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내외 전기/전자 핵심 소재ㆍ부품 시장 및 기술 분석
신성장동력산업정보기술연구회 | 산업경제리서치
414,000원 | 20241213 | 9791194179252
☐ 전기전자부품 산업은 융복합 ICT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산업으로, 자동차·디스플레이·반도체 뿐만 아니라 바이오헬스케어, 웨어러블 등 기존산업과 융합으로 핵심 부품 역할을 수행하며, 산업파급 효과가 큰 기술집약적 산업이다.
-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합병인수(M&A)를 통해 반도체 기업의 역량을 키우고, 반도체 산업은 민간기업 영역을 넘어서 국가 간의 패권과 수출입을 주도하는산업 주축과 경쟁 기술로 도약하고 있는 중이다.
- 전기전자부품은 반도체칩,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제조하기 위한 고도화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소품·장비산업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이며, 장비의 성능과 공정 영역에 따라 산업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산업이다.
- 한국은 전기전자부품 제조를 위한 인프라 환경이 이미 구축되어 있는 상황으로, 기반적인 부품 산업이며, 전기전자부품의 차세대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국가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산업이다.
☐ 전기전자부품 분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신산업 창출을 위한 핵심 원동력으로 타 분야 기술과 융·복합을 통한 신제품·서비스를 창출하는 미래 성장 동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 전기전자부품 분야는 AI, IoT, AR/VR 등 미래 신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대용량 및 초고속 통신 수요의 충족을 위해 고성능·소형·저전력·스마트화로 목표로 기술 개발 진행 중에 있다.
- 전기전자부품은 AI 기반 헬스케어, 자율주행 자동차, 바이오 융합 등 미래 신산업 창출과 신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반으로 활용되는 필수적인 부품이다.
- 미래 신산업 유망시장 발굴 및 글로벌 시장 활성화 지원이 시급한 상황으로 개발 제품의 국내외 수요처 발굴과 함께 시험·인증, 테스트베드 구축 등 전방위적 지원이 필요하다.
- 특히, 양자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 밖에 없는 반도체 및 통신, 의료기기 등 급속하게 진화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국내 경쟁력 확보를 위한 예산, 연구 인력 등의 확보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 Grand View Research의 자료에 따르면 세계 전자부품산업 시장은 2021년 4,646억 달러이며, 연평균 6.2%의 성장률로 성장하여 2027년에는 6,648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 4차 산업혁명 발전에 따라 기존의 가전제품 및 기술 기능구현 범위에서 벗어나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 기술과 결합된 사물인터넷(IoT) 가전제품으로 진화 중에 있다.
- 사물인터넷(IoT) 가전제품의 경쟁력은 내장되는 전자부품의 경쟁력에 의존하는구조를 지니고 있어 이에 대한 전자부품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저전력 소형 센서,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등 기술 도입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데이터 분석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언택트(Untact, 비대면) 기술을 활용한 제품에 대한 사업화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 각종 전자기기, 가전제품, 관련 부품들의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거래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온라인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전자제품 및 관련 부품들의 시장 경쟁력과 시장규모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거대도시화 등에 따른 차량 소유/운행 기피 현상과 공유 기반 이용/구독 중심 경제 패턴 등 소비 합리화에 따른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에 따르면 한국의 전자부품산업은 2021년 36조 455억 원에서 2027년 41조 9071억 원으로 증가하며, 연평균 2.5%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 세계시장과 마찬가지로, 4차 산업혁명 발전에 따라 기존의 가전제품 및 기술 기능구현 범위에서 벗어나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 기술과 결합된 사물인터넷(IoT) 가전제품으로 점점 진화하면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 저전력 소형 센서, IoT, 모바일 등 기술 도입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데이터 분석 관련 기술이 활발하게 진전되어 융복합화에 따른 시장 성장 중이다.
- 데이터 기반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개인 건강정보 측정 및 헬스케어가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가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 본고는 전기/전자 부품과 차세대 핵심 소재를 각 핵심분야 중심으로 세부적으로 시장 분석하였다. 관련된 업계 및 관계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