭)와 절각(截脚)을 살피지 않으면 길흉이 증명되지 않는다.
...(하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