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교육을 위한 교재의 이해와 활용
김미량, 허희옥, 김민경, 이옥화, 조미헌 | 교육과학사
18,900원 | 20180305 | 9788925412658
문ㆍ이과 통폐합을 지향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 교과는 2018년 중학교부터 34시간 필수로 편성되었다. 즉 기존 선택과목이던 정보과목을 과학/기술ㆍ가정/정보 교과군으로 조정하고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여 재미있고 흥미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창의성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지능정보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기초 소양과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갖출 수 있는 최소한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교과의 변화를 반영하여 컴퓨터 기반의 다양한 교재들이 어떻게 기획, 분석, 선택, 설계, 개발, 활용, 평가될 수 있는지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고자 집필되었던 2005년의 ‘컴퓨터교육을 위한 교재의 이해와 활용’, 2008년의 ‘정보교육을 위한 교재의 이해와 활용’을 개정한 것으로, 총 4부, 2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교재연구의 기초적 내용을, 제2부는 교재의 유형을, 제3부는 첨단 교수-학습 환경을, 제4부는 이 모든 것을 적용하는 과정을 실제의 예를 통해 포괄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부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정보교과 교육과정을 비롯하여 교과서를 포함한 교수매체 및 각종 자료의 개발 원리, 활용의 방법들을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제2부에서는 교재의 유형을 각종 매체의 특성에 기반하여 분류ㆍ제시하되, 최근 정보교과 및 학교 교육현장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또 향후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을 중심으로 그 활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특히 과거로부터 학교교육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온 매체들이 현재의 환경에서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비용효과적, 효율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보았다.
제3부에서는 지능정보기술의 발달로 달라지는 첨단 교수-학습 환경, 예컨대 국내외 다양한 물리적 학습공간을 살펴보고 온라인학습과 미래교육을 위한 환경의 변화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제4부에서는 이상의 모든 과정이 실제에 적용될 수 있기를 바라는 입장에서 실제 사례를 분석,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