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조일전쟁"(으)로 5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80104468

조일전쟁 (세계 최강 해군국 조선과 세계 최강 육군국 일본의 격돌)

백지원  | 진명출판사
13,500원  | 20090805  | 9788980104468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이란 없었다! 에 이은 우리 역사 진실 추적 시리즈 2탄 왜곡된 임진왜란의 진실을 밝힌 역사서『조일전쟁』. 이 책은 승자에 의해 변질되는 역사의 진실을 바로잡고자 한다. 저자는 서문에서 조선시대에 임진왜란이란 없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것은 17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근대 수백 년 간 동양에서 일어났던 전쟁 중 가장 대규모이자 격렬했던 동아시아 국제전인 조일전쟁이었다. 조일전쟁 당시 조선은 세계 최강 해군국이었고, 일본은 세계 최강의 육군국이었다. 저자는 이 두 나라간의 전쟁은 ‘왜란’으로 불릴 수 없었는데 아직까지도 왜란이라 불리는 것은, 전쟁의 참혹한 결과에 책임을 져야 하는 자들이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서 전쟁의 모든 정황을 왜곡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 책에 따르면 전쟁 이후에도 권력을 쥔 자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이순신을 ‘성웅’으로 만들었으며, 원균을 ‘간신’으로 만들었다. 또 당시에 별 볼일 없었던 거북선을 무적선함으로 만들었으며, 조일전쟁 당시 세계 최강 조선 수군의 전함이었던 판옥선은 그 존재조차 희미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이순신의 삼도수군통제사 삭탈관직, 각 군기 보유 무기 등의 전력 평가, 명의 참전, 의병의 활약, 일본의 조선 침략 실패 원인 등도 필요에 따라 부풀리거나 축소했다고 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참고할 수 있는 모든 사료들을 검토, 분석하여 조일전쟁 당시를 재구성했다고 한다. 또한 일본이라는 나라와 천황의 정체성을 조명하고, 일본의 전쟁 영웅이라 불리는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생애와 인연을 추적하여 ‘조일 전쟁’을 보다 객관적이고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9788996861713

이순신의 조일전쟁 (장군의 눈으로 전란을 기록하다)

도현신  | 행복한미래
13,500원  | 20120428  | 9788996861713
『이순신의 조일전쟁』은 이순신의 ‘눈’으로 전란을 기록한 책이다. 조일전쟁은 이순신의 해전일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의병 활동, 진주대첩과 행주대첩 등이 펼쳐진 역사적인 전쟁이다. 이 전쟁이 어떻게 흘러갔는지를 재구성하였다. 전쟁에서 굶주리는 병사와 백성들에 대한 기록, 이순신의 첩보전 등이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처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9788996861751

이순신 파워인맥 33 (조일전쟁을 승리로 이끈 이순신의 사람들)

제장명  | 행복한미래
0원  | 20120928  | 9788996861751
조일전쟁을 승리로 이끈 33명의 이순신의 사람들을 재조명한 책. 이순신의 인맥을 사료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복원했다. 저자는 이순신의 인맥을 4가지 관점에서 분류하고 있다. 첫 번째 인맥은 전라좌수사에 임명되기 전까지 이순신의 성장을 도운 사람들, 두 번째 인맥은 조정에서 이순신을 도운 사람들, 세 번째 인맥은 동급 레벨에서 이순신을 도운 인물들, 네 번째 인맥은 이순신 휘하에서 승리를 도운 사람들이다.
9788987647494

조일7년전쟁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전쟁 (근현대사의 3대 전쟁 분석과 국가안보현실 진단)

이선호  | 21세기군사연구소
16,200원  | 20120110  | 9788987647494
『조일7년전쟁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전쟁』은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ㆍ일7년전쟁,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한반도 장차 전쟁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정리한 내용을 엮었다.
9788936811211

조일수호조규, 근대의 의미를 묻다

한일관계연구소  | 청아출판사
18,000원  | 20171229  | 9788936811211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연무당에서 조선과 일본 간에 서구적 형식의 조약이 체결됐다. 이른바 강화도조약. 강화도조약의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다. 조일수호조규는 조선이 근대로 이행한 기점으로 평가된다. 이 조약은 조선이 서구 근대 국제질서와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편입되는 계기가 되었고, 한일관계에서도 수백 년간 이어져 온 교린 질서가 서구 근대의 외교제도와 관념으로 대체된 전환점이었다.
1
최근 본 책