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
정본 여유당전서 6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20,000원 | 2013-03-01 | 9788991881563
|
|
|
정본 여유당전서 7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20,000원 | 2013-03-01 | 9788991881570
|
|
|
정본 주역김혁제 (옮긴이) | 명문당
10,000원 | 2001-06-11 | 9788972701477
|
|
|
비지토해 정본 주역명문당 편집부 (엮은이) | 명문당
15,000원 | 2006-11-10 | 9788972708384
|
|
|
정본 여유당전서 세트 - 전37권 (양장)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1,110,000원 | 2013-01-14 | 9788991881129
다산학술문화재단은 2012년 12월 다산 탄신 250주년 기념사업을 총괄하는 <定本 與猶堂全書>(전 37권)를 양장, 반양장 세트로 발간한다.
|
|
|
정본 여유당전서 세트 - 전37권 (반양장)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740,000원 | 2013-01-14 | 9788991881501
다산학술문화재단은 2012년 12월 다산 탄신 250주년 기념사업을 총괄하는 <定本 與猶堂全書>(전 37권)를 양장, 반양장 세트로 발간한다.
|
|
|
정본 여유당전서 : 여유당전서보유 1~3 세트 - 전3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6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90
|
|
|
정본 여유당전서 : 시문집 1~5 세트 - 전5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10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14
|
|
|
정본 여유당전서 : 논어고금주 1~2 세트 - 전2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4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21
|
|
|
정본 여유당전서 : 상서고훈 1~2 세트 - 전2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4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38
|
|
|
정본 여유당전서 : 주역사전 1~2 세트 - 전2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4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45
|
|
|
정본 여유당전서 : 상례사전 1~5 세트 - 전5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10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52
|
|
|
정본 여유당전서 : 흠흠신서 1~2 세트 - 전2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40,000원 | 2013-03-01 | 9788991881983
|
|
|
정본 여유당전서 : 경세유표 1~3 세트 - 전3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60,000원 | 2013-01-14 | 9788991881969
|
|
|
정본 여유당전서 : 목민심서 1~3 세트 - 전3권정약용 (지은이), 다산학술문화재단 (엮은이) | 사암
60,000원 | 2013-01-14 | 9788991881976
|
|
|
국역 여유당전서 1전주대호남학연구소 (옮긴이) | 북피아(여강)
15,000원 | 1989-11-01 | 6000014961
|
|
|
주역이광길 (지은이) | 한국학자료원
30,000원 | 2024-08-30 | 9791168878167
상경(上經)·하경(下經) 및 십익(十翼)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익은 단전(彖傳) 상하, 상전(象傳) 상하, 계사전(繫辭傳) 상하, 문언전(文言傳)·설괘전(說卦傳)·서괘전(序卦傳)·잡괘전(雜卦傳) 등 10편을 말한다.
|
|
|
주역장열 (지은이) | 학고방
18,000원 | 2021-11-20 | 9791165864217
|
|
|
주역희창, 희단 (지은이), 이준 (엮은이) | 윤성사
24,000원 | 2019-05-30 | 9791188836277
주역이 국제 관계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태동한 것을 기반으로 정치사회적으로 역사적 고증과 현장의 소리를 생생하게 담으려고 노력한 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